2000년 이후 호주로 이민을 온 최근 정착자들에게 호주인의 이미지는 “불친절한 인종차별주의자들(unfriendly racists)”이라는 부정적인 평가가 나왔다.


애보트 정부가 소수민족 그룹과 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인종차별법 개정을 추진하는 가운데 멜번의 모나시대는 이번 주 최근 이민자들의 호주 사회에 대한 설문결과를 발표했다. 최근 이민자들은 혼자 밤길을 걸어다니는 것을 무서워하거나 범죄 피해자가 되는 것을 두려워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같은 결과는 24일 발표된 2013년 사회융합지표(mapping social cohesion)에 따른 것이다. 모나시대의 연구는 스캔론재단(Scanlon Foundation)과 연방 정부 등이 후원을 했다.


최근 이민자들은 또 정당 등 정치 기구에 대해 불신한다는 정도가 일반 호주인들보다 컸다.


또 이들은 정치적 활동 관여도가 낮았고 출신국의 뉴스와 시사에 관심이 많으며 정기적으로 미디어를 통해 이를 접하고 있다.


호주에 대해 가장 싫어하는 것에 대한 질문에 최근 이민자들은 인종차별주의와 차별을 으뜸으로 꼽았다. 특히 비영어권 출신 최근 이민자들은 영어권 출신보다 차별로 인한 고통을 호소하는 비율이 두 배나 높았다. 인도 또는 스리랑카 출신 이민자들은 편견(prejudice)을 가장 싫어하는 요소로 꼽았고 뉴질랜드 출신도 상당수가 차별을 지적했다.


이번 주 조지 브랜디스 연방 법무장관은 “호주인은 편견을 가질 사람이 될(bigotry) 권리가 있다”면서 논란의 인종차별법 개정안을 상정했다.


호주의 좋은 점에 대한 질문에서 최근 이민자의 3%만이 호주인들을 친절하고 다정다감하며 호의로써 맞이하는 사람들이라고 답변했다. 이 결과는 지난 1990년대와 큰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최근 이민자들은 호주에서 새로운 집, 사회 서비스의 질, 호주에 대한 자부심, 노력하면 더 좋은 생활을 할 수 있다는 신념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감을 나타냈다.


또 최근 이민자들은 20년 이전 이민자들보다 고립감, 외로움을 더 이상 느끼지 않는다고 밝혔다. 테크놀로지의 급속 발달로 인한 모국에 있는 가족이나 친지들과 손쉽게 또 저렴하게 전화 통화를 할 수 있고 저렴해진 항공료와 지리적 근접성으로 모국 방문이 빈번해지고 있는 점이 주요 배경이다.


최근 이민자들의 호주 시민권 취득률에서 중국과 인도 출신 이민자들이 영국이나 북미 출신들보다 훨씬 높았다. 중국 이민자들의 시민권 취득률은 94%에 이른다. 영국 출신은 71%, 북미는 70%, 뉴질랜드 출신은 45%에 불과하다.


2006년 베이징에서 멜번으로 이민을 온 중국 출생 이민자 밍 리우씨는 “호주에서 인종차별로 고통을 받지는 않았지만 문화적 오해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이는 낯선 문화에 대한 거부감이 여전히 심한 편이라는 지적이다.


보고서의 저자인 앤드류 마커스(Andrew Markus) 교수는 “설문결과에서 최근 이민자들은 차별에 대한 지속적인 이슈를 갖고 있다. 아시아에서 출생한 최근 이민자들의 40% 이상이 지난 12개월 동안 차별을 경험했다고 답변했다. 호주에서 인종차별은 작은 문제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 설문에는 2,324명이 답변을 했는데 이들 중 2/3는 2000~2010년 사이에 이민을 온 최근 이민자들이다. 81%가 호주에서 삶에 대한 질문에 만족스럽다고 응답했다. 이중 64%는 매우 행복하다고 밝혔고 24%는 행복하지 않다고 답변했다.


 

  • |
  1. 최근_이민자_출신국별_현황.png (File Size:161.4KB/Download:7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51 호주 4월 호주 실업률 4% 아래로 낮아졌지만... 일자리 창출은 거의 멈춤 상태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950 호주 어린이 축제조직위원회, 각 미디어 통해 올해 이벤트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949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호주 구세군 연례 모금 행사 협력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948 호주 “어린이를 위한 온라인 스토리타임, 이중언어로 즐기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947 호주 서던 하일랜드의 오랜 역사유적 ‘Berrima Gaol’, 700만 달러에 매각돼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946 호주 Just embarrassing... 호주 젊은이들, “정치인들? 결코 신뢰하지 않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945 호주 앤서니 알바니스, 제31대 호주 총리에... 9년 만에 노동당 정부 구성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944 호주 제47대 연방 의회에 등장한 다양한 얼굴들, ‘정치적 대표성’의 새 전환점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943 호주 퍼스트레이디가 되는 새 총리의 파트너 조디 헤이든, 그녀의 행보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942 호주 노동당 승리로 끝난 올해 연방선거, Who are the winners and losers?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941 호주 ‘3D 프린팅 주택’, 호주 주택 위기에 대한 해결책 될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940 호주 첫 주택구입자에게 권장되는 ‘affordable and liveable’ 교외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939 호주 광역시드니 단독주택과 유닛의 가격 격차, 기록적 수준으로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938 호주 NSW 주 정부, 신원도용 피해자 지원하는 새 서비스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937 호주 정부 백신자문그룹, 적격 인구에 COVID-19 백신 4차 접종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936 호주 NSW 주 정부, 각 가정의 에너지 사용 요금 지원 확대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935 호주 운전자 주의 산만하게 하는 ‘스마트 워치’, 호주에서의 관련 규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934 호주 NSW 주, 민간 불임클리닉 이용 여성들에게 최대 2천 달러 리베이트 지급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933 호주 Best bars & restaurants for Vivid Sydney 2022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932 호주 연방선거 패배 자유당, 새 지도자로 보수 성향의 피터 더튼 전 국방장관 선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931 호주 노동당 정부 내각 구성... 10명의 여성-젊은 의원들, 장관직 발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
930 호주 에너지 사용료 증가... 태양광 패널 설치는 투자 가치가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929 호주 호주 납세자 30%만이 청구하는 세금 공제 항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928 호주 NSW 주 정부, “응급서비스 부문 2천 명 이상 직원 추가 배치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927 호주 NT 관광청, 우기 시즌의 감소하는 다윈 지역 여행객 유치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926 호주 간질 환자의 ‘발작’에 ‘사전 경고’ 제공하는 모바일 앱 개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925 호주 ‘사커루’의 5회 연속 월드컵 진출, 페루와의 마지막 일전만 남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924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50베이시스 포인트 인상 결정... 0.85%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923 호주 노동당 정부, 공정근로위원회에 최소 5.1% 최저임금 인상안 공식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922 호주 ‘가장 지루한 직업’ 그리고 취미를 찾기 위한 연구, 놀라운 결과 보여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921 호주 올 겨울 독감환자 지속 증가... 안면 마스크는 이에 얼마나 효과적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920 호주 호주 주택시장 둔화를 무색케 하는 지방 핫스폿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9 호주 RBA의 기준금리 인상... 대출금 상환-저축예금 금리는 어떻게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8 호주 파라마타 경전철 1단계 12km 구간, 16개 트램 역 명칭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7 호주 “각 지역 주유소의 연료비 소매가, 스마트폰으로 확인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6 호주 NSW 주, 갱년기 건강 서비스 제공 위한 4천만 달러 기금 지출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5 호주 시드니-고스포드 고속철도 계획, 2시간 소요→25분으로 단축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4 호주 호주 사커루, 대륙간 플레이오프서 페루에 신승... 카타르 본선행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3 호주 5회 연속 월드컵 진출... 호주의 ‘2022 카타르’ 본선 토너먼트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2 호주 법률센터-고용 관련 단체들, 이주노동자 대상의 보다 나은 보호조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1 호주 NSW 도미닉 페로테트 주 총리, 부동산 인지세 개혁 추진 계획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10 호주 올해 전 세계의 '높은 생활비' 조사 결과 호주 도시들, 낮은 순위에 랭크됐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09 호주 센터링크 구직자 지원 프로그램, 다음달부터 ‘Workforce Australia’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908 호주 광역시드니 5월 주택경매 낙찰률, 지난 1년 평균 비해 크게 낮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907 호주 호주 각 도시-지방 지역 주택, 광역시드니 중간 가격으로 구매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906 호주 Wollongong Art Gallery 후원자 Bob Sredersas, “나치 정보원이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905 호주 5월 NSW 주의 노동시장 참여율, 66.2%로 사상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904 호주 “호주의 스포츠 산업, 향후 10년간 일자리 창출 ‘황금기’ 맞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903 호주 호주 아동기 암 환자 생존율, 지난 수십 년 사이 ‘지속적 향상’ 확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902 호주 호주 국경 개방 이후 출입국 증가했으나 팬데믹 이전 수준에는 크게 못 미처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