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자동차산업).jpg

포드(Ford), 홀든(Holden), 도요타(Toyota)자동차 등의 호주 제조공장이 문을 닫음에 따라 약 2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290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예상된다는 연구가 나왔다. 사진은 빅토리아 주 소재의 한 제조공장.


국립 경제산업연구원 보고서... 경제적 손실 290억 달러



향후 수년 내에 포드(Ford), 홀든(Holden) 자동차를 비롯해 도요타(Toyota) 제조공장이 문을 닫음에 따라 약 2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290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예상된다는 연구가 나왔다.


호주 국립연구소인 ‘경제산업연구원’(Economic and Industry Research)이 금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자동차 제조공장 폐쇄에 따른 국가적 영향은 이들 공장이 위치한 빅토리아(Victoria) 및 남부 호주(South Australia)뿐 아니라 관련 산업이 소재한 전국으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3년 이내에 포드자동차를 시작으로 홀든, 도요타 제조공장이 차례로 문을 닫게 됨에 따라 이들 회사의 공장이 위치한 빅토리아 주는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산업연구원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이들 공장이 문을 닫음으로써 빅토리아는 자동차 제조업과 간접적으로 연관된 10만개가량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빅토리아보다 생산 규모가 적은 남부 호주의 직업 손실은 2만4천개로 예상됐다.


뿐만 아니라 이들 자동차 제조공장이 위치하지 않은 퀸즐랜드(Queensland)와 NSW가 공장폐쇄로 인해 최소 3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 남부 호주보다 더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호주 경제 모형화를 연구하는 애들레이드 대학 ‘호주 직장혁신 및 사회연구센터’(Australian Workplace Innovation and Social Research Centre)의 최고 책임자인 존 스포에르(John Spoehr) 교수는 “이는 호주 국가뿐 아니라 지역의 문제”라고 진단한다.


이번 연구는 광산투자가 줄어들고, 현지 자동차 생산의 완만한 회복으로 고용이 15%로 상승됨으로써 2017년까지 호주화 1달러가 미화 80센트로 떨어진다는 추정을 기반으로 산출됐다.


여기서 추정된 호주 경제 타격은 호주 연간 경제 규모의 약 2%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연구원은 또한 수입차 비용 증가로 지역 생산이 30%가량 회복됨으로써 호주화가 미화 1달러당 65센트까지 떨어지는 상황을 기반으로 한 경제적 손실도 산출했다. 이 경우 국내 총생산(GDP)에 미치는 타격은 440억 달러에 이르며 직업손실은 27만개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또 무역과 기술, 산업능력의 부실로 빚어지는 추가적인 손실에 대해서도 경고했다. 연구원은 이 부분에 대해 “호주의 복합적인 제조 부문의 경제적 약화”를 꼽았다.


연구원은 “자동차 산업은 앞선 기술을 호주에 소개하고 호주 노동자들에게 이를 훈련시키는 주요 통로가 되어 왔다”고 언급하면서 “이 같은 기술 유입의 통로가 폐쇄됨으로써 다른 복합적인 호주 제조업 분야 설비들이 잇따라 폐쇄되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진단했다.


반면 연구원이 이번 보고서를 통해 산출한 경제적 손실에 대해 반대 의견을 표하는 이들도 있다.


호주 자동차산업위원회(Automotive Industry Authority and the Industry Commission) 의장을 역임했던 빌 스케일스(Bill Scales)씨는 “호주 자동차 공장의 구조조정은 각 지역에 상당히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겠지만 호주 경제 전반에 걸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고 진단하면서 “다만 우리는 지역 기반의 사회적 비용을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 직접적인 사례로 스케일스 전 의장은 “자동차 공장이 소재했던 빅토리아 주 엘리자베스(Elizabeth), 질롱(Geelong), 알토나(Altona) 지역의 수많은 주민들이 직접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입을 것임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 자동차 제조업 폐쇄로 인한 직업 손실


-VIC : 98,480


-NSW : 32,491


-QLD : 30,090


-SA : 23,903


-WA : 11,275


-TAS : 1,742


-ACT : 421


-NT : 421


자료 : 호주 자동차산업위원회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751 호주 높은 기준금리-인플레이션 상황 속, 일부 교외지역 주택가격 크게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50 호주 호주 여성들, 나이 많아지면서 남성 비해 주거용 부동산 소유 더 많아지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49 호주 가을 자동차 여행... 경험자들이 꼽은 ‘Best road trips around NSW’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48 호주 ‘multiple jobs’ 근로자 확대, 지난해 마지막 분기에만 1.4%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47 호주 NSW 대다수 유권자들, Chris Minns 정부의 ‘고밀도 주택정책’ 지지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46 호주 매일 9,000보 이상 걷기... 질병으로부터의 구체적인 ‘효과’ 밝혀져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45 호주 NSW 자유당 청년 조직 ‘Young Libs’, 노동당 주택정책 ‘지지’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44 호주 “새로운 AI 기술 관련 규제 위해 불필요하게 시간 낭비할 필요 없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43 호주 빅토리아 ‘Division of Dunkley’ 보궐선거, 노동당 의석 유지되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42 호주 NSW 주 상위 학업성적 학교들의 교습 방식은 ‘explicit instruction’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41 호주 시드니 제2공항 인근 Leppington, 2018년 이후 주택가격 ‘최다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40 호주 지난해 11월 이후의 기준금리, 이달 셋째 주에 변동여부 확인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9 호주 주택부족-임대위기 지속되자 ‘투자용’ 부동산 구입자들, 다시 시장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8 호주 올해 ‘Melbourne Art Fair’, 경기침체 따른 예술품 시장 영향 드러내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7 호주 공립학교 학부모 연 평균 부담금 357달러, 사립은 평균 1만3,000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6 호주 올해 ‘Stella Prize’ 후보에 작가 캐서린 바본-케이트 밀덴홀 등 포함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5 호주 올 1월 인플레이션, 대다수 경제학자들 반등 기대치보다 낮게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4 호주 호주 전 산업 부문에서 성별 임금격차 ‘뚜렷’... 해결 위한 조치는?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3 호주 NSW 주 집권 노동당의 유권자 지지도, 정부 구성 1년 만에 야당에 ‘역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2 호주 호주의 에어비앤비 숙소, ‘주택부족’ 문제에 미치는 영향 “크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1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자궁내막증 치료 위한 신약 ‘승인’... 13년 만의 추가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0 호주 연방정부, 5월 예산안 이후 ‘HECS 상환액 계산방식 변경 계획’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9 호주 호주 실질임금, 거의 3년 만에 처음으로 상승... 인플레이션 수치 앞질러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8 호주 “120만 채 주택건설? 연방정부, 주-테러토리에 대대적 조치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7 호주 NSW-빅토리아 주 소재 5개 사립학교, 학교 시설에 ‘막대한 자금’ 투자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6 호주 “첫 주택구입자들, 뒷마당 있는 단독주택 구입 더욱 어려워졌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5 호주 학생비자 승인 급락, “정부가 ‘교육 목적지로서의 명성’ 위험에 빠뜨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4 호주 호주 어린이 3분의 1, “학교에서 ‘능숙한 읽기’ 배우지 못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3 호주 Political leadership... 연립 야당, 2022년 선거 이후 처음으로 노동당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2 호주 각 대학들, ‘캠퍼스 내 성폭력 방지’ 계획으로 ‘국가적 행동강령’ 적용 받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1 호주 흡연자는 실직 상태 또는 정신건강 이상?... “일반적 통념, 잘못됐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0 호주 “호주 유입 해외 이민자들 ‘지역경제 활성화-임금상승 효과’ 가져와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9 호주 유학생 비자승인 제한 관련 호주 주요 대학들, 연방 이민정책에 반기?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8 호주 실질적 호주 최고 권력자 ‘Prime Minister’의 배우자로 살아간다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7 호주 앤서니 알바니스 총리-조디 헤이든 여사, SNS 통해 ‘깜짝’ 결혼계획 내놔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6 호주 높은 인플레이션-금리 상승에서도 NSW 경제, 일자리 생성 계속됐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5 호주 시드니 CBD 반경 10km 이내, 주택 구입 ‘most affordable suburbs’는...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4 호주 시드니 학부모들, 가계재정 압박-사립학교 학비 인상에도 불구하고...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3 호주 “올해 1월 들어 일자리 거의 추가되지 않았다”... 실업률, 4%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2 호주 캔터베리 뱅스타운 시, 1천 명 이상의 새 ‘호주 시민’ 받아들여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1 호주 상당수 국민들 ‘주택부족-임대위기’로 고통 받는데... 의원들은 부동산 투자?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10 호주 지난 5년 사이 시드니에서 건설된 아파트, ‘3개 층만 더 높았더라면...’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09 호주 중앙은행, 생활비 압박에 허덕이는 가계에 ‘이자율 인하 희망’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08 호주 NSW 정부의 유료도로 통행료 환급 대상 운전자들, “지금 청구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07 호주 경매 통해 주택을 매매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06 호주 오늘날 우리는 왜 ‘아름다움=고결, 추함=고쳐야 할 문제’로 인식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05 호주 도미닉 페로테트 전 NSW 주 총리, ‘negative gearing’ 검토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04 호주 미성년자 음주 관련 조사, “절반은 부모에게서 알코올 제공받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03 호주 호주 내 해외유학생 수치, 기록적 감소... 학생비자 승인 20%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02 호주 수백 만 명의 주택 소유자, 가격 상승으로 올 1월에만 약 3천 달러 수익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