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해변).jpg

갖가지 쓰레기로 뒤덮인 호주의 해변들. 해변에 널린 쓰레기의 4분 3이 플라스틱 조각들로, 이 쓰레기들은 600여 종의 해양생물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CSIRO, 2년여에 걸쳐 해안 오염도 조사... 플라스틱 쓰레기 ‘심각’



호주의 해변에 관한 새로운 연구에서 놀랄 만한 결과가 나왔다.


호주 과학산업연구기관인 CSIRO(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의 연구원들은 호주의 전 해안 지역을 100km씩 2년에 걸쳐 조사하면서 얼마만큼의 쓰레기로 덮여 있는지를 확인했다.


연구원들은 이 같은 방식으로 175개 이상의 해변을 조사한 결과 호주에서 가장 더러운 해변이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와 남부 호주(South Australia) 사이의 경계에 위치한 ‘Border Village’임을 확인했다. 이곳은 이번 연구에서 가장 외딴 곳에 자리한 가장 대표적인 해안이었으며 또한 들어서기가 힘든 가장 지저분한 해변이었다.


이번 연구팀 중 하나인 CSIRO의 더니스 하데스티(Denise Hardesty) 박사는 쓰레기들이 다른 나라의 오염된 바다로부터 떠내려 온 것이 아니었다고 말한다.


연구원들은 현 상 바다 상태를 나타낸 데이터와 각 항목을 시험한 결과 이 해안을 지저분하게 만든 것은 바로 호주인들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하데스티 박사는 “일반적으로 우리(연구원)가 찾아낸 대부분은 바로 우리(호주인들)에게서 비롯된 것”이라며 “외진 곳에 거주하든 아니면 도시 가까이 살든 상관없이 우리(호주인)가 아무 데나 쓰레기를 버리고 있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불법 쓰레기 투기, 무책임한 선원들, 부주의한 해수욕자(beachgoer)들 모두가 부끄러워해야 할 일이라는 게 하데스티 박사의 말이다. 연구원들은 이번 연구를 통해 특히 불법적인 쓰레기 투기에 대한 규제 강화와 강력한 집행을 권고했다.


하데스티 박사는 “쓰레기, 폐기물 관리 측면에서 우리(호주인)는 우리가 할 수 있고 또 (환경을 위해) 해야 할 필요가 있음에도 그렇게 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1억5천만 개 이상의


해안에 버려진 쓰레기들



이번 CSIRO 조사를 통해 호주 해안(sand and shores)에 1억5천만 개의 쓰레기들이 산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호주 해안에 널려진 쓰레기 가운데 가장 일반적인 것은 플라스틱 제품으로, 이는 전 세계 플라스틱 공장의 급속한 성장에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하데스티 박사는 “우리(연구원)가 발견한 각 폐기물 항목 가운데 4분의 3은 플라스틱이었다”며 “연구원들이 ‘플라스틱 먹이’라고 부른 이 폐기물들은 600여 종의 해양생물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진단했다.


그녀는 이어 “해안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새의 위에서 담배 라이터, 칫솔, 작은 약병과 뚜껑 등이 나오기도 했다”고 말했다.


심지어 연구원들은 죽어 있는 거북의 배를 갈라 확인할 결과 거북의 위장이 온통 플라스틱으로 가득 차 있었음을 발견하기도 했다.


하데스티 박사는 “죽어 있는 조류 한 마리에 최소 200개 이상의 플라스틱 조각이 나왔다”면서 이번 조사의 최종 보고서는 올해 말 출간된 예정이라고 말했다.



■ 가장 오염된 해변과 깨끗한 해변


-NSW


•Dirtiest : Shelly Beach / Manly


•Cleanest : Red Rock Beach / NSW North Coast



-Northern Territory


•Dirtiest : Cape Arnhem


•Cleanest : Cape Hay



-Queensland


•Dirtiest : Barney Point Beach / Gladstone


•Cleanest : Mackay



-South Australia


•Dirtiest : Border Village (SA)


•Cleanest : Nora Creina



-Tasmania


•Dirtiest : East Kangaroo Island(West Gulch)


•Cleanest : Cape Grim



-Victoria


•Dirtiest : Pearse's Road Beach


•Cleanest : Gibbs Track Beach, Lakes Entrance



-Western Australia


•Dirtiest : Ellensbrook Beach


•Cleanest : 80 Mile Beach


Source: CSIRO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1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5월 이후 다시 ‘오름세’ 호주한국신문 14.07.03.
250 호주 어번타운센터, 업그레이드 공사 마치고 공식 ‘오픈’ 호주한국신문 14.07.03.
249 호주 “다민족 사업자 지원 위한 산업자문관 임명 계획” 호주한국신문 14.07.03.
248 호주 NSW 공정거래부, 비승인 USB 충전기 판매 조사 호주한국신문 14.07.03.
247 호주 캠시 주민들과 만난 봅 카 전 NSW 주 수상 호주한국신문 14.07.03.
246 호주 퀸즐랜드 한인회, 영사관 민원업무 대행 협약 호주한국신문 14.07.03.
245 호주 UTS, 최신 영어교육 프로그램 한국 보급키로 호주한국신문 14.07.03.
244 호주 인종차별법을 둘러싼 조지 브랜디스와 ‘IPA’의 오류 호주한국신문 14.07.03.
243 호주 한국문화원, ‘Good Food & Wine Show 2014’ 참가 호주한국신문 14.07.03.
242 호주 한인회, ‘문화 예술의 전당’ 순조로운 진행 기원 호주한국신문 14.07.03.
241 호주 ‘코윈’ 호주지회, ‘건강’ 주제의 정기 세미나 마련 호주한국신문 14.07.03.
240 호주 “한인 동포를 비롯한 은행 고객들에게 감사...” 호주한국신문 14.07.03.
239 호주 6월 마지막 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 74.1%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7.03.
238 호주 시드니, 새 아파트 수요 높아... 주택시장 활기 입증 호주한국신문 14.07.03.
237 호주 호주인들, 수명 길어진 반면 만성질환도 많아 호주한국신문 14.06.26.
236 호주 ISIS는 어떤 세력인가... 호주한국신문 14.06.26.
235 호주 서방국가들, 아랍계 자국민의 ISIS 합류로 ‘골치’ 호주한국신문 14.06.26.
234 호주 항우울제 등 신경치료제 복용 아동 크게 증가 호주한국신문 14.06.26.
233 호주 이집트 법원, 호주인 기자 등에 징역 7년형 선고 호주한국신문 14.06.26.
232 호주 법원, 론 울프 바이키 갱 살해범에 징역 20년 구형 호주한국신문 14.06.26.
231 호주 주 정부의 부동산 매입 보상금, 현실성 떨어져 호주한국신문 14.06.26.
230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새 열차라인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229 호주 ‘초이스’(choice), 아이들 인기 간식 영양 평가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228 호주 불법 바이키 갱 ‘헬스엔젤스’ 조직원 습격당해 호주한국신문 14.06.26.
227 호주 연방 정부, 테러 방지 위해 새 여권 도입 호주한국신문 14.06.26.
226 호주 한국문화원, ‘한식요리 경연’ 시드니 예선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26.
225 호주 “평화헌법 입법 취지와 진정성 유린 말라” 호주한국신문 14.06.26.
224 호주 조선시대 화가들의 작품, ‘현대’로 재탄생되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223 호주 김봉현 주호주대사 빅토리아 주 공식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6.26.
222 호주 “언어 학습은 가정에서 시작됩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221 호주 “세월호 참사를 잊는 순간이 바로 제2의 참사입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220 호주 달링스퀘어(Darling Square) 1차 분양, 하루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26.
219 호주 NSW 주 예산안, 취약 계층을 위해 10억 달러 사용 호주한국신문 14.06.20.
218 호주 호주의 검은 심장 ‘The Block’ 철거 호주한국신문 14.06.20.
217 호주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카운셀러들, ‘업무 과다’ 호주한국신문 14.06.20.
216 호주 도심 및 유흥지구 대상 강화된 음주법 관련 호주한국신문 14.06.20.
215 호주 “길거리 스마트폰 문자 사용, 사고위험 높다” 경고 호주한국신문 14.06.20.
214 호주 비만, 폭음 등으로 젊은 층 심장질환자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6.20.
213 호주 온라인 데이트 사기, “돈 잃고 마음 다치고...” 호주한국신문 14.06.20.
212 호주 시드니 이너 시티 및 다윈, 실업률 가장 낮아 호주한국신문 14.06.20.
211 호주 신종 마약 ‘스냅챗’ 복용으로 병원 치료 호주한국신문 14.06.20.
210 호주 “전 세계 시민단체와 논의, ‘G20’ 의제 결정할 것” 호주한국신문 14.06.20.
209 호주 텔스트라(Telstra), ‘홈 번들-글로벌’ 상품 출시 호주한국신문 14.06.20.
208 호주 ‘행복을 전하는 한국민화’, 이번엔 어번 시에서 호주한국신문 14.06.20.
207 호주 NSW 주 고교연합, 세월호 피해자 ‘위로 메시지 북’ 제작 호주한국신문 14.06.20.
206 호주 한국현대미술전, 카나본 골프클럽서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6.20.
205 호주 지난 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 75.6%, 다소 낮아져 호주한국신문 14.06.20.
204 호주 한인회, 일본 및 중국정원 탐방 호주한국신문 14.06.12.
203 호주 ‘Y 세대’ 수요증가로 시드니 지역 아파트 건설 붐 호주한국신문 14.06.12.
202 호주 NSW 교통부장관, “시드니 고속철도 건설, 3년 내 착수” 호주한국신문 1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