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아파트 붐).jpg

시드니 시티 지역에서 대대적인 아파트 건설이 붐을 이루고 있다. 사진은 2017년 완공 예정인 그린랜드 센터의 예상도.


2018년까지 시티 인구 절반 아파트 거주 예상



시드니 시티 지역에서 아파트 건설이 붐을 이룰 준비를 하고 있다.


시티 오브 시드니(City of Sydney)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2년 사이 CBD에 건설된 주거용 부동산은 단지 254채 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개발 그룹인 어반 태스크포스의 크리스 존슨(Chris Johnson) 최고 경영자는 향후 5년인 2017년까지 3000채 정도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사람들은 일터 근처에 살기를 원하며 대부분의 일자리는 CBD에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12일 시티 배서스트 스트리트(Bathurst Street)에 위치해 있으며 시드니에서 가장 높은 주거 타워이자 6억8천 만 달러의 공사비가 들어갈 그린랜드 센터(Greenland Centre)의 2차 분양이 시작되어 120세대의 아파트가 분양되었다.


침실 2개의 아파트를 186만5천 달러에 분양 받은 모스만 거주 래이첼 보(Rachel Vo)씨는 “나는 한 번도 시티에 살아본 적은 없지만 이곳은 내가 가고 싶어 하는 곳과 가깝다. 북부, 동부 어디든 쉽게 갈수 있다”고 전했다.


그린랜드 센터의 470세대 아파트는 중국 난징에서 세계 8번째로 높은 빌딩의 건설사인 그린랜드에 의해 분양되고 있다.


이 그룹은 또한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건물이 될 중국 우한의 슈퍼 스크랩퍼(super-scraper)의 계획을 가지고 있다.


그린랜드 센터의 1차 분양에서는 2억7500만 달러 이상의 판매를 올렸고 2차 분양에서는 1억 4천만 달러의 판매를 달성했다. 이어 6월에 있을 3차 분양에는 9채의 펜트하우스가 포함됐으며 일부 분양가는 1천 만 달러 이상이다. 이 타워의 건설은 6월 말에 시작하여 2017년 말로 완공이 예정되어 있다.


CBRE의 데이비드 밀톤(David Milton) 전무이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시티에서 집을 임대하는 대신 구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린랜드의 가장 최근 분양에서 62%의 아파트는 이미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분양되었으며, 더 많은 사람들이 아파트에 사는 것에 적응해가고 있다”고 전하면서 “2011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시드니 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들 중 25.8%가 아파트 거주자”라고 말했다.


시티의 새로운 건설 승인 중 70%는 아파트로 존슨 최고 경영자는 “2018년까지 시드니 시티의 절반은 주택에 살고 절반은 아파트에 사는 ‘50-50 도시’가 될 것”예상했다.


파이프 캐피탈(Fife Capita)은 조지 스트리트(George Street)에 200세대의 아파트가 들어설 요크 앤 조지(York & George)를 건설 중에 있으며 크라운 그룹(Crown Group)은 클래런스 스트리트(Clarence Street)에 220세대 아파트를 개발 계획을 가지고 있다. 또 시로즈(Ceerose) 개발사는 하이드 파크(Hyde Park) 근처의 엘리자 빌딩(Eliza Building) 건설을 이달 말 끝낼 계획이다. 2개의 아파트를 제외한 19개 아파트의 펜트하우스는 1500만 달러 이상으로 판매가 예상되고 있으며 이미 구매자들이 확정되었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1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5월 이후 다시 ‘오름세’ 호주한국신문 14.07.03.
250 호주 어번타운센터, 업그레이드 공사 마치고 공식 ‘오픈’ 호주한국신문 14.07.03.
249 호주 “다민족 사업자 지원 위한 산업자문관 임명 계획” 호주한국신문 14.07.03.
248 호주 NSW 공정거래부, 비승인 USB 충전기 판매 조사 호주한국신문 14.07.03.
247 호주 캠시 주민들과 만난 봅 카 전 NSW 주 수상 호주한국신문 14.07.03.
246 호주 퀸즐랜드 한인회, 영사관 민원업무 대행 협약 호주한국신문 14.07.03.
245 호주 UTS, 최신 영어교육 프로그램 한국 보급키로 호주한국신문 14.07.03.
244 호주 인종차별법을 둘러싼 조지 브랜디스와 ‘IPA’의 오류 호주한국신문 14.07.03.
243 호주 한국문화원, ‘Good Food & Wine Show 2014’ 참가 호주한국신문 14.07.03.
242 호주 한인회, ‘문화 예술의 전당’ 순조로운 진행 기원 호주한국신문 14.07.03.
241 호주 ‘코윈’ 호주지회, ‘건강’ 주제의 정기 세미나 마련 호주한국신문 14.07.03.
240 호주 “한인 동포를 비롯한 은행 고객들에게 감사...” 호주한국신문 14.07.03.
239 호주 6월 마지막 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 74.1%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7.03.
238 호주 시드니, 새 아파트 수요 높아... 주택시장 활기 입증 호주한국신문 14.07.03.
237 호주 호주인들, 수명 길어진 반면 만성질환도 많아 호주한국신문 14.06.26.
236 호주 ISIS는 어떤 세력인가... 호주한국신문 14.06.26.
235 호주 서방국가들, 아랍계 자국민의 ISIS 합류로 ‘골치’ 호주한국신문 14.06.26.
234 호주 항우울제 등 신경치료제 복용 아동 크게 증가 호주한국신문 14.06.26.
233 호주 이집트 법원, 호주인 기자 등에 징역 7년형 선고 호주한국신문 14.06.26.
232 호주 법원, 론 울프 바이키 갱 살해범에 징역 20년 구형 호주한국신문 14.06.26.
231 호주 주 정부의 부동산 매입 보상금, 현실성 떨어져 호주한국신문 14.06.26.
230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새 열차라인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229 호주 ‘초이스’(choice), 아이들 인기 간식 영양 평가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228 호주 불법 바이키 갱 ‘헬스엔젤스’ 조직원 습격당해 호주한국신문 14.06.26.
227 호주 연방 정부, 테러 방지 위해 새 여권 도입 호주한국신문 14.06.26.
226 호주 한국문화원, ‘한식요리 경연’ 시드니 예선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26.
225 호주 “평화헌법 입법 취지와 진정성 유린 말라” 호주한국신문 14.06.26.
224 호주 조선시대 화가들의 작품, ‘현대’로 재탄생되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223 호주 김봉현 주호주대사 빅토리아 주 공식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6.26.
222 호주 “언어 학습은 가정에서 시작됩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221 호주 “세월호 참사를 잊는 순간이 바로 제2의 참사입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220 호주 달링스퀘어(Darling Square) 1차 분양, 하루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26.
219 호주 NSW 주 예산안, 취약 계층을 위해 10억 달러 사용 호주한국신문 14.06.20.
218 호주 호주의 검은 심장 ‘The Block’ 철거 호주한국신문 14.06.20.
217 호주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카운셀러들, ‘업무 과다’ 호주한국신문 14.06.20.
216 호주 도심 및 유흥지구 대상 강화된 음주법 관련 호주한국신문 14.06.20.
215 호주 “길거리 스마트폰 문자 사용, 사고위험 높다” 경고 호주한국신문 14.06.20.
214 호주 비만, 폭음 등으로 젊은 층 심장질환자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6.20.
213 호주 온라인 데이트 사기, “돈 잃고 마음 다치고...” 호주한국신문 14.06.20.
212 호주 시드니 이너 시티 및 다윈, 실업률 가장 낮아 호주한국신문 14.06.20.
211 호주 신종 마약 ‘스냅챗’ 복용으로 병원 치료 호주한국신문 14.06.20.
210 호주 “전 세계 시민단체와 논의, ‘G20’ 의제 결정할 것” 호주한국신문 14.06.20.
209 호주 텔스트라(Telstra), ‘홈 번들-글로벌’ 상품 출시 호주한국신문 14.06.20.
208 호주 ‘행복을 전하는 한국민화’, 이번엔 어번 시에서 호주한국신문 14.06.20.
207 호주 NSW 주 고교연합, 세월호 피해자 ‘위로 메시지 북’ 제작 호주한국신문 14.06.20.
206 호주 한국현대미술전, 카나본 골프클럽서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6.20.
205 호주 지난 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 75.6%, 다소 낮아져 호주한국신문 14.06.20.
204 호주 한인회, 일본 및 중국정원 탐방 호주한국신문 14.06.12.
203 호주 ‘Y 세대’ 수요증가로 시드니 지역 아파트 건설 붐 호주한국신문 14.06.12.
202 호주 NSW 교통부장관, “시드니 고속철도 건설, 3년 내 착수” 호주한국신문 1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