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에릭 보글).jpg

스코틀랜드 출신의 호주 유명 포크송 가수이자 작사 작곡가인 에릭 보글(Erig Bogle). 그가 1971년 만든 이 노래는 오늘날 호주인들의 ‘30대 유명 노래’ 중 하나로 선정되어 있다.


갈리폴리 반도 참전 상이군인의 회한



‘나 태어난 이 강산에 군인이 되어 / 꽃 피고 눈 내리기 어언 삼십년 / 무엇을 하였느냐 무엇을 바라느냐 / 나 죽어 이 흙 속에 묻히면 그만이지 / 아 다시 못 올 흘러간 내 청춘 / 푸른 옷에 실려 간 꽃다운 이내 청춘...’


언더그라운드 가수이자 민중가수로 알려진 김민기씨가 군 복무 시절, 평생 선임하사관(상사)로 복무했던 상사의 조촐한 전역 송별식 술자리에 참석했다가 선물로 주려고 작사 작곡했다는 ‘늙은 군인의 노래’ 첫 부분이다. 이 노래는 이후 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이 운동가요로 가사만 바꾸어 부름으로서 더욱 유명해지기도 했다.


평생은 선임하사관으로, 직업 군인으로 살았던 한 군인의 회한과 그럼에도 국가를 생각하는 신념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가사로 비단 80년대 젊은이들뿐 아니라 대중들의 사랑을 받았던 노래이기도 하다.


이와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는 무리가 있지만,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안작 부대원으로 참전했던 한 병사를 그린 호주의 유명한 노래가 있다. 바로 ‘And the Band Played Waltzing Matilda’라는 노래로, 안작 데이의 의미와 호주 참전군인들의 국가 사랑, 요즘 젊은 세대의 무관심을 빗댄 이 노래는 호주인들이 좋아하는 호주의 30대 노래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 노래는 1971년 스코틀랜드 출신의 호주 포크송 가수이자 작곡가인 에릭 보글(Eric Bogle)이 직접 가사를 쓰고 곡을 붙인 노래이다. 제1차 세계대전 중 안작 부대원으로 갈리폴리 전투에 참전했다가 불구가 된 한 젊은이의 이야기를 통해 당시 전투의 처참한 상황을 묘사하면서 전쟁 전, 호주 초원과 아웃백을 자유롭게 오가며 살던(Waltzing Matilda) 그 시절로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회한을 담고 있다. 노래 끝 부분에 ‘Waltzing Matilda’ 가사 일부를 덧붙인 것은 그 상황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 노래는 지난 2001년 호주 작곡가협회(Australian Performing Right Association. APRA) 창립 75주년 기념행사에서 호주인들이 즐기는 30대 노래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


보글은 애초 이 노랫말을 8절로 만들었으나 너무 길 느낌이 있어 5절로 줄였다고 알려져 있다. 1974년 브리즈번(Brisbane)에서 열린 포크송 페스티벌에서 에릭 보글은 이 노래를 선보여 사람들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당시 그가 출품한 노래가 두 곡이라서 이 노래는 입상에 들지 못했는데, 이 노래에 감동을 받은 이들이 입상하지 못한 점에 더 놀랐다는 이야기도 있다.


당시 페스티벌에는 다윈(Darwin) 지역에 있는 채널 제도(Channel Islands)에서 온 제인 허리벌(Jane Herivel)이라는 여성이 있었는데, 에릭 보글의 이 노래에 감명을 받은 그녀는 보글에게 이 노래 악보를 요청, 영국 남부의 한 페스티벌에서 이 노래를 불렀고 후에 이를 레코드로 만들었다. 그런 후 원 작사 작곡자인 에릭 보글도 모르는 사이 이 노래는 영국은 물론 미국에서도 크게 알려지게 됐다. 1976년 영국을 방문했던 에릭 보글은 자신의 노래가 이곳에서 유명한 것을 알고는 크게 놀랐으며, 지역 축제에서 이 노래를 불러달라는 요청을 받기도 했다.


‘And the Band Played Waltzing Matilda’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When I was a young man I carried me pack


And I lived the free life of the rover


From the Murray's green basin to the dusty outback


I waltzed my Matilda all over


Then in 1915 my country said: Son,


It's time to stop rambling, there's work to be done


So they gave me a tin hat and they gave me a gun


And they sent me away to the war





And the band played Waltzing Matilda


When the ship pulled away from the quay


And amid all the tears, flag waving and cheers


We sailed off for Gallipoli





It well I remember that terrible day


When our blood stained the sand and the water


And how in that hell they call Suvla Bay


We were butchered like lambs at the slaughter


Johnny Turk, he was ready, he primed himself well


He rained us with bullets, and he showered us with shell


And in five minutes flat, we were all blown to hell


He nearly blew us back home to Australia





And the band played Waltzing Matilda


When we stopped to bury our slain


Well we buried ours and the Turks buried theirs


Then it started all over again





Oh those that were living just tried to survive


In that mad world of blood, death and fire


And for ten weary weeks I kept myself alive


While around me the corpses piled higher


Then a big Turkish shell knocked me arse over head


And when I awoke in me hospital bed


And saw what it had done, I wished I was dead


I never knew there was worse things than dying





Oh no more I'll go Waltzing Matilda


All around the green bush far and near


For to hump tent and pegs, a man needs both legs


No more waltzing Matilda for me





They collected the wounded, the crippled, the maimed


And they shipped us back home to Australia


The armless, the legless, the blind and the insane


Those proud wounded heroes of Suvla


And when the ship pulled into Circular Quay


I looked at the place where me legs used to be


And thank Christ there was no one there waiting for me


To grieve and to mourn and to pity





And the Band played Waltzing Matilda


When they carried us down the gangway


Oh nobody cheered, they just stood there and stared


Then they turned all their faces away





Now every April I sit on my porch


And I watch the parade pass before me


I see my old comrades, how proudly they march


Renewing their dreams of past glories


I see the old men all tired, stiff and worn


Those weary old heroes of a forgotten war


And the young people ask "What are they marching for?"


And I ask myself the same question





And the band plays Waltzing Matilda


And the old men still answer the call


But year after year, their numbers get fewer


Someday, no one will march there at all





Waltzing Matilda, Waltzing Matilda


Who'll come a-Waltzing Matilda with me?


And their ghosts may be heard as they march by the billabong


So who'll come a-Waltzing Matilda with me?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401 호주 호주 전역 부동산의 36%, 임대보다 구입이 저렴...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400 호주 호주 전 지역서 주택 거래에 소요되는 기간, 크게 짧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9 호주 광역시드니 부동산 투자로 수익-손실 본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8 호주 “수돗물 활용으로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 감소를...”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7 호주 전염병 사태로 인한 또 하나의 현상, 자동차 수요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6 호주 NSW 주의 비즈니스-일자리 보호 위한 주요 지원 내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5 호주 호주 경제 호황 속, 10년 만에 실업률 5% 이하로 하락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4 호주 화제의 인물- ‘Outback Cleanups Australia’의 Langford-Baraiolo 커플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3 호주 “시드니 록다운 상황에서 감염자 확산, 규정 준수 어겼기 때문”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2 호주 [호주 노동시장 분석] 이민문호 개방 불구, 숙련 기술자 부족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1 호주 광역시드니 ‘감염 상황’, 강화된 록다운 규정으로 ‘반전’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0 호주 아이슬란드의 시험적 주 4일 근무, ‘압도적 성공’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89 호주 “호주-한국간 우호, 더욱 강화해 나가길 기대합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88 호주 올해 ‘마일즈 프랭클린 문학상’, TAS 작가 아만다 로리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87 호주 40세 미만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접종을 고려한다면...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86 호주 시드니 주말경매- 자선단체 기부 주택, 잠정가격에서 37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85 호주 시드니 경매 화제- 뉴포트 주택, 3년 만에 2배 가격 매매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84 호주 첫 주택 구입자들, 예산 낮추려 주차 공간 없는 아파트 눈독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83 호주 주택가격 상승으로 임대료, 12년 만에 가장 큰 폭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82 호주 전기자동차 이용자, NSW 및 빅토리아 주에 집중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81 호주 멜번 외곽 임대료 상승... 임차인들, 더 먼 지역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80 호주 “시드니 럭셔리 주택가격, 세계 최고 수준 이를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9 호주 WHO, COVID-19 기원조사에 ‘전 세계국가들 협력’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8 호주 캔버라 국회의사당, 또 한 번 일반인 공개 잠정 중단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7 호주 뉴질랜드, 호주와의 ‘트래블 버블’ 잠정 중단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6 호주 지역사회 역사 담아낸 소셜미디어, 높은 인기 구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5 호주 전염성 높은 ‘델타’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의 위험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4 호주 12-15세 청소년에게 ‘화이자’ COVID 백신접종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3 호주 광역시드니-멜번 록다운, 호주의 마지막 봉쇄 조치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2 호주 광역시드니 록다운 연장에 따른 새 봉쇄 조치 규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1 호주 연방정부, 재난지원-복지 수혜자에 주 150달러 추가 지원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0 호주 NSW 주 ‘골드 스탠다드’ 방역, 어떻게 ‘국가 비상사태’가 됐나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69 호주 시드니 주말경매, 이스트우드 주택 2019년 판매가의 두 배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8 호주 부동산 개발회사 ‘지오콘’, 지난해 최대 성과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7 호주 크라운 그룹, 럭셔리 아파트의 ‘매매 전 객실 체험’ 이벤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6 호주 바이러스 봉쇄 조치로 주요 도시 소매공실률 크게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5 호주 광역시드니 ‘독립형 주택’ 중위가격 140만 달러 돌파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4 호주 호주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안내문 우편 발송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3 호주 호주 와인 영국 수출, 10년 만에 최고 수준... 한국 시장도 11% ↑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2 호주 “일관성 없는 호주 백신 정책, 인명손실 초래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1 호주 ‘델타’ 바이러스 이어 ‘람다’ 변이도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0 호주 정부, 백신접종률 70% 도달시 접종자 혜택 방안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59 호주 각국 1만5천여 부자들, 전염병 기간 중 호주 영주비자 취득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58 호주 호주 고위 공무원, ‘카운터파트’ 국가들에 비해 연봉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57 호주 인구주택총조사 참여 관련 한국어 안내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56 호주 Waterfall by Crown Group, 도시설계 우수성 인정받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55 호주 주택가격, 가장 크게 치솟은 시드니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54 호주 ‘모더나’ 사, 6개월-12세 아동 백신시험으로 호주 포함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53 호주 RBA 총재, “경제적 피해 줄이려면 백신접종 서둘러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52 호주 “COVID-19 백신접종, 바이러스 감염 위험 낮추는 유일한 방법...”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