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산 투견의 하나인 핏불 테리어(pit bull terrier) 종. 지난 주 토요일 레드펀에서 한 남성이 자신의 애완견을 공격하는 핏불을 뜯어말리다가 팔뚝을 수차례 물리는 중상을 입은 사건이 발생하는 등 맹견으로 인한 피해 건수가 늘어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부활절 연휴 동안 시드니서만 3건 발생



이스터 휴가였던 지난 주말, 시드니 3개 지역에서 개가 사람을 공격, 노인을 포함해 3명이 상해를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


부활절인 일요일(20일) 서리힐(Surry Hills) 소재 클리브랜드 스트리트(Cleveland Street)의 한 가게 점원은 남녀 한 쌍이 데리고 온 ‘아메리칸 스태포드 테리어’(American staffordshire terrier)에게 팔뚝을 물려 치료를 받아야 했다.


점원은 이날 낮 12시30분경 가게로 들어온 남녀가 카운터의 금전등록기를 열고 돈을 훔치려 하는 것을 저지하자 이들이 데리고 온 맹견이 공격을 했다고 진술했다. 이 점원은 팔뚝을 물린 뒤 곧바로 응급치료를 받았고, 세인트 빈센트 병원으로 후송됐다.


절도를 시도했던 남녀는 곧바로 가게를 빠져나갔지만 이를 지켜본 증인들이 이들을 뒤쫓아 잡은 뒤 경찰에 인계했다. 이들 남녀는 절도 시도로 기소됐으며 여자는 개 주인으로 개가 다른 이에게 상해를 입힌 혐의가 추가됐다. 카운슬 보안 요원은 이 맹견을 압수했다.


이에 앞서 토요일(19일) 레드펀(Redfern)에서는 한 남성이 ‘핏불’(pit bull) 종 개에게 수차례 물리는 사건이 일어났다.


응급구조반은 이날 밤 10시 조금 안 된 시간 전화를 받았고 레드펀 뱁티스트 스트리트(Baptist Street)에서 손과 팔이 피범벅 된 남성을 발견했다.


경찰은 이 남성이 자신의 애완견을 공격하는 핏불을 말리려는 과정에서 핏불의 공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Good Friday’였던 18일(금) 시드니 남부 산 수지(Sans Souci)에서는 91세의 노인 여성이 ‘아메리칸 핏불 테리어’(American pit bull terrier)의 공격을 받아 병원으로 후송됐지만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린 코우트소나디스(Irene Koutsounadis)씨는 이날 오후 7시 경 딸의 집 자동차 진입로(Drive way)에서 개의 공격을 받았다. 그녀의 딸 비비 게마노스 코우트소나디스(Vivi Germanos Koutsounadis. 69)씨는 이 지역에서 잘 알려진 다문화 대사로 일하는 인물이다. 비비씨는 어머니가 공격당하는 것을 보고 뛰쳐나가 개를 뜯어 놓으려 했지만 그녀 또한 손을 물리기도 했다.


비비씨의 이웃인 다이앤 맥컬럼(Diane McCallum)씨는 “내가 개의 공격을 알고 거기에 갔을 때 이미 한 여성이 바닥에 쓰러져 있었고 주변에는 피 투성이였다”고 말했다.


이어 비명을 듣고 달려온 또 다른 이웃 저스틴(Justin)과 제이콥(Jacob Innes) 부자(父子)가 간신히 이 개를 뜯어 놓았다. 제이콥은 마침 들고 있던 식스팩 맥주로 개를 내리쳐 공격을 중단시켰다. 저스틴씨는 “자동차 진입로가 온통 피범벅이어서 마치 영화의 한 장면 같았다”면서 “누구라도 이런 상황을 보면 달려들어 말렸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산 투견의 하나인 핏불 종은 NSW 주에서 사육이 제한된 품종으로 반드시 카운슬에 등록한 뒤 사육되어야 하며 또한 이 개가 가정을 벗어나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편 지난 해 6월 시드니 남서부, 리버풀 인근의 애쉬크로프트(Ashcroft)에서 한 남성이 세 마리의 아메리칸 스태포드 테리어(American Stafford terrier) 종으로부터 공격을 받아 끔찍한 상해를 입은 사건이 발생한 바 있으며, 7월에는 이스트 힐스(East Hills)에서 두 마리의 아메리칸 스태포드 테리어가 20살의 남성을 공격, 귀를 찢어발기는 사건이 발생하는 등 집에서 사육하는 맹견의 공격 건수가 크게 늘고 있는 상황이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01 호주 NSW 주 운전자들, 지난해 ‘스쿨존’ 위반 8만여 건 file 호주한국신문 16.11.03.
1000 호주 레드펀 창고 개조 아파트 114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6.11.03.
999 호주 Popular small town or ghost town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98 호주 “시드니, 3개 ‘시티’ 지역으로 발전 전략 세워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97 호주 턴불-베어드, 시드니 서부 ‘City Deal’ 열변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96 호주 “호주 국가 경제, NSW 주가 선도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95 호주 개발업자 인센티브, ‘적정 주택가격’ 해결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94 호주 변화의 시대, 호주 기업들은 어떤 인재를 원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93 호주 FWO, 근로조건 위반 업체 적발 지속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92 호주 올해의 ‘맨부커상’, 미국 작가 폴 비티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91 호주 유명 해안의 상어 공격, 가장 많은 비치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90 호주 ‘적합한 거주지 선택’ 주제의 패널 토론, 그 결론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89 호주 유명 화가 벤 퀼티, 뮤란 스쿠마란 작품 전시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88 호주 호주 남녀평등지수, OECD 국가 평균에 미달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87 호주 9월 분기 물가 0.7%↑, 기준금리는 그대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86 호주 아난데일 오랜 주택 ‘Oybin’, 312만 달러 매매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85 호주 10 best country towns for day trips near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984 호주 노동당, ‘동성결혼’ 관련 국민투표 거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983 호주 베어드, ‘그레이하운드 경주 전면 금지’ 철회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982 호주 주류제공 업소 영업시간 축소 등으로 호주인 술 소비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981 호주 멜번, 전 세계 도시별 주택가격 상승 43번째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980 호주 90년 넘는 포드자동차 호주 생산, 최종 종료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979 호주 호주 최대 규모 목장, 광산재벌 품에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978 호주 “원주민이 주도하는 자살예방 계획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977 호주 시드니 올림픽 파크, 대대적 개발 계획안 나와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976 호주 고령화 사회 호주, ‘실버 쓰나미’ 경고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975 호주 NSW 학생 비만실태 측정 위한 ‘체력장’ 도입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974 호주 주택공급 부족, 낡은 테라스하우스도 30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973 호주 The world’s 10 scariest roads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972 호주 호주, 도박문제 심각... 정부 세수는 수십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971 호주 도박산업과 정치후원, 불가분의 관계인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970 호주 지난 회계연도, 시드니 지역 주택 3만 가구 건설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969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 금리 1.5% 유지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968 호주 NSW 주 STEM 석사과정,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967 호주 주택 공급자 매매가 인상, 주택가격 높여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966 호주 NSW 주 경찰청 본부, ‘커티스 쳉 센터’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965 호주 호주 젊은이들, 말레이시아서 ‘국기모독’으로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964 호주 의료보건-사회복지 부문, 호주 일자리 성장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963 호주 바삼 함지, 교도소 내 세 번째 휴대전화 적발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962 호주 호주인 25%, 매주 기부금 요청 전화 수신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961 호주 지난해 호주서 매일 5명씩 사산아 출산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960 호주 주택개발 업체, 20대 커플의 내집 마련 꿈 꺾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959 호주 연립 여당 우선투표 지지, 40% 이하로 떨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958 호주 정부, 이민자 고령 부모에 5년 비자 제공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957 호주 호주인 60%, 무슬림과의 결혼에 ‘우려’ 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956 호주 6-8월 구직시장, ‘화이트 칼라’ 직업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955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문제, 호주인 의식 변한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954 호주 시드니 인구 빠른 속도로 증가, 주택난 심화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953 호주 원주민 건강 실태, 비원주민 비해 크게 ‘악화’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952 호주 중국인들은 왜 호주 부동산 구입에 열광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