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만드는 한 중국 친구가 중국에서 일어난 실화를 10분짜리 단편 영화로 만들었다. 내용은 이러하다.

 


중국의 한 지방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한 남자. 두 시간을 기다렸던 터라 아주 반갑게 44번 버스에 오른다. 버스 운전사는 20대의 앳되고 예쁘장한 여자다. 운전사 신분증에는 다른 여자 사진이 찍혀있어서 농담을 주고받으며 가벼운 인사를 건넨다. 자리를 찾아 앉으라는 운전사의 말을 듣고 자리에 앉은 남자는 잠시 후 졸기 시작한다. 한참을 달리던 버스는 두 남자의 손 신호를 받고 멈춘다. 버스에 오르자마자 칼을 꺼낸 남자들은 돈을 꺼내라고 승객들을 위협한다. 버스를 꽉 채운 승객들의 대부분은 남자들이다. 돈을 안 꺼내는 한 승객을 주먹과 발길질로 파워를 과시한 두 명의 강도들은 그대로 달아나려 하다가, 버스 운전사를 본다. 그리고는 막무가내로 운전사를 버스에서 끌어내려, 갓길로 끌고 간다. 버스 운전사는 도와달라고 소리를 친다. 하지만 누구도 움직이려 하지 않는다. 한 남자 승객이 움찔했지만, 옆에 앉은 여자 승객이 그를 잡아당긴다. 두 시간 기다렸다 탔던 남자가 승객들을 향해 소리 지른다. 왜 가만히 보고만 있느냐고, 왜 도와줄 생각을 안 하느냐고... 하면서 혼자 강도들을 쫓아간다. 그래도 버스에 있는 많은 승객은 버스 차창에 붙어서는 구경만 할 뿐이다. 강도가 휘두르는 칼을 맞아 쓰러진 남자 앞에서 버스 운전사는 강간을 당한다. 그리고는 재빨리 도망치는 강도들...

졸지에 강도에다 강간까지 당한 여자 버스 운전사는 비틀거리면 버스로 돌아온다. 그리고 가만히 앉아있는 승객들을 천천히 째려본다. 그런 그녀의 시선을 외면하는 승객들을 보며 여자 버스 운전사는 입에서 흘러내리는 피를 쓰윽 닦으며 운전석에 앉는다. 상처를 입은 남자가 버스로 힘겹게 걸어와서는 물었다. 괜찮냐고... 미안하다고... 그러면서 버스에 오르려는데, 버스 운전사가 내리라 명령한다. 남자는 영문을 몰라 묻는다. 이 많은 사람 중에 나만 당신을 살리겠다고 하다가 다치기까지 했는데 왜 버스를 못 타게 하냐고... 여자는 남자 승객의 가방을 차창 밖으로 냅다 던지면서 다시 한 번 “내려”라고 소리친다. 그리곤 버스를 운전해 남자만 휑하니 남겨둔 채 떠난다. 남자는 너무나 어이가 없어서 한동안 버스가 떠난 자리를 떠나지 못한다. 방금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인가? 하면서. 겨우 지나가는 차를 한 대 얻어탄 남자는 한 참을 가다가 경찰차에 의해서 잠시 멈춰진 차에서 내린다. 경찰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사고 현장에서, 남자는 한 경찰이 무전으로 상사에게 보고하는 소리를 듣는다.

“44번 버스 승객과 버스 운전사 전원 사망입니다”

 


특별한 장치도 없고, 영상미도 없고, 배우들도 이름 없는 배우들이고, 언뜻 보면 마치 교회에서나 볼 수 있는 아주 짧은 꽁트 같은 느낌의 단편영화이다. 하지만 이 단편 영화가 주는 메시지는 너무나 강하다. 강해서 눈을 찔끔 가리게 한다.

 


외면하고 싶은 일들, 그냥 지나쳐 갔으면 하는 일들이 우리 주위에는 너무나 많이 일어난다. 최근 들은 말 중에 제일 많이 들은 말이 있다. 바로“이기적이다”라는 말. 농담삼아 주고받기도 했고 한 사람의 성격을 드러내고자 할 때 건네기도 했던, 이“이기적”이라는 단어가 가슴에 박힌다. 이기적이고 단편적인 생각과 행동 때문에 한국에서는 일어나지 말았어야 한 ‘세월호’라는 참사가 일어났고, 그 세월호 같은 일들이 사실은 비일비재하게 우리 일상에서도 일어난다는 진실이 가슴 아프다.

 

차라리 모르는 이들의 이기적 행동은 그냥 모르는 척 피해갈 수 있다. 하지만 본인들이 필요할 때는 열심히 찾다가 정작 내가 필요할 때 손을 내밀면 “나 몰라라”하는 이기적 행동들에는 어쩔 수 없는 치기가 생기기도 한다. 그것도 친하다고 생각했던 이들로부터의 외면과 이기적 행동들은 너무나도 절망스럽기까지 하다.

 


세상에 혼자 떨어져서 오로지 나 혼자 사는 세상이 아니면, 나는 세상 속에 있는 사람이다. 세상 속에는 사람들이 있다. 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펼쳐지는 장면 장면들이 인생이다.

10분짜리 단편 영화의 장면에서 여자 버스 운전자가 강간을 당하기 전, 아니 강도들이 칼을 들이대면서 돈을 빼앗을 때 몇십 명의 승객들이 힘을 합쳐, 아니 몇 십명도 필요 없다. 이기적이지 않은 두 세 명의 승객들이라도 힘을 합쳐, 두 명의 강도를 물리쳤더라면 어떠했을까...? 영화는 상상의 이야기도 있지만 실제로 일어났던 이야기도 있다. 위에 이야기는 실화를 배경으로 한 영화이다.

 

44번 버스를 탄 승객들이 전원 사망했지만, 한 사람이 살아남았다. ‘44번 버스’라는 단편영화는 이런 질문을 던진다. 이건 기적일까? 운명일까? 선행의 보상일까?

 

 



강해연 / 이유극단(EU Theatre) 감독으로 그 동안 ‘탈 in 탈’ ‘리허설 10분 전’ 등 여러 편의 뮤지컬을 연출했으며 ‘추억을 찍다’(2010년), ‘Seoul-Saigon-Sydney’(2011년), ‘K-pop Concert’(2012년), ‘아줌마 시대’ 등의 연극과 공연을 기획, 연출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401 호주 호주 전역 부동산의 36%, 임대보다 구입이 저렴...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400 호주 호주 전 지역서 주택 거래에 소요되는 기간, 크게 짧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9 호주 광역시드니 부동산 투자로 수익-손실 본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8 호주 “수돗물 활용으로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 감소를...”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7 호주 전염병 사태로 인한 또 하나의 현상, 자동차 수요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6 호주 NSW 주의 비즈니스-일자리 보호 위한 주요 지원 내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5 호주 호주 경제 호황 속, 10년 만에 실업률 5% 이하로 하락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4 호주 화제의 인물- ‘Outback Cleanups Australia’의 Langford-Baraiolo 커플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3 호주 “시드니 록다운 상황에서 감염자 확산, 규정 준수 어겼기 때문”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2 호주 [호주 노동시장 분석] 이민문호 개방 불구, 숙련 기술자 부족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1 호주 광역시드니 ‘감염 상황’, 강화된 록다운 규정으로 ‘반전’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90 호주 아이슬란드의 시험적 주 4일 근무, ‘압도적 성공’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89 호주 “호주-한국간 우호, 더욱 강화해 나가길 기대합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88 호주 올해 ‘마일즈 프랭클린 문학상’, TAS 작가 아만다 로리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87 호주 40세 미만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접종을 고려한다면...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1386 호주 시드니 주말경매- 자선단체 기부 주택, 잠정가격에서 37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85 호주 시드니 경매 화제- 뉴포트 주택, 3년 만에 2배 가격 매매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84 호주 첫 주택 구입자들, 예산 낮추려 주차 공간 없는 아파트 눈독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83 호주 주택가격 상승으로 임대료, 12년 만에 가장 큰 폭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82 호주 전기자동차 이용자, NSW 및 빅토리아 주에 집중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81 호주 멜번 외곽 임대료 상승... 임차인들, 더 먼 지역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80 호주 “시드니 럭셔리 주택가격, 세계 최고 수준 이를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9 호주 WHO, COVID-19 기원조사에 ‘전 세계국가들 협력’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8 호주 캔버라 국회의사당, 또 한 번 일반인 공개 잠정 중단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7 호주 뉴질랜드, 호주와의 ‘트래블 버블’ 잠정 중단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6 호주 지역사회 역사 담아낸 소셜미디어, 높은 인기 구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5 호주 전염성 높은 ‘델타’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의 위험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4 호주 12-15세 청소년에게 ‘화이자’ COVID 백신접종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3 호주 광역시드니-멜번 록다운, 호주의 마지막 봉쇄 조치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2 호주 광역시드니 록다운 연장에 따른 새 봉쇄 조치 규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1 호주 연방정부, 재난지원-복지 수혜자에 주 150달러 추가 지원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70 호주 NSW 주 ‘골드 스탠다드’ 방역, 어떻게 ‘국가 비상사태’가 됐나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1369 호주 시드니 주말경매, 이스트우드 주택 2019년 판매가의 두 배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8 호주 부동산 개발회사 ‘지오콘’, 지난해 최대 성과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7 호주 크라운 그룹, 럭셔리 아파트의 ‘매매 전 객실 체험’ 이벤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6 호주 바이러스 봉쇄 조치로 주요 도시 소매공실률 크게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5 호주 광역시드니 ‘독립형 주택’ 중위가격 140만 달러 돌파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4 호주 호주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안내문 우편 발송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3 호주 호주 와인 영국 수출, 10년 만에 최고 수준... 한국 시장도 11% ↑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2 호주 “일관성 없는 호주 백신 정책, 인명손실 초래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1 호주 ‘델타’ 바이러스 이어 ‘람다’ 변이도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60 호주 정부, 백신접종률 70% 도달시 접종자 혜택 방안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59 호주 각국 1만5천여 부자들, 전염병 기간 중 호주 영주비자 취득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58 호주 호주 고위 공무원, ‘카운터파트’ 국가들에 비해 연봉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1357 호주 인구주택총조사 참여 관련 한국어 안내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56 호주 Waterfall by Crown Group, 도시설계 우수성 인정받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55 호주 주택가격, 가장 크게 치솟은 시드니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54 호주 ‘모더나’ 사, 6개월-12세 아동 백신시험으로 호주 포함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53 호주 RBA 총재, “경제적 피해 줄이려면 백신접종 서둘러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1352 호주 “COVID-19 백신접종, 바이러스 감염 위험 낮추는 유일한 방법...”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