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갱).jpg

‘The Last Hour’로 불리는 불법 폭력조직 ‘Dlasthr’ 조직원을 상징하는 문신. 경찰관 살해에도 연루된 이들 조직이 NSW 기동타격대 ‘Evesson’ 팀에 의해 와해된 것으로 알려졌다.

 

악명 떨치던 ‘Dlasthr’ 마지막 조직원 3명 검거... 조직 와해

리블(Reble) 갱 클럽하우스 폐쇄... 대마초 수경재배지 분쇄


 

지난 주 목요일(8일) 시드니 서부 지역 일대에서 경찰이 불법 폭력조직원 체포를 위한 대대적인 작전을 전개, 아시리아계 폭력조직으로 시드니 서부 일대에서 악명을 떨쳤던 ‘Dlasthr’ 조직을 와해시키고 바이키 갱 중 하나인 리블(Reble)의 클럽하우스를 폐쇄하는 등 큰 성과를 거두었다.

 

호주 언론들 보도에 따르면 이번 작전을 전개한 NSW 경찰 기동타격대 ‘Evesson’ 팀은 지난 20여년간 시드니 서부 지역을 기반으로 갖가지 불법 범죄행각을 벌여왔던 중동계 폭력조직 ‘Dlasthr’(일명 The Last Hour)의 마지막 조직원 3명을 검거했다. 경찰은 이번 조직원 체포로 이제 ‘Dlasthr’ 조직이 완전히 와해됐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번 작전으로 페어필드(Fairfield) 인근 에덴서 파크(Edensor Park)에 거주하는 조직원(26), 미들턴(Middleton) 거주 조직원(21), 프라이리우드(Prairiewood) 거주 조직원(23) 등 3명을 검거하고 이들이 소지하고 있던 2만 달러 상당의 대마초를 압수했다.

 

꽉 움켜쥔 주먹과 ‘DLASTHR’이라 씌여진 문신으로 조직원임을 상징하는 이들은 살인, 강탈, 무장강도 및 수 건의 총격(drive-by shooting) 사건을 일으킨, 시드니 지역에서 가장 악랄한 폭력조직 중 하나로 알려져 왔다.

 

시드니 서부 페어필드(Fairfield)를 기반으로 범죄활동을 벌여 왔던 이 조직은 지난 해 9월 NSW 경찰 340명이 동원된 대대적인 체포 작전으로 조직원 대부분이 검거, 사실상 와해됐으며, 극히 일부의 조직원들만이 남아 있던 상태였다.

 

‘Dlasthr’는 ‘Assyrian Kings’ 또는 ‘Spencer Street Group’으로 불리는 폭력조직에서 파생된 폭력조직으로 지난 1997년 경찰관 데이빗 카티(David Carty)씨를 칼로 찌르고 마구 때려 살해한 사건에 연루되어 있기도 하다.

 

당시 이들 조직원에 당한 카티 경찰관은 페어필드 경찰서에서 불과 얼마 떨어지지 않은 페어필드 호텔(Fairfield hotel) 주차장에서 심장이 칼에 찔린 채 코가 뭉개지고 귀가 찢어져 사망한 가운데 발견됐다.

 

이 조직의 두목인 레이먼 유마란(Raymon Youmaran)dl 지난 2006년 각 불법 범죄행위로 체포, 투옥됨으로써 이후 덜 주목을 받았지만 실질적으로 이 조직은 지난 20여년 동안 시드니 서부 지역을 기반으로 수십 여 건의 총격사건을 일으킨 바 있다.

 

페어필드 경찰서의 피터 레논(Peter Lennon) 서장은 경찰 기동타격대인 ‘Evesson’ 팀이 지난 2년여에 걸쳐 ‘Dlasthr’ 조직을 전담해 조사를 벌여왔으며 19명 이상의 조직원을 체포, 불법 마약공급과 신체상해 등 다양한 범죄행위로 기소했다고 말했다.

 

기동타격대인 ‘Evesson’ 팀은 ‘Dlasthr’의 범죄활동을 전담하기 위해 만들어진 경찰 수사팀이다.

 

피터 레논 서장은 “이 갱 조직에 대한 오랜 수사가 이제 끝났다”면서 “이 조직이 와해된 것을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우리는 페어필드는 물론 다른 어느 지역이든 마약공급, 납치, 공공장소에서의 총격사건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수사할 것”이라며 “이는 기동타격대 ‘Evesson’이 활동을 시작한 배경”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해 마이크 갤러허(Mike Gallacher) NSW 경찰장관은 주 의회에서 “불법 폭력조직인 ‘Dlasthr’는 공공장소에서의 총격 사건, 잔인한 폭행사건, 마약공급 및 강탈 등에 연루되어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아울러 기동타격대 ‘Raptor’ 또한 폭력조직 수색작전을 전개, 시드니 남서부 지역 리블 바이키 갱(Rebels bikie gang)의 클럽하우스를 폐쇄하고 조직원 3명을 체포하는 한편, 지난 달 버우드(Burwood)에서 싸움을 벌였던 조직원들의 대마초 수경재배 장소를 찾아내 폐기했다.

 

이번 작전에서 중무장한 경찰은 리버풀(Liverpool) 인근 로스모어(Rossmore) 소재의 한 가정집 안에서 수경재배로 기르던 대마초 50여 개를 찾아냈다. 이와 함께 워윅팜(Warwick Farm) 소재 리블 조직의 클럽하우스를 강제 폐쇄시켰으며, 몬터레이(Monterey) 론울프(Lone Wolf) 바이키 갱 조직원뿐 아니라 세실 힐스(Cecil Hills)의 리블 조직원들을 검거했다.

 

경찰은 지난 4월23일 버우드 중심가의 한 카페에서 리블 바이키 갱의 리버풀 지부 조직원들이 싸움에 연루된 것을 계기로 이들을 주목해 왔다. 당시 싸움에서 리블 조직원들이 던진 병에 카페 손님이 머리를 맞아 부상을 입기도 했으며 경찰이 도착할 무렵 이들 조직원들은 이미 도주한 후였다.

 

조직폭력 전담반의 뎁 월리스(Deb Wallace) 경감은 “폭력조직원들은 마치 무법자처럼 행동하지만 일반 시민들은 경찰의 신속한 대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버우드 카페에서의 싸움에는 약 30여명이 가담했으며 이들은 주변 무고한 사람들에 대해 전혀 개의치 않았다고 경찰은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1 뉴질랜드 편안한 노후를 위해서는 키위세이버에 얼마를 예금해야 할까 굿데이뉴질랜.. 15.11.10.
400 호주 투자의 귀재, 호주판 ‘워렌 버핏’은 누구일까 호주한국신문 15.11.05.
399 호주 턴불 수상의 세제개혁안에 일부 자유당 의원들 ‘반발’ 호주한국신문 15.11.05.
398 호주 카운슬 합병, “확고한 계획 없다는 게 이상하다” 호주한국신문 15.11.05.
397 호주 50세 이상 호주 고령층, 단독주택 거주비율 높아 호주한국신문 15.11.05.
396 호주 노틀담 대학 시드니 캠퍼스, IB 교수 과정 도입 호주한국신문 15.11.05.
395 호주 NSW 주 정부, 강화된 대테러 정책 발표 호주한국신문 15.11.05.
394 호주 올해 멜번컵, 예상치 못한 ‘Prince Of Penzance’ 우승 호주한국신문 15.11.05.
393 호주 네드 켈리 수감됐던 빅토리아 주 감옥, 매물로 나와 호주한국신문 15.11.05.
392 호주 시드니 도심 초등학교, 교실 부족 사태 직면 호주한국신문 15.11.05.
391 호주 시드니 주말시장의 상징, ‘로젤 마켓’ 종료 호주한국신문 15.11.05.
390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1840년대 코티지 화제 호주한국신문 15.11.05.
389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낙찰률, 올 들어 최저 호주한국신문 15.11.05.
388 호주 어번 카운슬, ‘Festival of All Abilities’ 공동 주관 호주한국신문 15.11.05.
387 호주 캐나다베이 카운슬 ‘페라고스토 축제’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9.04.
386 호주 한국문화원, 2014 한국어도서 독후감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4.09.04.
385 호주 소비자 보호기관, 휴가예약시 주의사항 권고 호주한국신문 14.09.04.
384 호주 올 겨울 기간, 시드니 부동산 가격 5% 급등 호주한국신문 14.09.04.
383 뉴질랜드 NZ언론 초청- 공중보건 협회 주관 포럼 개최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3.
382 뉴질랜드 남극지하 생태계는 외계 생명체 존재 시사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2.
381 뉴질랜드 슈퍼마켓 주인, 3년간 매주 유치원에 과일 상자 기부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2.
380 뉴질랜드 국민당, 소득 중하층 첫 집 구매 시 최고 2만 달러 지원 예정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1.
379 뉴질랜드 아시아권 언어교육에 1천만 달러 투자 굿데이뉴질랜.. 14.09.01.
378 호주 NSW 새 음주법 도입 6개월, 뚜렷한 변화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4.08.28.
377 호주 “마리화나, 젊은 층 정신질환 치료 이용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8.
376 호주 정부법률가, 총기소지 및 마약거리 혐의로 기소 호주한국신문 14.08.28.
375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 억제 위해 6천400만 달러 배정 호주한국신문 14.08.28.
374 호주 ‘크리스마스 섬 난민신청자 처우’에 집단소송 호주한국신문 14.08.28.
373 호주 “이너 시드니 아파트, 공급 과잉 불러올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8.28.
372 호주 “아시안컵 성공 개최 위해 한인사회 적극 협력...” 호주한국신문 14.08.28.
371 호주 시드니 시티, ‘인종차별 규탄안’ 만장일치로 통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370 호주 클리브 팔머 대표, 중국 정부에 대한 ‘막말’ 사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369 호주 텔스트라 ‘콜센터’, 5년 이내 사라질 것 호주한국신문 14.08.28.
368 호주 취재수첩-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총회? 호주한국신문 14.08.28.
367 호주 부동산 투자 비자 정책으로 주택가격 상승 호주한국신문 14.08.28.
366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가담 관련 법안 추진 설명 호주한국신문 14.08.21.
365 호주 ‘국제적 비난’ 칼레드 샤로프, 그는 누구인가 호주한국신문 14.08.21.
364 호주 캔버라 지역, 호주에서 평균 임금 가장 높아 호주한국신문 14.08.21.
363 호주 그린필드 파크서 칼에 찔린 남성 사망 호주한국신문 14.08.21.
362 호주 이민부, 난민 아동에 임시보호비자 발급 계획 호주한국신문 14.08.21.
361 호주 ‘나플란’ 시험 쓰기 과목, “너무 어렵다” 지적 이어져 호주한국신문 14.08.21.
360 호주 “모든 고용주, 차별금지법 숙지해야...” 호주한국신문 14.08.21.
359 호주 외곽 오지 지역 센터링크에서도 시민권 시험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1.
358 호주 한국 ‘장애청년드림팀’, 한인회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8.21.
357 호주 이휘진 총영사, 한인 워홀러들 작업장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8.21.
356 호주 한국관광공사, 명예 홍보대사로 임다미 위촉 호주한국신문 14.08.21.
355 호주 스트라스필드 봄 축제, 한국계가 메인 무대 장식 호주한국신문 14.08.21.
354 호주 시드니 부동산, 전년 동기간의 ‘활황기’ 돌아오나... 호주한국신문 14.08.21.
353 뉴질랜드 현경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오클랜드 통일강연회 개최 file 굿데이뉴질랜.. 14.08.15.
352 호주 ‘Islamic State’의 소셜 미디어, 호주 내 테러 위협 높여 호주한국신문 1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