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 진료비, 등록금 인상 불가피... 실업급여 수급 어려워져


 

애보트 정부의 이번 예산안은 의도적으로 부담을 분산하고 또 몇 년 후로 지연되도록 설계됐다는 비난을 면치 못하고 있다. 고소득자들에게는 ‘임시 예산복구 과세(temporary budget repair levy)’가 2% 늘어나며, 이로 인해 31억 달러의 세금을 더 거둬 드릴 수 있다. 이는 7월1부터 시작되어 3년 동안 실시된다.

 

하지만 재정적자 감축을 위해 실질적으로 부담을 떠안게 된 이들은 대부분 서민들이며 이는 영구적이다. 연금 수급자들과 장애인 연금 수급자들 또한 부담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됐다.

 


■ 만약 당신이 의사에게 진료를 받아야 된다면...

2015년 7월1일부터 GP에게 진료를 받을 때마다 ‘환자기여 수수료(patient contribution fee)’ 7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또한 X-ray, MRI 등과 같은 병리 서비스를 받게 될 때도 진료비를 지불해야 한다. 다만 할인 카드(Concession card) 소지자나 16세 미만의 어린이들은 1년, 처음 10회 방문에만 환자기여 수수료를 지불하면 된다.

 


■ 만약 당신이 처방전이 필요하다면...

처방전을 받을 때마다 처방전 수수료 5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이 수수료는 내년 7월1부터 도입되며 이러한 수수료는 정부의 의약품 보조혜택 제도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당뇨병으로 인한 인슐린 구입에 현재 37.70 달러를 지출해야 하지만 5달러 수수료가 붙어 42.70 달러로 오를 전망이다.

하지만 만약 할인카드 소지자라면 그나마 다행이다. 수수료 5불 대신 80 센트만 지불하면 된다.

 


■ 만약 당신이 차량 운전자라면…….

자동차 유류비도 인상될 예정이다. 정부는 올해 8월1일부터 1년에 두 차례 유류세를 물가와 연동시키는 방식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다시 추진한다.

유류세 인상으로 정부는 향후 4년 동안 22억 달러의 세수가 늘어날 전망이다. 하지만 승용차 통근자들에게도 희망은 있다. 정부는 늘어난 세수를 전국 도로개발 및 정비에 투자할 예정이다.

정부는 고속도로 개선에 2억 2900만 달러를 사용할 것이며 사고다발 지역 개선에는 2억 달러, 도로복구 비용에 3억 5천만 달러를 사용할 예정이다.

또한 정부는 멜번(Melbourne)의 이스트 웨스트 링크(East West Link)와 시드니의 웨스트코넥스(WestConnex), 서부 호주의 퍼스 프레이스 링크(Perth Freight Link) 등에 2억 9천 달러의 예산을 사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 만약 당신에게 자녀가 있다면...

부부 중 한쪽만 소득이 있는 가정의 일부는 패밀리 택스 베네핏 B(Family Tax Benefit B) 수급 자격에서 제외된다.

2015년 7월1일부터 패밀리 텍스 베네핏 B 자격은 연간 소득 15만 달러에서 10만 달러 미만의 수입이 있는 사람들로 제한된다. 가장 어린 자녀가 여섯 살 이상이 되는 가정 또한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된다.

다만 저소득 한 부모 가정은 자녀가 열두 살이 될 때까지 추가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패밀리 택스 베니핏 A의 연말 수당은 726.35 달러에서 600 달러로 패밀리 택스 베네핏 B의 연말 수당은 354.05에서 300달러로 각각 줄어든다.

차일드캐어 리베이트(Childcare Rebate)는 자녀 한 명당 7천700 달러로 유지된다.

 


■ 만약 당신이 공무원이라면...

정부는 향후 3년 동안 16,500명의 공무원을 해고 할 예정이다. 캔버라(Canberra)에 기반을 두고 있는 구립 미술관, 도서관, 박물관의 사무실 기능을 통폐합을 할 예정이다.

공무원 중 약 3천 명은 호주 국세청으로 이동하는 계획도 가지고 있다.

 


■ 만약 당신이 고소득자라면...

1년에 18만 달러 이상의 수입이 있는 고소득자들은 7월1일부터 향후 3년 간 ‘적자세(Deficit Tax)’를 지불해야 한다.

만약 당신이 20만 달러의 수입이 있다면 400달러의 세금을 더 내야 하며, 30만 달러의 수입이 있다면 2,400 달러의 세금을 더 내야 한다.

만약 토니 애보트 수상과 같이 연 소득이 50만 달러라면 매년 6만4천 달러의 세금을 더 지불해야 한다.

 


■ 만약 당신이 자녀를 가질 계획이라면...

적어도 내년 7월1일까지는 좀 더 생각해 조는 것이 어떨까 싶다. 그때가 되면 논란이 되고 있는 유급출산 휴가(Paid Parental leave) 계획의 효력이 발생할 것이다.

아기를 출산한 사람들은 출산 전후 최대 6개월의 휴가 기간 동안 최대 5만 달러까지의 급여를 받을 자격을 갖게 된다.

 


■ 만약 당신이 공부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면...

높은 등록금을 감수해야 한다. 정부는 현재 등록금의 59%를 지원하고 있지만 20%만 지원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학생들은 학업을 위해 더 많은 돈을 지불해야 한다. 이 계획은 2016년 1월에 시행된다.

그러나 대학들은 불우한 환경의 학생들을 위해 등록금 인상으로 발생되는 수익의 1/5은 새로운 장학금 제도에 기여해야 한다. FEE-HELP와 VET FEE-HELP에서 대출을 받는 학생들은 이제 더 이상 최대 25%의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TAFE과 컬리지 학생들은 첫 학기에 정부의 무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 만약 당신이 30세 미만의 실업자라면...

실업 급여를 받기는 훨씬 더 어려워진다. 실업 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6개월을 기다려야 한다. 하지만 6개월이 후에도 실업 수당을 받으려면 25시간 정부에서 제공하는 공공 근로에 참여해야만 실업 수당을 받을 수 있다.

1년 이후에도 여전히 실업자라면 이후 6개월 동안 정부는 당신에게 아무런 혜택도 제공하지 않는다.

 


■ 당신이 1965년이나 그 이후에 태어났다면...

당신은 70세가 될 때까지 연금을 받지 못한다. 연금 수급 연령은 70세로 상승했다.

 


■ 만약 당신이 장애인 연금을 받는다면...

만약 35세 미만이고 2008년에서 2011년 사이에 처음으로 장애인 연금을 받았다면 당신은 공공근로가 가능한지 우선 심사를 받아야 한다. 또한 교육을 받거나 어려운 자격시험에 통과하고 구직 활동을 벌이는 등 직업을 갖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해외 체류 기간은 1년에 4주를 넘겨서는 안된다. 만약 4주 이상을 해외에서 체류하게 되면 연금 수급 자격이 박탈된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1 뉴질랜드 편안한 노후를 위해서는 키위세이버에 얼마를 예금해야 할까 굿데이뉴질랜.. 15.11.10.
400 호주 투자의 귀재, 호주판 ‘워렌 버핏’은 누구일까 호주한국신문 15.11.05.
399 호주 턴불 수상의 세제개혁안에 일부 자유당 의원들 ‘반발’ 호주한국신문 15.11.05.
398 호주 카운슬 합병, “확고한 계획 없다는 게 이상하다” 호주한국신문 15.11.05.
397 호주 50세 이상 호주 고령층, 단독주택 거주비율 높아 호주한국신문 15.11.05.
396 호주 노틀담 대학 시드니 캠퍼스, IB 교수 과정 도입 호주한국신문 15.11.05.
395 호주 NSW 주 정부, 강화된 대테러 정책 발표 호주한국신문 15.11.05.
394 호주 올해 멜번컵, 예상치 못한 ‘Prince Of Penzance’ 우승 호주한국신문 15.11.05.
393 호주 네드 켈리 수감됐던 빅토리아 주 감옥, 매물로 나와 호주한국신문 15.11.05.
392 호주 시드니 도심 초등학교, 교실 부족 사태 직면 호주한국신문 15.11.05.
391 호주 시드니 주말시장의 상징, ‘로젤 마켓’ 종료 호주한국신문 15.11.05.
390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1840년대 코티지 화제 호주한국신문 15.11.05.
389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낙찰률, 올 들어 최저 호주한국신문 15.11.05.
388 호주 어번 카운슬, ‘Festival of All Abilities’ 공동 주관 호주한국신문 15.11.05.
387 호주 캐나다베이 카운슬 ‘페라고스토 축제’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9.04.
386 호주 한국문화원, 2014 한국어도서 독후감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4.09.04.
385 호주 소비자 보호기관, 휴가예약시 주의사항 권고 호주한국신문 14.09.04.
384 호주 올 겨울 기간, 시드니 부동산 가격 5% 급등 호주한국신문 14.09.04.
383 뉴질랜드 NZ언론 초청- 공중보건 협회 주관 포럼 개최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3.
382 뉴질랜드 남극지하 생태계는 외계 생명체 존재 시사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2.
381 뉴질랜드 슈퍼마켓 주인, 3년간 매주 유치원에 과일 상자 기부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2.
380 뉴질랜드 국민당, 소득 중하층 첫 집 구매 시 최고 2만 달러 지원 예정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1.
379 뉴질랜드 아시아권 언어교육에 1천만 달러 투자 굿데이뉴질랜.. 14.09.01.
378 호주 NSW 새 음주법 도입 6개월, 뚜렷한 변화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4.08.28.
377 호주 “마리화나, 젊은 층 정신질환 치료 이용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8.
376 호주 정부법률가, 총기소지 및 마약거리 혐의로 기소 호주한국신문 14.08.28.
375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 억제 위해 6천400만 달러 배정 호주한국신문 14.08.28.
374 호주 ‘크리스마스 섬 난민신청자 처우’에 집단소송 호주한국신문 14.08.28.
373 호주 “이너 시드니 아파트, 공급 과잉 불러올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8.28.
372 호주 “아시안컵 성공 개최 위해 한인사회 적극 협력...” 호주한국신문 14.08.28.
371 호주 시드니 시티, ‘인종차별 규탄안’ 만장일치로 통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370 호주 클리브 팔머 대표, 중국 정부에 대한 ‘막말’ 사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369 호주 텔스트라 ‘콜센터’, 5년 이내 사라질 것 호주한국신문 14.08.28.
368 호주 취재수첩-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총회? 호주한국신문 14.08.28.
367 호주 부동산 투자 비자 정책으로 주택가격 상승 호주한국신문 14.08.28.
366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가담 관련 법안 추진 설명 호주한국신문 14.08.21.
365 호주 ‘국제적 비난’ 칼레드 샤로프, 그는 누구인가 호주한국신문 14.08.21.
364 호주 캔버라 지역, 호주에서 평균 임금 가장 높아 호주한국신문 14.08.21.
363 호주 그린필드 파크서 칼에 찔린 남성 사망 호주한국신문 14.08.21.
362 호주 이민부, 난민 아동에 임시보호비자 발급 계획 호주한국신문 14.08.21.
361 호주 ‘나플란’ 시험 쓰기 과목, “너무 어렵다” 지적 이어져 호주한국신문 14.08.21.
360 호주 “모든 고용주, 차별금지법 숙지해야...” 호주한국신문 14.08.21.
359 호주 외곽 오지 지역 센터링크에서도 시민권 시험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1.
358 호주 한국 ‘장애청년드림팀’, 한인회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8.21.
357 호주 이휘진 총영사, 한인 워홀러들 작업장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8.21.
356 호주 한국관광공사, 명예 홍보대사로 임다미 위촉 호주한국신문 14.08.21.
355 호주 스트라스필드 봄 축제, 한국계가 메인 무대 장식 호주한국신문 14.08.21.
354 호주 시드니 부동산, 전년 동기간의 ‘활황기’ 돌아오나... 호주한국신문 14.08.21.
353 뉴질랜드 현경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오클랜드 통일강연회 개최 file 굿데이뉴질랜.. 14.08.15.
352 호주 ‘Islamic State’의 소셜 미디어, 호주 내 테러 위협 높여 호주한국신문 1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