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캠시 푸드 1).jpg

캠시 안작 몰(Anzac Mall) 광장에 마련된 한국문화원 부스 앞에서 한국음식 샘플을 받고자 기다리는 사람들.

 

음식 이벤트 진행, 형형색색의 대형 잡채와 김치요리 선보여

 


주시드니 한국문화원(원장 이동옥)이 지난 주 토요일(31일) 캠시 중심가에서 진행된 캠시 푸드 페스티벌에 주역 중 하나로 참가, 한국음식을 홍보했다.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캠시 중심가인 비미시 스트리트(Beamish Street)에서 열린 이날 페스티벌에서 한국문화원은 한국음식의 맛과 멋을 알린다는 취지로 김치전과 김치볶음밥 만들기 시연회와 개막식 행사로 대형 잡채 만들기 및 김치볶음밥 섞기 이벤트를 진행했다.

 

한식시연은 문화원 한식요리강좌 강사이자 호주 SBS 방송 음식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등 시드니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정 헤더(Heather Jeong)씨가 진행했다. 문화원은 김치전과 김치볶음밥 시연 후 각각 100인분의 음식샘플을 제공해 이를 맛본 관람객들의 감탄을 받았다.

 

이날의 하이라이트는 대형 잡채 만들기와 김치볶음밥 흔들기 이벤트였다. 12시에 진행된 공식 개막식 직후 주최 측인 캔터베리 카운슬(Canterbury Council) 내빈들과 함께 잡채를 직접 비비고 또 김치볶음밥을 직접 도시락 통에서 섞어보는 특별 이벤트가 진행됐다. 이동옥 한국문화원장, 브라이언 롭슨(Brian Robson) 캔터베리 시장과 린다 버니(Linda Burney) 의원은 잡채를 손으로 직접 비비기도 하고 김치볶음밥을 전통 도시락 통에 흔들어 섞어보기도 하며 시종 일관 즐거운 모습을 보였다. 이후 300인분의 잡채가 관객들에게 제공되었고 이를 받기 위해 수백 명이 줄을 서서 기다리는 장관이 연출되기도 했다.

 

당일 음식시연과 대형 잡채 만들기 이벤트를 준비한 정 헤더씨는 “이번 행사는 다시 한 번 한식의 세계화에 앞장서는 가슴 뿌듯한 날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동옥 한국문화원장은 “2012년도 캠시음식축제에서부터 주요행사를 한국음식으로 수놓아 매우 뿌듯하다”며 “특히 개막식 이벤트로 대형 비빔밥과 떡메치기에 이어 올해에는 대형잡채 및 김치요리 행사를 통해 3년 연속 한국음식이 주제가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원장은 향후 시드니 내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음식축제에 보다 많은 한인업체가 참여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덧붙였다.

 

한편 한국 문화원은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안작 몰(ANZAC Mall) 중앙무대 부근에 인포메이션 부스를 설치하여 한국문화 소개 책자 및 한국요리 안내서, 한국 관광 브로슈어 등 다양한 홍보물을 배포했다. 또한 농심 시드니 지사에서도 이번 축제에 참여, 컵라면 시식 행사 등을 진행했다.

 

캔터버리 시에서 주최하는 캠시음식축제는 매년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연령대의 인파가 모여드는 시드니의 대형 음식축제 중 하나로 한국을 비롯해 프랑스, 헝가리, 포르투갈, 일본, 태국, 터키 등 전 세계 여러 나라의 전통요리를 맛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는 행사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1 뉴질랜드 편안한 노후를 위해서는 키위세이버에 얼마를 예금해야 할까 굿데이뉴질랜.. 15.11.10.
400 호주 투자의 귀재, 호주판 ‘워렌 버핏’은 누구일까 호주한국신문 15.11.05.
399 호주 턴불 수상의 세제개혁안에 일부 자유당 의원들 ‘반발’ 호주한국신문 15.11.05.
398 호주 카운슬 합병, “확고한 계획 없다는 게 이상하다” 호주한국신문 15.11.05.
397 호주 50세 이상 호주 고령층, 단독주택 거주비율 높아 호주한국신문 15.11.05.
396 호주 노틀담 대학 시드니 캠퍼스, IB 교수 과정 도입 호주한국신문 15.11.05.
395 호주 NSW 주 정부, 강화된 대테러 정책 발표 호주한국신문 15.11.05.
394 호주 올해 멜번컵, 예상치 못한 ‘Prince Of Penzance’ 우승 호주한국신문 15.11.05.
393 호주 네드 켈리 수감됐던 빅토리아 주 감옥, 매물로 나와 호주한국신문 15.11.05.
392 호주 시드니 도심 초등학교, 교실 부족 사태 직면 호주한국신문 15.11.05.
391 호주 시드니 주말시장의 상징, ‘로젤 마켓’ 종료 호주한국신문 15.11.05.
390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1840년대 코티지 화제 호주한국신문 15.11.05.
389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낙찰률, 올 들어 최저 호주한국신문 15.11.05.
388 호주 어번 카운슬, ‘Festival of All Abilities’ 공동 주관 호주한국신문 15.11.05.
387 호주 캐나다베이 카운슬 ‘페라고스토 축제’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9.04.
386 호주 한국문화원, 2014 한국어도서 독후감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4.09.04.
385 호주 소비자 보호기관, 휴가예약시 주의사항 권고 호주한국신문 14.09.04.
384 호주 올 겨울 기간, 시드니 부동산 가격 5% 급등 호주한국신문 14.09.04.
383 뉴질랜드 NZ언론 초청- 공중보건 협회 주관 포럼 개최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3.
382 뉴질랜드 남극지하 생태계는 외계 생명체 존재 시사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2.
381 뉴질랜드 슈퍼마켓 주인, 3년간 매주 유치원에 과일 상자 기부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2.
380 뉴질랜드 국민당, 소득 중하층 첫 집 구매 시 최고 2만 달러 지원 예정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1.
379 뉴질랜드 아시아권 언어교육에 1천만 달러 투자 굿데이뉴질랜.. 14.09.01.
378 호주 NSW 새 음주법 도입 6개월, 뚜렷한 변화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4.08.28.
377 호주 “마리화나, 젊은 층 정신질환 치료 이용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8.
376 호주 정부법률가, 총기소지 및 마약거리 혐의로 기소 호주한국신문 14.08.28.
375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 억제 위해 6천400만 달러 배정 호주한국신문 14.08.28.
374 호주 ‘크리스마스 섬 난민신청자 처우’에 집단소송 호주한국신문 14.08.28.
373 호주 “이너 시드니 아파트, 공급 과잉 불러올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8.28.
372 호주 “아시안컵 성공 개최 위해 한인사회 적극 협력...” 호주한국신문 14.08.28.
371 호주 시드니 시티, ‘인종차별 규탄안’ 만장일치로 통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370 호주 클리브 팔머 대표, 중국 정부에 대한 ‘막말’ 사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369 호주 텔스트라 ‘콜센터’, 5년 이내 사라질 것 호주한국신문 14.08.28.
368 호주 취재수첩-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총회? 호주한국신문 14.08.28.
367 호주 부동산 투자 비자 정책으로 주택가격 상승 호주한국신문 14.08.28.
366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가담 관련 법안 추진 설명 호주한국신문 14.08.21.
365 호주 ‘국제적 비난’ 칼레드 샤로프, 그는 누구인가 호주한국신문 14.08.21.
364 호주 캔버라 지역, 호주에서 평균 임금 가장 높아 호주한국신문 14.08.21.
363 호주 그린필드 파크서 칼에 찔린 남성 사망 호주한국신문 14.08.21.
362 호주 이민부, 난민 아동에 임시보호비자 발급 계획 호주한국신문 14.08.21.
361 호주 ‘나플란’ 시험 쓰기 과목, “너무 어렵다” 지적 이어져 호주한국신문 14.08.21.
360 호주 “모든 고용주, 차별금지법 숙지해야...” 호주한국신문 14.08.21.
359 호주 외곽 오지 지역 센터링크에서도 시민권 시험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1.
358 호주 한국 ‘장애청년드림팀’, 한인회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8.21.
357 호주 이휘진 총영사, 한인 워홀러들 작업장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8.21.
356 호주 한국관광공사, 명예 홍보대사로 임다미 위촉 호주한국신문 14.08.21.
355 호주 스트라스필드 봄 축제, 한국계가 메인 무대 장식 호주한국신문 14.08.21.
354 호주 시드니 부동산, 전년 동기간의 ‘활황기’ 돌아오나... 호주한국신문 14.08.21.
353 뉴질랜드 현경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오클랜드 통일강연회 개최 file 굿데이뉴질랜.. 14.08.15.
352 호주 ‘Islamic State’의 소셜 미디어, 호주 내 테러 위협 높여 호주한국신문 1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