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 수영장과 핫 텁에서 더욱 심각
 

rdv.jpg
▲ 수영장 소독제와 신체 분비물이 섞여 방출하는 소독부산물이 기관지 질환이나 심지어는 암 질환 발생 위험을 내포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올랜도 소재 한 스포츠센터의 실내 수영장. <사진은 기사 특정 내용과 관련없음> ⓒ 코리아위클리 자료사진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실내 수영장이나 핫 텁(스파)을 정기적으로 애용한다면 기관지 질환을 앓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사우스캐롤라이나대 연구진은 수영장물을 깨끗하게 하는 클로린(염소) 소독제가 사람의 땀이나 오줌 그리고 스킨 제품 등과 섞일 경우 위험한 소독부산물(DBPs)을 만들어 낸다고 지적했다.

소독부산물들 중 일부는 실험실 테스트에서 세포 유전자 손상 등 해를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다른 연구에서는 수영장을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이들에게서 방광암이나 기관지 관련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특히 옥외 수영장보다 실내 수영장과 핫 텁에 우려를 보냈다. 연구진 멤버인 수잔 리챠드슨 생화학 교수는 자신에게 자녀가 있다면 실내 수영장에서 매일 수영해야 하는 수영팀에 보내는 것을 재고해볼 것이라 전했다.

인간이 호흡하는 공기도 소독부산물중 하나로 클로린 냄새가 있으나 실제로 클로린은 아니다. 그러나 트리클로마인(trichloramine)이 주성분인 소독부산물은 클로린과 신체 분비물이 섞여 만들어지며, 물에서 공기 중으로 쉽게 퍼져나가면서 기관지를 따갑게 만든다. 이같은 따가움은 감기나 천식 등 기관지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

야외 수영장의 경우 공기 순환이 빨라 실내 수영장보다 화학성분 방출에 따른 피해가 줄어들 수 있다. 하지만 수영객이 많기 때문에 그만큼 소독부산물 수준도 올라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진은 공공 수영장, 개인 수영장, 핫 텁 등지에서 사용 빈도가 정상일 때와 많을 때를 구별해 각각 수영객이 빠져 나간 다음 조사했다. 연구진은 100여가지 이상 소독부산물을 발견했으며, 이중 일부 종류는 세포 파괴와 유전자 손상 물질임을 밝혀냈다.

수돗물과 비교해 보통 수영장 물 샘플은 유전자 손상 물질 함유량이 2배였고, 따뜻한 온도로 인해 화학 반응 활성이 높아지는 핫 텁 샘플에서는 4배나 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최근 환경 과학 및 테크놀로지 저널(journal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에 실렸다.

그렇다면 여름철에 수영장에서 마음 놓고 수영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연구진은 우선 수영장에 들어가기 전에 샤워 하는 것을 잊지 말라고 지적했다. 물론 아이들이 수영장에서 소변을 흘리지 않도록 하는 것은 마땅하다.

개인집 수영장의 경우 가능하다면 은(실버)을 함유한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은 소독부산물을 만들어내지 않고 항균 및 살균 처리를 한다.

수영장 소독제로는 브로민 보다는 오존과 클로린을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수영장에서는 공기 환원 시스탬이 가장 중요하며, 수영장이나 핫텁 물을 완전히 그리고 자주 갈아주는 것이 좋다.

그렇다면 이번 연구에 대한 보건국 입장은 어떨까. 미국에서 두번째로 가장 많은 수영장을 지닌 플로리다주 보건국은 소독부산물 걱정보다는 소독처리와 PH 수준 조절로 수질 오염에 따른 질병을 차단하는 것이 우선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보건국은 수영 전 샤워나 수영장내 오줌 농도 따위를 일일히 점검하지는 않지만 수영장 게시판에 수영 전 샤워 권고 내용을 담고 샤워 시설을 편리한 곳에 설치하는 것으로 만족하고 있는 상태이다.

최근 연방질병예방통제국(CDC)은 5개주에서 아동 풀장 5개 중 1개꼴, 그리고 공공 수영장과 핫텁 8개 중 1개 꼴로 심하게 허용치를 위반해 폐쇄 조치를 취했다고 밝힌 바 있다. CDC는 해마다 미국에서 수천개 수영장과 핫텁이 공중 위생 위반으로 폐쇄를 당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문제는 설사병을 앓고 있는 사람이나 기저귀 단계의 유아들 탓이라고 지적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57 캐나다 THE의 2023년도 세계 의대 순위서, 토론토대 7위 등극 file 밴쿠버중앙일.. 22.11.09.
1056 캐나다 BC주 유럽계 위주로 아직도 영국 영향력 아래 있으려는 경향 file 밴쿠버중앙일.. 22.11.09.
1055 캐나다 밴쿠버에서도 오늘밤 붉게 물든 개기 월식 관측될까 file 밴쿠버중앙일.. 22.11.09.
1054 캐나다 높은 물가에 식품비 지출이 겁난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1.
1053 캐나다 내년에도 BC 주택 시장 침체 이어갈 분위기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1.
1052 캐나다 올해로 2번째 맞이하는 밴쿠버 김치 나눔축제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1.
1051 미국 할로윈에 나이든 청소년 참여하면 '징역형'? file 코리아위클리.. 22.11.13.
1050 미국 미 연방대법, 대입 소수계 우대정책 합법성 심리 개시 file 코리아위클리.. 22.11.13.
1049 미국 신용 점수 높이기 위해선 인내가 필요하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11.13.
1048 미국 올해 플로리다주 유권자 찬반 묻는 헌법개정안은? file 코리아위클리.. 22.11.13.
1047 미국 허리케인 이언 후 중고차 구입, 침수 차량 여부 확인해야 file 코리아위클리.. 22.11.13.
1046 미국 14세 소년 추락사고 부른 올랜도 프리폴 철거 file 코리아위클리.. 22.11.13.
1045 미국 42년만에 최대폭 오른 소셜연금, 인플레이션 따라 잡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2.11.13.
1044 미국 플로리다 전역에 유대인 혐오 메시지...주요 정치인들 격분 file 코리아위클리.. 22.11.13.
1043 캐나다 코퀴틀람 아이케아에 고액 현금 잃어 버리신 분?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5.
1042 캐나다 코로나 발생 때 결혼 건 수도 대폭 감소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5.
1041 캐나다 코로나 변이바이러스도 다시 유행하는데 독감도 유행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6.
1040 미국 트럼프, 2024 대선 출마 공식 선언 file YTN_애틀란타 22.11.17.
1039 캐나다 10월 연간소비자물가 지수 6.9% 상승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7.
1038 캐나다 메트로밴쿠버의 2022년도 생계 임금 시급-24.08달러 file 밴쿠버중앙일.. 22.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