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장석주).jpg

오는 8월2일 시드니 강연이 예정된 <일상의 인문학>의 저자 장석주씨(사진). 그는 이번 강연을 통해 인문학적 차원에서 현대인에게 필요한 삶의 지혜를 들려줄 것으로 기대된다.

 

‘일상의 인문학’ 저자 장석주 선생 시드니 강연

 


“마음을 떠받들지 말고, 마음을 굶겨라! 마음을 굶기는 걸 심재(心齋)라고 하지요. ‘노자’나 ‘장자’는 다 같이 마음을 굶기라고 합니다. 소유와 물질에 대한 욕망을 비우고, 몸과 마음이 단순해지면 세상이 훨씬 더 살만해지죠. 욕망은 집착인데, 거기서 벗어나면 자유로워지고, 자유로워지면 피로 따위도 일체 없습니다. 굶기고 비우면 그 자리에 활기찬 생명력이 들어차기 때문입니다.”

 

인문학이 위축되고 있는 이 시대, 그 인문학으로 수많은 독자들을 확보하고 있는 <일상의 인문학> 저자 장석주씨가 현대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전하는 말이다.

 

개인적인 일로 다음 달 시드니를 방문하는 그가 시드니 교민들과 만나 삶에서 접하는 인문학 이야기를 들려준다. 8월2일(토) 오후 2시로 예정된 그의 강연, ‘이 시대에 왜 인문학이 필요한가’라는 주제의 강연은 근래 한국사회의 삶의 코드로 자리 잡은 ‘힐링’을 인문학적 차원에서 풀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충남 논산에서 출생, 서울에서 자란 그는 197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이 당선되면서 한국 문단에 등단했다. 도서출판 ‘고려원’ 편집장을 거쳐 출판회사 ‘청하’를 설립, 13년 동안 대표로 일했던 그는 회사를 접은 뒤 인문학에 심취, 동서고금의 고전들에 대한 폭넓은 독서력을 바탕으로 세계일보(2010년 3월-12년 11월)에 ‘장석주의 인문학 산책’을, 월간 ‘신동아’(2011년1월-12월)에 ‘장석주의 크로스인문학’을 연재하고, MBC 라디오의 ‘성경섭이 만난 사람들’에서 ‘인문학 카페’를 1년 동안 꾸렸다.

 

이와 함께 <이상과 모던뽀이들>(2010), <일상의 인문학>(2012), <마흔의 서재>(2012), <동물원과 유토피아>(2013), <철학자의 사물들>(2013) 등 감성적 문장으로 인문학적 통찰이 돋보이는 책들을 집필, 주목받은 저술가로 부각됐다.

 

지독한 독서광이기도 한 그는 스스로를 ‘문장노동자’라고 칭한다. 글을 쓰는 일이 주업인 셈이다. 그런 그가 가장 심취한 인문학 분야는 동양의 고전이라고. “지난 10년 간 읽은 책 중에서 가장 여러 번 반복해서 읽은 책이 <노자>”라는 그는 “<노자>에서 배운 것은 지식이 아니라 지혜입니다. 그 지혜로 옹졸한 인격은 다소 너그러워졌고, 삶을 혼란으로 밀어 넣고 뒤흔들던 욕망의 부피도 줄었습니다. 전보다 더 소박하게 사는 것의 가치를, 비움과 느림의 기쁨들을 더 예민하게 느끼게 된 것이죠. 제 삶에 의미 있는 변화들이 일어났어요. 바로 그 지혜를 다른 사람과 나누고 싶어 ‘노자’를 얘기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번 강연에서 그가 들려주는 삶의 실천적 인문학이 기대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강연일시 : 2014년, 8월 2일(토), 오후 2시

-장소 : 호주동아일보 사옥 컨퍼런스룸(570 Blaxland Rd Eastwood)

-행사주최 : 수필동인 캥거루, 시동인 캥거루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01 호주 ‘네거티브 기어링’ 올해 총선 최대 이슈 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700 호주 ‘구인광고’서 드러난, 평균 임금 높은 시드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99 호주 카운슬 합병 관련, 컨설팅 회사의 ‘이상한’ 자문 보고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98 호주 시드니, 전 세계 주택가격 상승 최상위 5개 도시 포함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97 호주 2013년 이후 차량등록 미갱신 적발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96 호주 “성교육 프로그램 ‘YEAM’ 폐지는 이데올로기적 사안”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95 호주 Anzac Day 2016... 호주 전역서 기념행사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94 호주 호주 여행자들이 선정한 지구촌 ‘최고의 섬 여행지’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93 호주 포츠 포인트 ‘주차장 크기’의 유닛, 가격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92 호주 부동산 시장 둔화 불구, 이너 시티 주택 ‘경매 대박’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91 뉴질랜드 오클랜드 집값 시드니도 추월, 투자자 주택 구매율 절반 가까워 file 굿데이뉴질랜.. 16.04.27.
690 뉴질랜드 뉴질랜드 새 5달러 지폐 국제지폐상 수상 file 굿데이뉴질랜.. 16.04.27.
689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인도∙필리핀 이민자 40%가 채무자 file 굿데이뉴질랜.. 16.04.23.
688 뉴질랜드 뉴질랜드 온라인 투표, 올해 지방선거 때는 안 한다 file 굿데이뉴질랜.. 16.04.23.
687 호주 Top 10 most unusual attractions in shopping malls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86 호주 말콤 턴불 수상, 오는 7월 조기선거 추진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85 호주 올해 연방 총선, 여야 ‘막상막하’ 대결구도 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84 호주 서부 지역 비즈니스, 교통 혼잡으로 영업 손실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83 호주 호주 10대, 2013-14 회계연도 50만 달러 이상 세금 납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82 호주 시드니대학 조교, 중국계 학생 ‘돼지’ 비하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81 호주 호주 테라스 주택, 1천300만 달러 판매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80 호주 “여행객들의 울룰루 바위 등반을 인정해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79 호주 호주 상위 대학들, 교내 성폭력 문화 대응 ‘총력전’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78 호주 젊은 여성들, ‘탄력적 근무조건’보다 ‘높은 연봉’ 원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77 호주 “부동산 경기 둔화? ‘노던 비치’ 지역은 예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76 호주 도심 낡은 주택, 잠정가보다 23만 달러 이상에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75 호주 시드니 서부 지역 교통혼잡, 일자리 확대로 풀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74 호주 시드니 지역 각 학교, 늘어난 학생 감당 어려워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73 호주 지난해 NSW 주의 출산율 높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72 호주 호주인들, “은퇴하기에는 모아둔 자금 너무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71 호주 시드니 교외지역, 개인 무기고에 총기 수백 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70 호주 아시안 ‘출장 여행자’들이 호주서 주로 구입하는 물품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69 호주 호주 중앙은행, 5달러 새 지폐 디자인 공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68 호주 “스마트폰, 사용자를 관음증 환자로 만들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67 호주 호주인들, 비자금 모아 의류 구입-도박-유흥비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66 호주 ‘인종차별’ 혐의 니콜 보일, 교도소 행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65 호주 서리힐 2침실 테라스 주택, 낙찰가 18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64 호주 UTS, 탈북 새터민 학생들에게 장학금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63 호주 Going, going, gone... ‘Lockout Laws’ 이후 문 닫은 10개의 iconic bar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62 호주 턴불 정부 지지도, 집권 이후 노동당에 첫 역전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61 호주 파나마 ‘모색 폰세타’ 연루 호주인 1천명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60 호주 시드니 도심 인근 개발로 ‘인구 500만’ 빠르게 접근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59 호주 시드니대학교, “학과 통폐합하고 연구비 늘리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58 호주 시드니 대학들, 서부 지역서 새 캠퍼스 부지 ‘물색’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57 호주 시드니와 멜번, 각국 부자들 끌어들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56 호주 “학교에서의 디지털 기기 의존, 실질적 교육에 방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55 호주 시드니대학, 경영학부 졸업 일정 ‘일방적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54 호주 호주 생태계 화제- 독설 내뱉는 ‘트럼프’, 물러서시오!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53 호주 학교 바자회에서도 $50 위조지폐 발견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52 호주 광역 시드니, 지역별 부동산 격차 갈수록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