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파라마타).jpg

최근 도메인 그룹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2개월 동안 시드니 지역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부동산 가격이 성장한 지역은 파라마타(Parramatta)로 37.2%의 성장을 보였다. 사진은 지난 5월, 경매에서 131만 9천 달러에 판매된 파라마타의 한 주택.


1년 동안 37.2% 올라... 교통 요지, 교육 환경 요인

 


시드니 도심 지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포기한 주택 구매자들이 교통의 요지 및 교육 환경이 좋은 시드니 외곽 지역의 부동산 가격을 기록적인 수준으로 올리고 있다.

 

평균 주택가격이 크게 오른 이스트우드(Eastwood)의 경우 현재 와룽가(Wahroonga) 보다 비싸며, 파라마타(Parramamtta) 역시 100만 달러가 넘는 주택이 수두룩하다. 서리 힐(Surry Hills) 소재 테라스가 있는 주택은 패딩턴(Paddington)의 주택 가격에 거의 육박하고 있다.

 

최근 도메인 그룹(Domain Group)에 의해 완성된, 지난 1년간 가장 높은 비율로 부동산 가격이 성장한 시드니 지역 목록을 보면 인기 학교와 대중교통에 대한 접근성이 지역 및 해외 구매자들에게 관심을 끈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낮은 금리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주택 구매자들의 지출을 더욱 장려하고 있다.

 

시드니 지역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기록한 10개 지역 가운데 주택가격이 가장 비싼 곳은 이스트우드로, 작년에 비해 중간 주택가격은 30만 달러가 올랐으며 비율로는 35.7% 성장했다.

퍼스트 내셔널 리얼 에스테이트(First National Real Estate) 사의 브라이언 유(Bryan Yu)씨는 “이스트우드는 중국 구매자들에게 매우 인기가 높으며 에핑(Epping)과 라이드(Ryde) 역시 마찬가지”라고 전한 뒤 “이곳에는 좋은 학교들이 있고 많은 아시아 상점은 물론 기차역과도 가깝다”며 인기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지난 4월 중국에서 호텔 사업을 하는 한 중국인은 침실이 6개인 주택을 260만 달러에 판매했다. 그는 “내 집의 감정 평가액은 220만 달러였다”고 전했다.

 

지난 12개월 동안 파라마타의 주택 가격은 37.2% 상승하여 중간 주택가격은 77만 5천 달러이다.

 

스타 파트너스(Starr Partners)의 더그 드리스콜(Doug Driscoll) 최고 경영자는 시드니에서 두 번째로 큰 CBD에 많은 금융 투자가 이어지면서 주택 가격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현재 파라마타에는 100만 달러 이상의 매물들이 다수 있다”고 말한다. 지난 5월 강 근처인 노렐 퍼레이드(Noller Parade) 3침실 주택은 131만 9천 달러에 판매 되었는데, 이 가격은 최초 입찰가격 보다 32만 9천 달러가 높은 금액이다.

 

드리스콜 최고 경영자는 “이 지역의 도시 계획은 느리지만 확실히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강조하며 “카운슬은 아이들을 위해 강 주변에 공원들을 개선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등 파라마타는 현재 각광 받고 있는 지역”이라고 전했다.

 

구매자들은 또한 시드니 남부 지역의 가격도 끌어 올리고 있어 허스트빌(Hurstville)과 오틀리(Oatley) 지역 주택가격이 급성장하면서 중간 주택가격이 100만 달러를 넘어섰다.

 

지난 주 토요일(8일) PRD네이션와이드 오틀리(PRDnationwide Oatley) 사의 제임스 왈터(James Walter)씨는 건축 후 전혀 수리가 없었던 버크 크레센트(Bourke Crescent)의 벽돌집을 허스트빌에 거주 중인 가족에게 132만 달러에 판매했다. 이 가격은 최초 입찰가보다 37만 달러 높은 금액이었다.

왈터 씨는 이 지역의 부동산 가격 상승 요인으로 지역의 장애 어린이들을 위한 학교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의 발달을 꼽았다.

 

그는 “지난 10월 기차의 타임 테이블에 변화가 있었으며 이는 모든 기차가 현재 오틀리에 정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한 뒤 “(대중교통이) 훨씬 더 편리해 졌다”고 강조했다.

도메인 그룹의 수석 경제학자인 앤드류 윌슨(Andrew Wilson) 박사는 “이들 지역에서 많은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가격 성장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진단했다.

 

지난 12개월 동안 시드니의 중간 주택가격은 17% 성장했으며, 가장 낮은 성장을 보인 지역 역시 상대적으로 선방했다. 최악의 성장을 보인 지역은 패딩톤으로 3% 하락했으며 중간 주택가격은 144만 달러이다.

 

같은 기간 서리 힐(Surry Hills)은 32.1% 성장하여 중간 주택가격은 123만 5천 달러이다.

윌슨 박사는 “패딩톤과 글리브(Glebe) 지역은 지난 해 주택가격이 크게 올라 일시적인 정체를 보이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시드니에서 단지 3곳만이 중간 주택가격 하락을 가져왔다”고 전했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51 호주 지방대학들, 연방정부의 HECS 상환 제안 ‘찬성’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50 호주 17년 이래 인플레 최저 수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49 호주 12월부터 ‘P’ 면허증 소지자 운전 규정 강화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48 호주 미국 노선 호주 항공사들, ‘좌석 업그레이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47 호주 80년 역사 목조 에스컬레이터, 사라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46 호주 ‘미니루스’, 5개국 청소년 여자축구교실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45 호주 치솟는 주택가격... 시드니 아파트도 ‘100만 달러’ 시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44 호주 도심 인근 주택 ‘프리미엄’, 낙찰가 강세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43 호주 NSW 주립미술관 ‘2016 아치볼드’ 전시회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42 호주 10 weirdest outback experiences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41 호주 말콤 턴불 수상, 연립 내각 일부 개편 단행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40 호주 “일반의 진료비 개인 납부, 다시 고려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39 호주 NSW 교육부, HSC 시험서 ‘수리’ 시험 의무화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38 호주 “고층만이 해결 방안...”, 시드니 도심 개발 붐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37 호주 러드, ‘UN 사무총장 후보’ 호주 정부 지원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36 호주 ‘배리 험프리스의 초상’, 올해 아치볼드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35 호주 호주 성인 절반, ‘내집 마련’ 기회 더욱 멀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34 호주 시드니 시티 카운슬, 차기 시장은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33 호주 알렉산드리아 창고, 잠정가보다 100만 달러 치솟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32 호주 NSW 주 정부, 그레이하운드 경주 ‘금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31 호주 올 연방 선거, 20년 만에 여성의원 수 ‘최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30 호주 사망-중상자 기준, 호주에서 가장 위험한 직업군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9 호주 케빈 러드의 UN 사무총장 꿈, 난항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8 호주 거대 기업들의 개인 신원확인, 과연 적절한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7 호주 록스 인근 밀러스 포인트, ‘Airbnb’ 숙소로 급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6 호주 소비자들로부터 가장 불만 많았던 광고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5 호주 Southern Ocean Lodge, 전 세계 Top 4위 호텔에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4 호주 호주 원주민 기혼 여성, 사망 위험 매우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3 호주 ‘크라운그룹’, 또 하나의 유명 건축 부문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2 호주 파라마타 초고층 빌딩, 고도제한으로 개발 어려울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1 호주 NSW 주, 43년 만에 ‘스트라타 법’ 개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0 호주 포커머신 세금 감면 누적액, 135억 달러에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19 호주 더블 베이 주택, 잠정가보다 100만 달러 상승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18 호주 11 things Australians get wrong about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17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연립, 76석 확보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16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턴불, 책임 감수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1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의석 확대, 노동당 전략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14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새 역사 쓴 린다 버니 의원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13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성장, “아직 절정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12 호주 가정폭력 피해자, 임대주택 계약 조기해약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11 호주 엽산-요오드 첨가 빵, 건강 혜택 가져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10 호주 봅 카, 전 주 수상, ‘아이스 흡입실’ 시험적용 지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09 호주 NSW 주 정부의 ‘여성보호소 운영’, 부실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08 호주 시드니-NSW 예술대학 합병에 학생들 반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07 호주 NSW 주 대중교통, 종이승차권 사라진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06 호주 연방 선거일 불구, 시드니 경매 낙찰률 73.5%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05 호주 Australia's most bizarre laws that make no sense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804 호주 Federal Elaction 2016- 페어팩스 미디어 ‘YourVote’ 조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803 호주 Federal Elaction 2016- 의료 민영화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802 호주 연방 이민부 내부 부정 내부 고발... 거센 후폭풍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