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아동 가난).jpg

중간소득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적은 돈으로 그럭저럭 살아가고 있는 호주인의 비율이 14%에 달한다는 OECD 보고가 발표됐다. 아울러 호주인의 자선단체 기부는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67%를 기록하고 있지만 어려운 이웃을 지원하는 이 수치 또한 지난 2007년에서 2012년 사이 기부자 수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OECD 보고서 발표... 극빈 계층 OECD 평균보다 많아



호주의 아동 빈곤이 늘어나고 있는 반면 자선 기부는 더욱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공평성의 국가라는 호주와 어려운 이웃에게 적극적으로 손을 내밀어 오던 호주인의 자아 인식에 의문이 든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금주 화요일(18일)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인의 14%가 호주의 중간소득 절반에도 못 미치는 적은 돈으로 그럭저럭 살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ECD 국가의 평균치인 11%보다도 높은 수치이다.


호주국립대학(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NU) 공공정책 학회의 피터 화이트포드(Peter Whiteford) 교수는 “호주에는 빈곤선 아래 계층의 많은 이들이 있지만 전반적으로 극히 빈곤 계층은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이번 OECD 보고서는 호주의 경우 충분한 음식을 구매할 여력이 안 되는 것으로 보고된 호주인의 비율은 10명 중 1명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난 2007년에서 2012년 사이 아동 빈곤 역시 늘어났다.


반면 노년층에서의 빈곤은 노인연금 인상에 따라 일부나마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화이트포드 교수는 “호주의 노인층은 소득 수준이 적은 다른 나라 노인들에 비해 어느 정도 재산을 갖고 있으며, 특히 주택 자산이 높은 편으로 이번 보고서에는 비교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경제적 자원으로 폭넓은 정책을 펼치면 그렇게 나쁘지는 않겠지만 현재 호주는 OECD 국가 가운데 소득 부문에서의 불평등은 심화된 상태”라고 말했다.


지난 2007-08 회계연도에서 2012-13년 사이 호주의 연금 증가는 공공 지출보다 30% 늘어 광범위한 지급을 보였지만 이번 보고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녀를 가진 많은 가정이 그런 수혜에서 제외됐다고 지적했다. 당시 호주가 지출한 연금은 OECD 평균의 두 배가 넘은 액수이다.


심지어 연금 증가 이후 호주의 GDP 비율에 따른 공공 지출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낮은 19%였다. 이 부분의 OECD 평균은 22%이다.


호주의 소득 불평등은 지난 2008년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년에 걸쳐 고정됐다.


이번 보고서는 또한 경제적 소외 계층에 대한 사람들의 지원 부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에 따르면 2007년에서 2012년 사이 자선 기구에 기부금을 낸 이들은 이전보다 6% 포인트 줄었다. 다만 호주인들의 기부는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67%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OECD 평균 44%보다 훨씬 높은 수치이다.


그렇지만 같은 기간, 각 사회단체나 자선기구 등에서 자원봉사를 하거나 낯선 이들을 지원하는 호주인의 비율도 하락했다.


전 ANU 경제학 교수이자 연방 의원(노동당)으로 호주 지역사회의 약한 연계에 관한 연구서적 ‘Disconnected’를 출간한 바 있는 앤드류 레이(Andrew Leigh) 의원은 “우리(호주인들은)는 우리 이웃을 알고 있을 가능성이 적고 또 신뢰를 갖고 믿을 수 있는 친구도 적다”고 지적한 바 있다.


OECD가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기준으로 한 2007년 이전만 해도 10명의 호주인 가운데 9명은 호주가 이민자로 살아가기에 아주 적합한 국가라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으나 이 수치 역시 2007년에서 2012년 사이 줄어들었다.


화이트포드 교수는 호주사회의 고령화에 따른 높아진 노인연금으로 인해 호주의 빈곤선 이하 사람들이 다소 확대된 것으로 분석했다.


교수는 이어 “전 하워드(John Howard) 및 길라드(Julia Gillard) 정부 당시 기존의 부모 수당을 낮은 뉴스타트(Newstart) 수당으로 바꾸고 또 가족세금혜택 연동제를 실시하면서 자녀를 가진 가정의 빈곤 격차를 더욱 늘려놓았다”고 지적했다.



■ 중간소득의 절반 이하로 살아가는 비율


(2010년 기준)


덴마크 6%


독일 8.8%


영국 10%


뉴질랜드 10.3%


OECD 평균 11%


캐나다 11.9%


호주 14.4%


일본 16%


미국 17.4%


이스라엘 20.9%


*자료 : OECD Society at Glance 2014



■ GDP 대비 사회 공공지출


(2010년 기준)


덴마크 30.8%


독일 26%


영국 23.7%


일본 22.3%


뉴질랜드 22.2%


OECD 평균 21.9%


미국 19.8%


호주 19.2%


캐나다 18.3%


이스라엘 15.8%


*자료 : OECD Society at Glance 2014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3 호주 “21세기 글로벌 리더로...” 동포자녀 청소년 대상 ‘민족캠프’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42 호주 호주 초-중등학교 교장단 한국 방문연수, 4년 만에 재개돼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41 호주 ‘멋글씨가’ 강병인 작가, 예술작품으로써의 한글의 매력 선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40 호주 ‘시드니재외선거관리위원회’, 총선 앞두고 호주 재외국민 선거업무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39 호주 민간 복지단체 CASS, ‘지역사회 예방접종 인식 확대’ 프로그램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38 호주 호주 현지 한국어 과정 중등부 학생 대상, ‘한국어 말하기’ 대회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37 호주 시드니총영사관-Multicultural NSW, ‘다문화 보조금’ 설명회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36 호주 서울 뉴욕 베이징의 신진작가들, ‘디아스포라 예술’의 다양성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35 호주 이민 칼럼- 호주 취업이민, ‘골품제’의 저주가 풀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34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PowerhouseLate’ 프로그램 통해 ‘한국문화’ 소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33 호주 “방한 연수로 한국 알았고, 보다 큰 세계를 보는 계기 됐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2 호주 ‘함께 하는 모두의 한인회’ 목표... 34대 시드니한인회 출범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1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제22대 국회의원 재외선거 ‘국외부재자 신고’ 접수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0 호주 “세대를 아우르는 음악적 감동...” 두 번째 청소년 음악 콩쿨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29 호주 ‘저버리지 못할 약속이여!’... 동포 청년들, 조국 위한 선열들 희생 추모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28 호주 평통 호주협의회, 청년 자문위원 대상의 ‘통일 불씨 캠프’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27 호주 “장애를 가진 이들 또한 우리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이자 함께 하는 이웃...”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26 호주 호주 주요 정-재계 인사들, 하이스쿨 여학생들과 ‘커리어’ 공유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25 호주 “22대 대한민국 총선 참여로 호주 재외국민 목소리 보여줄 때...”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24 호주 “문학 꽃잎 다섯 장 모여 무궁화 꽃마당 활짝 피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