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총격사건).jpg

총기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주 Brothers 4 Life‘ 갱단의 소행으로 보이는 ‘drive-by-shooting 사건에 이어 금주에는 우드크로프트의 한 공원 주차장에서 32세의 남성이 뒷머리에 총격을 받는 사건이 발생했다. 사건 현장에서 경찰이 조사를 벌이고 있다(사진).


우드크로프트 소재 공원 주차장서 총기사건 또 발생


32세 남성 뒷머리 및 어깨에 총기 발사... 경찰, 갱 사건 추정



지난해 불법 폭력조직인 ‘Brothers 4 Life’ 조직의 연이은 총격사건이 현재까지 이어지는 가운데 시드니 서부 지역 우드크로프트(Woodcroft)의 한 공원 주차장에서 또다시 총격사건이 발생, 충격을 던지고 있다.


금주 수요일(19일) ABC 보도에 따르면 블랙타운 인근 ‘Lake Woodcroft Reserve’ 주차장에서 32세의 남성이 뒷머리와 어깨에 총격을 받았다. 이 남성은 병원으로 옮겨져 수술을 받았으나 수요일 오후 현재 위급한 상태이다.


경찰은 두 명의 남성이 총을 들고 이 남성을 뒤쫓아가 총격을 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폴 티크너(Paul Tickner) 경위는 시드니에서 활동 중인 폭력조직과 연계된 사건으로 보인다고 밝히며 “현 단계에서 총격을 가한 동기는 아직 설명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티크너 경위는 이번 총격 사건에 “2명이 연계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물론 이는 명확하게 확인된 것은 아니며 경찰은 사건 조사를 위해 증인들을 만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사건과 관련, 우드크로프트 주민들은 무척이나 놀랐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ABC가 전했다. 다만 저스틴 태너(Justine Tanner)라는 이름이 주민은 “갱 조직원의 소행이라면 크게 놀랄 일은 아닌 것 같다”고 말해 근래 이어진 폭력조직들의 총기사건 수위를 짐작하게 했다. 태너씨는 “약간 무서운 점이 없지 않기에 가능한 아침에 산책을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사건과 관련, 블랙타운을 선거구(electorate)로 갖고 있는 NSW 주 야당 지도자인 존 로버트슨(John Robertson) 의원은 “이번 사건에 대해 우려를 전하며 지역민들의 안전을 위해 많은 주민들과 만날 예정”이라고 말했다.


로버트슨 의원은 “이번 총기사건은 NSW 주 정부가 반 폭력조직법을 시행해야 한다는 또 하나의 증거”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주 정부는 야당인 노동당의 지원으로 이 법안을 제정해놓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시행을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한 뒤 “이는 지역사회에 좌절감을 주는 것이며, 그럼에도 (정부는) 계속해서 폭력배들의 총기사건을 지켜보고만 있을 뿐”이라고 비난했다.



그랜빌서도 총격 사건


한 남성, 다리에 부상



이에 앞서 지난 주에는 시드니 서부 그랜빌(Granville)에서 한 남성이 다리에 총격으로 인한 부상을 입은 사건이 발생했다.


경찰은 지난 주 금요일(14일) 오후 4시경 그랜빌 기차역 인근 레일웨이 퍼레이드(Railway Parade) 상에서 총격이 있었다는 신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ABC 보도에 따르면 신고를 받은 경찰이 현장에 도착, 총격으로 다리에 부상을 입은 28세의 남성을 발견했다. 이 남성은 곧바로 웨스트미드 병원으로 후송됐으며,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사건 현장에서 한 남성을 총격사건 용의자로 체포, 조사를 벌이고 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3 호주 “21세기 글로벌 리더로...” 동포자녀 청소년 대상 ‘민족캠프’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42 호주 호주 초-중등학교 교장단 한국 방문연수, 4년 만에 재개돼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41 호주 ‘멋글씨가’ 강병인 작가, 예술작품으로써의 한글의 매력 선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40 호주 ‘시드니재외선거관리위원회’, 총선 앞두고 호주 재외국민 선거업무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39 호주 민간 복지단체 CASS, ‘지역사회 예방접종 인식 확대’ 프로그램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38 호주 호주 현지 한국어 과정 중등부 학생 대상, ‘한국어 말하기’ 대회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37 호주 시드니총영사관-Multicultural NSW, ‘다문화 보조금’ 설명회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36 호주 서울 뉴욕 베이징의 신진작가들, ‘디아스포라 예술’의 다양성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35 호주 이민 칼럼- 호주 취업이민, ‘골품제’의 저주가 풀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34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PowerhouseLate’ 프로그램 통해 ‘한국문화’ 소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33 호주 “방한 연수로 한국 알았고, 보다 큰 세계를 보는 계기 됐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2 호주 ‘함께 하는 모두의 한인회’ 목표... 34대 시드니한인회 출범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1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제22대 국회의원 재외선거 ‘국외부재자 신고’ 접수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0 호주 “세대를 아우르는 음악적 감동...” 두 번째 청소년 음악 콩쿨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29 호주 ‘저버리지 못할 약속이여!’... 동포 청년들, 조국 위한 선열들 희생 추모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28 호주 평통 호주협의회, 청년 자문위원 대상의 ‘통일 불씨 캠프’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27 호주 “장애를 가진 이들 또한 우리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이자 함께 하는 이웃...”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26 호주 호주 주요 정-재계 인사들, 하이스쿨 여학생들과 ‘커리어’ 공유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25 호주 “22대 대한민국 총선 참여로 호주 재외국민 목소리 보여줄 때...”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24 호주 “문학 꽃잎 다섯 장 모여 무궁화 꽃마당 활짝 피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