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Mike).jpg

마이크 배어드(Mike Baird) NSW 주 재무부 장관은 최근 호주 통계청(ABS)이 내놓은 실업률 등의 수치를 인용, NSW 주 경제가 강한 성장을 선도하고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됐다고 평가했다.


호주 통계청 자료 인용, 언급... NSW 실업률 5.8%로 가장 낮아



NSW 주가 공식 실업률 통계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임으로써 호주 각 주 가운데 경제 부문에서 선두를 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달 NSW 주에서는 1만4천 개의 직업이 새로 추가됐다.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의 계절에 따른 NSW 실업률 조정 수치는 5.8%로 이는 국가 실업률에서 정상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지난 수년 동안 광물자원이 풍부한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주는 광산개발 붐에 힘입어 호주 각 주 가운데 가장 낮은 실업률을 보여 왔다. 하지만 이번 ABS의 계절별 실업률 수치에서 서부 호주는 5.9%를 기록했으며 이는 지난 3개월 동안 무려 1.7%가 상승한 것이다.


지난 주 목요일(13일) ANZ 은행이 구인광고를 통해 조사한 바에 따르면 NSW 주의 새 직업은 지난 6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NSW 주 재무부의 마이크 배어드(Mike Baird) 장관은 “이 같은 긍정적인 수치는 NSW 경제가 성장의 탄력을 받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장관은 “NSW 주 실업률은 호주 전체에서 가장 낮은 수치”라며 “실업률이 낮아지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됐지만 마침내 NSW 주 경제가 비중 있게 성장하기 시작했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경제학자들은 월간 고용 수치가 일시 올라가기는 했지만 최근의 결과는 광산붐의 쇠퇴에 따른 호주 국가경제의 약화로 NSW 주가 상대적으로 경제적 강세를 보이는 것이라고 분석하시도 했다


어쨌거나 지난 주 나온 실업률 관련 자료는 지난 2분기 동안 NSW 주의 경제 성장이 다른 어느 주보다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주 수요일(12일) 발표된 웨스트팩 멜번 연구소의 소비자 심리조사는 NSW 주 경제에 대한 낙관론자가 비관적인 시각보다 많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최근의 소매판매 수치 또한 다른 어느 주보다 강한 성장세를 드러내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주택 부문에서는 지난 1월 주거지 건축허가 승인이 5.4%, 지난 한 해 연간 34.1%가 늘어나는 등 오랜 침체를 벗고 경기활황의 강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 달 호주 국가 실업률은 그 달에만 4만7천 개의 직업이 추가됐음에도 6.0%로 변동이 없었다. 이로 인해 풀타임 고용은 8만500명이 늘었으며 반면 파트타임 직업은 3만3천 개가 없어졌다. 하지만 통계청은 고용률 조사 표본의 변동이 고용률의 큰 상승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언급했다.


직업을 갖고 있거나 직장을 구하는 잠재적 노동자의 비중인 참가율의 증가를 제외하고 국가 실업률은 하락해 있었다. 이는 0.2%가 상승해 64.8%로 집계됐다.


고용률은 최근 발표된 콴타스(Qantas) 항공의 직원 감축, 빅토리아(Victoria) 주와 남부 호주(South Australia) 주 자동차 공장의 폐쇄 결정 등을 포함함 부정적인 소식 이후 집계된 것이다.


경제연구기관인 컴섹(CommSec)의 세반스 세바스찬(Savanth Sebastian) 경제분석가는 “최근의 자료는 고용창출의 핵심 분야가 변화할 것임을 보여주는 것일 수도 있다”면서 “일부 대기업에서의 직장 손실보다는 중고 규모의 비즈니스에서 일자리가 더 많이 발생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통계청의 이번 조사 결과 퀸즐랜드(Queensland) 주는 직업 성장 면에서 가장 강세를 보여 지난 달 3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생겨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게 실업률도 6.2%에서 6.1%로 하락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23 호주 시드니향우회연합회, 재외선거 투표율 제고 운동 전개 톱뉴스 19.06.12.
722 호주 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2019 세종학당 한국어 말하기 대회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721 호주 총영사관, 국적 및 가족관계 설명회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720 호주 쿠리어 메일 “호주정부, 시민권 취득 요건 강화 계획 포기” 톱뉴스 19.06.18.
719 호주 평통 호주협의회 자문위원, 후보 추천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718 호주 제10회 호주한국영화제... 8월 22일 시드니-캔버라서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717 호주 문화원, 시드니 Good Food & Wine Show에 이색 참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716 호주 2019 NSW주/연방 선거 결과분석과 한인동포사회의 관계증진 세미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715 호주 “항일 독립정신 외면하는 것은 반역...” 호주한국신문 19.06.20.
714 호주 법륜스님 즉문즉설 시드니 강연회 ‘행복한 대화’ 열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713 호주 32대 시드니한인회 피터 김 부회장 당선자, 전격 ‘사퇴’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712 호주 올 겨울 시드니에서 만나는 한국 현대미술 전시회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711 호주 시드니 교도소 수감자 폭행 살인 사건의 범인은 한국계 20대 재소자 톱뉴스 19.06.25.
710 뉴질랜드 한반도 평화통일 뉴질랜드 현지인과 함께 실현해 가는 한뉴우정협회. NZ코리아포.. 19.06.27.
709 뉴질랜드 한국전 69주년 기념식 웰링톤에서 추모가져... NZ코리아포.. 19.06.27.
708 호주 총영사관, 7월 QLD 순회영사 계획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7.
707 호주 김치 만들기 매력에 흠뻑 빠진 시드니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7.
706 호주 2019 시드니 월드한식페스티벌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7.
705 호주 UTS Insearch 한인 학생들 대상 디자인 공모전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7.
704 호주 해외 유권자 연대 통해 동포사회 권익 꾀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