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부동산 활황끝).jpg

부동산 가격 오름세는 여전... 올 3월 분기 3.1% 상승



올 들어 주택가격 상승이 다소 둔화되면서 부동산 분석가들은 시드니 지역 부동산 붐은 안정기에 접어든 것으로 분석했다. 호주 부동산 모니터(Australian Property Monitors, APM)에 따르면 작년 12월 분기 시드니 주택가격은 5.1% 상승했지만 올해 3월 분기에는 3.1% 상승으로 다소 둔화됐다.


APM의 수석 경제학자 앤드류 윌슨(Andrew Wilson) 박사는 “우리는 최고점을 지났으며, 현재 우리는 주택가격 상승이 주춤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내 생각에 부동산 활황은 안정기에 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아파트 가격 성장 역시 둔화되면서 작년 12월 분기 3.2% 상승하였지만 3월 분기에는 2.6% 상승에 그쳤다.


하지만 시드니 부동산 시장의 중간 주택가격은 78만2973 달러, 중간 아파트 가격은 54만7053 달러를 기록하며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하고 있다.


APM의 쉐인 올리버(Shane Oliver) 수석 경제학자는 “나는 현재 우리가 시드니 주택가격 상승의 최고점을 보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적정 가격대는 더 악화됐다”고 진단했다.


어느 경제학자도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하지는 않는다. APM의 분기별 데이터는 로어 노스 쇼어(lower north shore) 지역이 8% 상승한 것과 같이 일부 지역은 부동산 가격 상승 둔화에 완강하게 저항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12월 분기에 이 로어 노스 쇼어 지역의 부동산 가격은 5.3% 상승했다.


래이 화이드 로어 노스 쇼어(Ray White Lower North Shore)의 피터 매튜(Peter Matthews)씨는 “매물 부족 등의 요인으로 아직 시장에 자신감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부동산 시장에서 거래는 당사자 간의 거래가 아닌 경매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며 “이런 점이 경쟁에 힘이 실린다”고 덧붙였다.


크로우 네스트(Crows Nest) 알바니 스트리트(Albany Street)에 위치한 침실 2개의 세미(semi) 주택은 지난 3월1일 경매 전, 경매 개시 가격이 102만5천 달러였다. 이 매물은 경매에서 130만 달러에 판매됐다. 매튜씨는 “이 경매는 올해 놀라운 결과를 가져온 경매 중 하나였다”고 전했다.


가격 성장은 또한 부동산 유형에 영향을 받는다. 매튜씨는 “크리스마스 이전 시장에는 200만 달러 미만 매물에 많은 관심이 있었다”며 “하지만 현재는 300만 달러 이상의 매물에서 많은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시티와 동부 지역의 부동산 가격 성장은 12월 분기 8.9% 성장했지만 올해는 1.7% 성장, 가장 큰 폭의 가격 성장 둔화를 보이고 있다.


스펜서 앤 서비 퍼스트 내셔날(Spencer & Servi First National)의 동부 지역 에이전트인 애니 허드슨(Annie Hodgson)씨는 “시장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느낀다”고 전했다. 그녀는 “시장의 활황은 작년 말에 이어 올해 초까지 이어졌다. 내 생각으로 우리 모두는 이런 상황이 계속 지속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느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어퍼 노스 쇼어(upper north shore)와 노스-웨스트(north-west) 지역의 부동산 가격도 작년 말 9.2% 상승하였으나 올 3월 분기에는 4.3% 상승, 오름세가 둔화됐다.


시드니에서 가장 탄력적인 시장은 이너 웨스트(inner west) 지역으로 가격상승은 5.9%에서 올해 4.4%로 다소 낮아지는 데 그쳤다.


(표는 중간 주택가격 상승 변화).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3 호주 경기회복 신호탄, 4개월 연속 구인광고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5.08.
122 호주 호주 두 젊은 재벌의 대낮 난투극은 미란다 커 때문? 호주한국신문 14.05.08.
121 호주 NSW 빅터 도미넬로 장관, ‘세월호 참사’ 희생자 애도 호주한국신문 14.05.08.
120 호주 김봉현 대사, 서부 호주 광산개발 시찰 호주한국신문 14.05.08.
119 호주 평통, 북한의 현 정세와 한반도 주변 상황 분석 호주한국신문 14.05.08.
118 호주 시드니한인회, ‘인종차별법 개정 반대’ 포럼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5.08.
117 호주 시드니 어퍼노스쇼어 지역, ‘100만 달러 클럽’ 진입 호주한국신문 14.05.08.
116 호주 시드니 부동산 경매 낙찰률, 4주 연속 80% 이하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5.08.
115 호주 호주인들, “양부모 가족은 아이 성장에 필요” 호주한국신문 14.05.01.
114 호주 호주 해군, 케냐 해안에서 1톤가량의 헤로인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5.01.
113 호주 NSW 주 강력한 법질서 정책으로 재소자 급증 호주한국신문 14.05.01.
112 호주 킹스크로스 유흥업소들, 도심으로 눈 돌려 호주한국신문 14.05.01.
111 호주 호주 내 마약 압수 및 사용자 체포 크게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5.01.
110 호주 NSW 주, 호주 내 경제 부분에서 ‘선두’ 달려 호주한국신문 14.05.01.
109 호주 시드니, ‘유학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도시’ 포함 호주한국신문 14.05.01.
108 호주 시드니 부동산 활황, 저소득 계층에게는 ‘재앙’ 호주한국신문 14.05.01.
107 호주 동포화가 수향 선생 작품, ‘Berndt Museum’서 초대 호주한국신문 14.05.01.
106 호주 ‘세월호 참사’ 애도 분위기 속 ‘탁구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4.05.01.
105 호주 애보트 정부 ‘인종차별금지법 개정’ 관련 호주한국신문 14.05.01.
104 호주 ‘세월호 참사’ 관련, 시드니한인회 합동분향소 마련 호주한국신문 14.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