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구세군).JPG

호주 구세군의 ‘2014 레드쉴드 어필 모금운동’(Salvation Army’s 2014 Red Shield Appeal) 런칭 행사에서 브루스 해머(Bruce Harmer) 대표가 이번 모금운동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작은 사진은 구세군 로고.

 

각 가정 방문모금 활동은 5월 24-25일 양일간 펼쳐져


 

지난 5월 6일(화) 시드니 라이카트(Leichhardt)에서 열린 ‘구세군 2014 레드쉴드 어필 모금운동’(Salvation Army’s 2014 Red Shield Appeal) 런칭 행사를 마련한 호주 구세군이 이 행사를 시작으로 대대적인 모금 운동을 전개한다.

 

레드쉴드 어필 모금의 올해 전국 목표액은 8천만 달러로, 모금의 주 원천이 되는 가정방문 모금 활동은 524일에서 25일 사이의 주말로 예정되어 있다.

 

호주 구세군(Salvation Army Australia)의 브루스 해머(Bruce Harmer) 대표는 이번 모금 운동에 관해 “레드쉴드 어필 모금 활동을 통해 거둔 성금은 구세군의 활동에 필수적인 재원이 되어 어려운 상황에 처한 가정과 사람들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해 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매일의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자동차나 냉장고가 고장 나는 것 같은 예상 밖의 지출은 집세를 내지 못해 임대 주택에서 쫓겨나는 심각한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구세군은 대규모의 전환기를 겪고 있는 호주 경제에 따라 많은 개인과 가정의 미래가 불확실한 현 상황에 비추어 식비문제 해결과 같은 기본적 지원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해머 대표는 “저소득층이나 정부 보조금 수급 가정에서는 집세를 지불하고 나면 가족들의 기본적인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주 50달러의 적은 돈으로 연명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고 강조했다.

 

레드쉴드 어필 모금 활동을 통해 마련된 자금을 통해 구세군은 연간 100만 명 이상의 불우한 이웃들에게 식료품 쿠폰, 공과금 납부보조, 예상 밖의 지출에 대한 무이자 대출 등의 즉각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재정상담, 구직 서비스, 마약/술/도박 중독자들을 위한 재활활동 등 장기적인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지원활동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특별 사업 분야로서 이민자나 비영어권 출신의 주민들을 돕기 위한 영어 강습, 고령자 모임, 직업알선 서비스, 나아가 가족 연합 등의 난민지원 서비스도 운영한다.

 

레드쉴드 어필 모금 성금은 전화 13 SALVOS(13 72 58), 웹사이트 salvos.org.au 또는 웨스트팩(Westpac) 은행을 이용하거나, 수표의 경우에는 겉봉에 사서함 주소 ‘PO Box 9888’이라고 적은 후 거주지의 주 수도명을 적어 우송하면 된다.

 

구세군과 관련된 보다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 salvos.org.au를 방문, 확인할 수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3 호주 항우울제 등 신경치료제 복용 아동 크게 증가 호주한국신문 14.06.26.
242 호주 이집트 법원, 호주인 기자 등에 징역 7년형 선고 호주한국신문 14.06.26.
241 호주 법원, 론 울프 바이키 갱 살해범에 징역 20년 구형 호주한국신문 14.06.26.
240 호주 주 정부의 부동산 매입 보상금, 현실성 떨어져 호주한국신문 14.06.26.
239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새 열차라인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238 호주 ‘초이스’(choice), 아이들 인기 간식 영양 평가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237 호주 불법 바이키 갱 ‘헬스엔젤스’ 조직원 습격당해 호주한국신문 14.06.26.
236 호주 연방 정부, 테러 방지 위해 새 여권 도입 호주한국신문 14.06.26.
235 호주 한국문화원, ‘한식요리 경연’ 시드니 예선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26.
234 호주 “평화헌법 입법 취지와 진정성 유린 말라” 호주한국신문 14.06.26.
233 호주 조선시대 화가들의 작품, ‘현대’로 재탄생되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232 호주 김봉현 주호주대사 빅토리아 주 공식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6.26.
231 호주 “언어 학습은 가정에서 시작됩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230 호주 “세월호 참사를 잊는 순간이 바로 제2의 참사입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229 호주 달링스퀘어(Darling Square) 1차 분양, 하루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26.
228 호주 NSW 주 예산안, 취약 계층을 위해 10억 달러 사용 호주한국신문 14.06.20.
227 호주 호주의 검은 심장 ‘The Block’ 철거 호주한국신문 14.06.20.
226 호주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카운셀러들, ‘업무 과다’ 호주한국신문 14.06.20.
225 호주 도심 및 유흥지구 대상 강화된 음주법 관련 호주한국신문 14.06.20.
224 호주 “길거리 스마트폰 문자 사용, 사고위험 높다” 경고 호주한국신문 14.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