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언어교육).JPG

NSW 주 언어교육 향상 및 확장을 위한 계획을 설명하는 아드리언 피콜리(Adrian Piccoli) 주 교육부 장관(앞줄 왼쪽). 그는 ‘모든 언어교육은 가정에서 시작된다’는 것이 기본이라고 강조했다.

 

아드리언 피콜리 NSW 교육부 장관, 교육개혁 방안 설명

 


“학생들의 언어 학습은 가정에서 시작됩니다.”

NSW 주 교육부 아드리언 피콜리(Adrian Piccoli) 장관은 금주 월요일(23일) 버우드 걸스 하이스쿨(Burwood Girl's Highschool)에서 미디어 브리핑을 갖고 NSW 주 언어교육 향상 및 확장을 위한 계획을 설명했다.

 

지난해 교육부는 ‘학습, 교사 및 교육 표준 위원회’(Board of Studies, Teaching and Educational Standard. BOSTES)에 보다 활성화되고 포괄적인 제2 언어교육 계획을 위한 권고사항을 의뢰한 바 있다.

 

이날 피콜리 장관은 “이제 NSW 교육부는 더 많은 학생과 그 가족들이 또 다른 언어를 배우는 데 대한 가치를 확실히 깨닫게 하도록 고안된 몇 가지 제안을 발표할 수 있게 되었다”면서 “특히 지역사회 내에 현존하는 언어역량, 즉 학생들이나 장차 교사가 될 수도 있는 사람들의 역량을 이용하고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장관은 “전 세계에서 가장 다문화 국가로 꼽히는 NSW 주는 성공적으로 언어를 가르치고 배우며 그 가치를 소중히 하는 데 있어 아주 유리한 위치에 있다”며 “더 많은 학생들에게 언어를 배우도록 장려하고 그들에게 인센티브를 주어 하이스쿨 최종학년까지 언어학습을 지속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로 구성된 BOSTES의 자문단은 주 교육부의 요청에 따라 △가정에서 영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하는 35만 명 이상 NSW 학생들의 기존 언어 잠재성 배양, △온라인 교육을 사용, 가르치는 언어의 종류뿐 아니라 교육대상자 폭 넓히기(특히 우선적인 아시아계 언어의 경우), △2개 국어를 하는 초등학교 교사를 언어교사로 재교육 시키기, △초, 중등학교와 지역사회 언어 제공사 사이의 협업관계 양성 등을 권고했다.

 

피콜리 장관은 “우리는 언어교사의 제공 폭을 늘려야 하며 언어학습의 가치를 더 크게 인정해 주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그 중요한 예로, 학생들이 가정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바탕으로 학교에서 이를 계속 발전시키도록 장려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주말에 언어수업을 들으면 학교에서는 그런 배움의 가치를 인정해 주어야 할 것”이라는 피콜리 장관은 “이런 조치들을 통해 더 많은 학생들이 언어를 배우고 언어 및 이중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다문화사회는 물론 글로벌 한 지역사회에서 성공적인 삶을 살게 되리라 믿는다”고 강조했다.

 

장관은 이어 “이번 검토로 얻어진 권고사항들이 정부의 가르침과 학생들의 배움이라는 교육개혁 취지를 지원하는 것에서 만족스럽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주 교육부의 교육개혁 관련 사항은 홈페이지(www.boardofstudies.nsw.edu.au/languagesreview)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23 호주 ‘임정연 한복’, ‘호주 다문화 패션쇼’에서 한복의 아름다움 뽐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22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9 호주한국신문 21.12.16.
221 호주 호주 국방부, 한국과 자주포 등 10억 달러 규모 무기 계약 마무리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220 호주 올해로 창립 40년 맞는 CASS, 다문화 자원봉사자 노고 격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219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1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218 호주 호주-한국을 넘어 세계 시장 넓혀가는 ‘레이보우앤네이쳐’ 이병구 대표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217 호주 대한민국 제20대 대선 재외선거인 등록, 약 23만 명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216 호주 “오늘은 우리 모두 하나이며 행복한 호주인임을 확인하는 날입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215 호주 한반도 비무장지대 속의 ‘경계’, 예술적 상상으로 남과 북의 미래를 그리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214 호주 한국관광공사 시드니 지사, ‘Win a trip to Korea!’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213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2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212 호주 시드니 도심 거리를 장식한 한국 전통 오방색의 스트리트 배너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211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0 호주한국신문 22.02.03.
210 호주 주목받는 한국문학 도서들, 시드니에서 만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209 호주 민주평통 호주협의회, 해외 ‘우수협의회’로 의장 단체 표창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208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3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207 호주 “어떤 연유로든 돌아가신 고인의 삶은 존중받아야 합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206 호주 팬데믹으로 중단됐던 한국문화 이벤트, 2년여 만에 열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205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1 호주한국신문 22.02.17.
204 호주 한인사회의 ‘Korean Friendship Garden’ 추진, 이번에는 ‘희망적’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