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가정폭력).jpg

연방정부가 가정폭력 예방을 위해 폭력 피해자 및 가해자에 대한 각 주 법원의 결정을 호주 전역의 주 및 테러토리에서 똑같이 적용하는 가정폭력 방지 대책을 수립했다.


주(State) 법원 결정, 모든 주-테러토리서 똑같이 적용

 


앞으로 가정폭력 가해자는 법원 출두를 피하기 위해 주(State) 경계를 벗어나 도주할 수 없게 된다.

 

연방정부는 호주 전역에 걸쳐 가정폭력 금지 명령에 대한 규정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애보트(Tony Abbott) 정부는 1억 달러가 소요되는 가정폭력 방지를 위한 제2의 구체적 계획 마련에 각 주 및 테러토리 정부가 함께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애보트 수상은 “만약 어느 주에서 법원이 가정폭력으로부터 여성 또는 아동을 보호하기 위해 가해자에 대한 법원의 금지 명령이 내려질 경우 이는 모든 주 및 테러토리에서 똑같이 적용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상은 이어 “가정폭력 금지 명령은 법원의 결정이며 이는 각 주 및 테러토리를 넘어 호주 전역에서 집행할 수 있게 된다”며 “만약 피해 여성이 다른 주로 이주할 경우 폭력 위험에 있다는 것을 (주 법원에) 다시 증명하지 않아도 된다”고 덧붙였다.

 

애보트 수상의 여성정책을 보좌하는 미샬리아 캐시(Michaelia Cash) 상원의원은 연방 정부의 이 같은 계획에 대해 “피해 여성이 이제는 더 이상 폭력을 피해 숨을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정리했다.

 

캐시 의원은 “정부가 추진하는 것은 호주에서 가정폭력을 경함한 여성에 대한 보호 수준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며 “이제 가정폭력 가해자는 더 이상 숨을 곳이 없게 되며, 만약 피해자라면 이제는 폭력을 피해 숨어 있어야 할 필요가 없다”고 또 한 번 강조했다.

 

캐시 의원은 이 같은 새 제도가 호주 전역에서 똑같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제까지 가정폭력 피해자가 가진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폭력 피해자로서 다른 주로 이주할 경우 해당 주에서는 이전의 폭력 피해를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이었다.

 

캐시 의원은 연방정부의 이 같은 계획에 대해 “‘가정 또는 가족 폭력에 대한 관용 금지’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캐시 의원은 폭력 피해자에 대한 접근 금지 명령 유효에 대한 기간을 설정하지는 않았지만, 3년 정도로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개인적인 의견을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3 호주 한글날 및 한호 수교 60주년 기념, ‘한글 손글씨’와 함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62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전통음악 재해석한 ‘Travel of Korea’s Sound’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261 호주 다문화 국가에서의 인종혐오, 그에 대한 대응의 어려움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60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6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59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제20대 대통령 재외선거 신고신청 접수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58 호주 시드니한국교육원, 호주 3개 주에서 한국어능력시험 실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257 호주 한인 차세대들이 보는 법률-정치 분야 비전과 제안은... 호주한국신문 21.10.21.
256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7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255 호주 한-호 수교 60주년 계기, 호주국립대학교 내에 ‘코리아 코너’ 문 연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254 호주 호주 등 각국 한인동포들, ‘재외동포청(처) 신설 촉구’ 서명운동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253 호주 차세대 젊은이들의 역량 강화, "본인 능력 배양에 커뮤니티 지원도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25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6 호주한국신문 21.11.04.
251 뉴질랜드 이민성,일부 취업 비자 소지자를 위한 2021 새로운 영주권 비자 발표 일요시사 21.11.08.
250 뉴질랜드 3차 행복누리 긴급식료품 박스 지원 가능 일요시사 21.11.08.
249 뉴질랜드 제15회 세계한인의 날 유공 정부포상자 명단 일요시사 21.11.08.
248 뉴질랜드 재외선거인등록,1월 8일까지 마쳐야 제20대 대통령선거에 참여 일요시사 21.11.08.
247 뉴질랜드 한국 직계가족방문 격리면제, 형제 자매 방문까지 확대 검토 일요시사 21.11.08.
246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민원실 방문예약제’ 실시 방침 호주한국신문 21.11.11.
245 호주 지방선거 나서는 한정태 후보, "차세대 정치인 육성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44 호주 김치의 무한 변신... 시드니한국문화원, ‘김치’ 주제 요리경연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