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한 해 동안 임금은 연간 34달러 53센트만이 상승했지만 집값은 무려 3만 8000달러가 상승했다.이러한 내용은 매시 대학에서 발표한 2/4분기 주택구매능력보고서(Home Affordability Report)에 수록되어 있다.



보고서에는 2014년 5월까지 지난 12개월간 전국 주택구매능력이 7.6% 하락하였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전국 집값 중앙값이 3만 8000달러가 오르는 동안 임금이 34달러 53센트밖에 오르지 않았다며, 주택구매능력이 하락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말했다. 평균 모기지 금리 역시 5.57%에서 5.64%로 상승했다. 보고서는 최근 금리가 계속해서 인상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주택구매능력이 계속해서 하락할 것이라고예상했다.



주택구매능력이 상승한 것은 사우스랜드(+14.4%), 타라나키(+8.4%), 마나와투/왕가누이(+6.2%), 넬슨(+2.2%), 오타고(+0.8%) 등총 5개 지역이었으며 그 외 센트럴 오타고/레이크(-12.2%), 캔터버리(-10.6%), 오클랜드(-9.1%), 와이카토(-4.8%), 노스랜드(-3.5%), 웰링턴(-3.4%), 혹스베이(-0.7%) 지역은 모두 하락했다. 분기별로 보았을 때 전국 주택구입능력은 2.8% 향상되었던 지난 분기와 달리 4.5% 하락하며 저조한 성적을 나타냈다. 



한편 주택건설 승인절차는 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달에 허가가 떨어진 신규 주택건설은 7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뉴질랜드 통계청은 자료를 통해 승인이 난 건물들의 수가 2007년 9월 수준으로 돌아갔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수치는 정점에 달했던 2004년에는 아직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다. 지난 5월 전국적으로 2125개의 승인이 떨어졌으며 이 중 195개는 아파트였다. 아파트에 대한 승인 수는 월마다 달라 지난 4월에는 432개였지만 지난 달에는 크게 줄었다. 신규 주택에 대한 승인을 가장 많이 받아낸 지역은 오클랜드로 총 611개(아파트 109개)였으며 캔터버리가605개(아파트 46개)로 그 뒤를 이었다. 와이카토는192개였다. 5월에 승인이 떨어진 건설의 총 규모는 12억 달러로 이 중 8억 4200만 달러는 주거용 프로젝트, 3억 7000만 달러는 비주거용 프로젝트였다. 지난 5월까지 12개월간 승인이 된 건설 프로젝트는 총 2만 2849개였다. 총 16개 지역 중 10개 지역의 프로젝트 허가 수가 전년도에 비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3 호주 한글날 및 한호 수교 60주년 기념, ‘한글 손글씨’와 함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62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전통음악 재해석한 ‘Travel of Korea’s Sound’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261 호주 다문화 국가에서의 인종혐오, 그에 대한 대응의 어려움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60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6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59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제20대 대통령 재외선거 신고신청 접수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58 호주 시드니한국교육원, 호주 3개 주에서 한국어능력시험 실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257 호주 한인 차세대들이 보는 법률-정치 분야 비전과 제안은... 호주한국신문 21.10.21.
256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7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255 호주 한-호 수교 60주년 계기, 호주국립대학교 내에 ‘코리아 코너’ 문 연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254 호주 호주 등 각국 한인동포들, ‘재외동포청(처) 신설 촉구’ 서명운동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253 호주 차세대 젊은이들의 역량 강화, "본인 능력 배양에 커뮤니티 지원도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25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6 호주한국신문 21.11.04.
251 뉴질랜드 이민성,일부 취업 비자 소지자를 위한 2021 새로운 영주권 비자 발표 일요시사 21.11.08.
250 뉴질랜드 3차 행복누리 긴급식료품 박스 지원 가능 일요시사 21.11.08.
249 뉴질랜드 제15회 세계한인의 날 유공 정부포상자 명단 일요시사 21.11.08.
248 뉴질랜드 재외선거인등록,1월 8일까지 마쳐야 제20대 대통령선거에 참여 일요시사 21.11.08.
247 뉴질랜드 한국 직계가족방문 격리면제, 형제 자매 방문까지 확대 검토 일요시사 21.11.08.
246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민원실 방문예약제’ 실시 방침 호주한국신문 21.11.11.
245 호주 지방선거 나서는 한정태 후보, "차세대 정치인 육성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44 호주 김치의 무한 변신... 시드니한국문화원, ‘김치’ 주제 요리경연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