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드니 예술품).jpg

시드니 카운슬이 약 800만 달러의 예산을 들여 예술조형물로 CBD를 꾸미겠다며 작품을 선정, 발표한 가운데 일부 예술계 관계자 및 시 의원들은 선정 작품에 대해 강한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사진은 이번에 선정된 작품 ‘클라우드’의 모형과 시드니 시의 클로버 무어(Clover Moore) 시장.

 

일부 예술계 전문가 및 시의원, 설치작품 선정에 강한 비판

 


“장엄하고 기발하다”라고 설명되는 800만 달러 가치의 예술품들로 시드니 CBD를 꾸미겠다는 시드니 카운슬의 계획에 대해 일각에서는 냉소적 시선을 보내고 있다.

 

클로버 무어(Clover Moore) 시드니 시장은 전문가 패널 앞에서 조지 스트리트(George Street) 앞에 설치될 50~75미터 높이의 새로운 아치형 조각물인 ‘클라우드(cloud)’의 최종 콘셉트를 발표했을 때 그녀는 “환상적”이라며 감탄했다. 다른 이들의 반응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하지만 일부 인사들의 생각은 결코 무어 시장과 같지 않았다. 조각가인 론 로버트슨-스완(Ron Robertson-Swann)씨는 “이 조각물은 거대하고 바보스럽다”고 전하며 “이것들은 우리를 지루하게 만들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이것은 단지 장식용 아치이다. 절반 크기로 만들어져도 충분하며 이것이 시드니의 아이콘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건축가인 데이빗 바고(David Vago)씨 또한 비슷한 비판을 쏟아냈다. 그는 “만약 미켈란젤로가 현대 예술이 주제를 정하고 거대하게만 만들면 된다는 것을 안다면 무덤에서 탄식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350만 달러의 예산이 들어가며 무어 시장에 의해 에펠탑과 같은 세계적인 건축물과 비교되는 이 조각은 일본 예술가이자 하버드 평론가인 준야 이시가미(Junya Ishigami) 작가에 의해 디자인됐다.

 

또 다른 두 개의 작품은 센트럴 역 옆 벨모어 파크(Belmore Park)에 250만 달러의 예산을 들여 우유 박스 모양으로 된 3층 높이의 파빌리온(pavilion, 공원 안의 쉼터・공연장 등으로 쓰이도록 용도보다는 아름다움을 강조하여 지은 건물)과 켄트 스트리트 언더패스(Kent Street underpass)에 60개의 청동으로 만들어진 수제 조류 모양의 장식(210만 달러 규모)이다.

 

로버트슨-스완 작가는 “우유 상자 모양의 예술품은 심각하게 지루하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이러한 비판과 다르게 다른 예술계 관계자들은 이번 계획을 환영하기도 했다. 아치형 구조물과 이시가미 작가의 스타일을 칭찬하는 현대미술관(Museum of Contemporary Art) 엘리자베스 앤 맥그리거(Elizabeth Ann Macgregor) 관장은 “이번 작품 설치로 인해 시드니는 좀 더 유명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시드니 시의 한 의원에 따르면 친숙한 만화 캐릭터인 유령 캐스퍼가 금속의 하얀 리본을 매고 있는 작품도 후보에 있었으며 치실 모양의 작품도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시드니가 이런 대담한 아이디어들에 대해서는 왜 거부했는지 불분명하다.

 

만약 민주적이고 투명하게 공공 미술품을 선택했다면 금주 화요일(29일) 오전까지 비밀에 붙여질 수밖에 없었던 새로운 설치물들에 대한 논쟁은 줄어들 수 있었을 터이다.

 

시드니 카운슬의 에드워드 맨드라(Edward Mandla) 의원(자유당)은 “대중들이 최종 후보에 대해 직접 검토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번 설치물들은 도심 조지 스트리트(George Street)가 보행자대로와 경전철 라인으로 탈바꿈 되는 3년에서 7년 후에 완성될 전망이다. 아치의 최종적인 높이는 기술적인 분석을 마친 후 결정된다.

 

무어 시장은 조형물 설치에 대한 이 같은 비판들에 대해 매우 민감해 하며 “오늘은 단지 작품에 대한 대화의 시작”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녀는 계획의 변경 유무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답변을 회피했다.

 

다만 무어 시장은 “1957년 전문가 패널이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의 디자인을 선택했을 대 보였던 대중들의 반응과 마찬가지로 카운슬이 설치하는 이 작품들에 대해서도 시민들은 사랑을 보낼 것”이라며 “사람들이 시드니를 알고, 오페라 하우스를 알며, 하버브릿지를 아는 것처럼 미래에 사람들은 ‘클라우드’를 알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43 뉴질랜드 주뉴질랜드대한민국대사관, 한국전 참전용사에게 마스크 지원 NZ코리아포.. 20.05.27.
342 뉴질랜드 6.25 전쟁70주년, 참전용사께 감사편지 쓰기 공모전 시상식 NZ코리아포.. 20.06.25.
341 뉴질랜드 정다래, 2020 뉴질랜드 골프 국가대표 선발 NZ코리아포.. 20.06.26.
340 뉴질랜드 "다시는 전쟁이 없기를", 625전쟁 70주년 NZ코리아포.. 20.06.26.
339 뉴질랜드 뉴질랜드 대한체육회, 교민을 위한 체육회로 새로운 출범 기대 NZ코리아포.. 20.06.28.
338 뉴질랜드 한국전쟁 70주년, 웰링턴 국립전쟁기념공원에서 기념식 개최 NZ코리아포.. 20.07.02.
337 뉴질랜드 “미래의 나의 꿈은?” NZ코리아포.. 20.07.09.
336 뉴질랜드 한국전쟁 정전협정체결 제67주년 기념식 개최 NZ코리아포.. 20.07.28.
335 호주 “한국 소설로 공부하며 독서의 즐거움도 다시 발견...” file 헬로시드니 20.07.31.
334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한국전쟁 참전용사 대형 이미지’ 전시 file 헬로시드니 20.08.07.
333 뉴질랜드 참전용사 감사 편지책 전달과 함께 한 70주년 6.25 일요시사 20.08.18.
332 뉴질랜드 영원한 평화' 70주년 기념 한국전쟁 사진전시회 개최 일요시사 20.08.18.
331 뉴질랜드 제 14대 재뉴 대한 체육회, 회장 이.취임식 개최 일요시사 20.08.18.
330 뉴질랜드 제67주년 한국전쟁 정전협정체결 기념식 개최 일요시사 20.08.18.
329 뉴질랜드 이상진 뉴질랜드 대사, 오클랜드 한인회관 방문 일요시사 20.08.18.
328 호주 순백의 전통 백자에 현대적 숨결을 불어넣다... file 헬로시드니 20.08.21.
327 뉴질랜드 양종찬 감독, ‘Lost Goodbye’ 안락사 법안 경각심 가져야 NZ코리아포.. 20.08.25.
326 뉴질랜드 전 세계 여성들 줌을 통해 뉴질랜드로 한 자리에 모여... NZ코리아포.. 20.08.25.
325 뉴질랜드 국어사랑 청소년 문학상 시상식, 정체성 확립 큰 도움 NZ코리아포.. 20.11.02.
324 뉴질랜드 “한국문화 한마당 잔치 열린 CHCH ‘한국의 날’ file NZ코리아포.. 20.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