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술 사망).jpg

과도한 음주, 장기간의 알코올 섭취에 따른 질병 사망자가 하루 평균 15명, 매일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는 430명에 달해 이에 대한 인식 제고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알코올 연구재단’ 등 공동 연구진, 병원 입원 매일 430명

음주 여성들 더 위험... 젊은 층 첫 음주 연령은 더 높아져

 


알코올과 관련된 질병으로 사망하는 이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와인 소비 또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알코올 연구재단’(Foundation for Alcohol Research and Education) 등 관련 기관의 공동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알코올 관련 질병으로 사망하는 수치는 하루 15명에 달하며, 매일 430명이 병원에 입원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2010년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과도하고 장기적인 알코올 섭취에 따른 질병으로 한 해 동안 5천554명이 사망하고 15만7,132명이 병원에 입원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연구는 ‘Victoria Health’, ‘Turning Point Alcohol and Drug Centre’, ‘Foundation for Alcohol Research and Education’이 공동으로 실시한 것으로, 각 주 별 알코올 관련 질병 사망비율은 노던 테러토리(Northern Territory)가 11.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알코올 연구재단의 마이클 손(Michael Thorn) 박사는 “호주의 과음 문화가 약간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손 박사는 “알코올 관련 질병 사망자 수치는 도로교통 사고 사망자의 4배에 달하고 있다”면서 “만약 도로교통 사고로 인한 사망자가 연간 5천500명에 달한다면 정부나 지역사회는 이 문제에 대해 보다 심각한 인식을 하겠지만 알코올 문제에 대해서는 너무 등한시 한다”고 지적했다.

 

알코올과 관련한 2010년도의 이 같은 수치는 10년 전인 2000년에 비해 무려 62%가 증가한 수치이다. 사망자는 물론 술로 인해 병원 신세를 져야 하는 이들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손 박사는 이에 대해 “기존에 음주를 하던 이들이 더 많은 양을 마시게 됐으며, 음주 인구도 모든 연령대로 확대됐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한편 손 박사는 호주인의 알코올 섭취 가운데 독주로 분류되는 증류주가 전체 알코올 소비의 20%에 이른다고 말한다.

호주인의 음주에서 가장 큰 변화는 와인 소비량의 증가로, 그에 따르면 전체 알코올 소비에서 극히 적은 비중이었던 와인이 지난 30년 동안 크게 늘어나 지금은 전체 소비 가운데 약 40%를 차지하고 있다.

 

손 박사는 “와인 또한 높은 알코올 함량을 갖고 있으며 전체 주류 가운데 선호되고 있음은 그만큼 위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알코올 관련 사망 여성의 3분의 2는 암 또는 심혈관 질환이라는 통계도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알코올 소비에서 여성이 더 위험하다”는 게 손 박사의 지적이다.

 

이번 보고서를 작성한 벨린다 로이드(Belinda Lloyd) 박사 도한 “비록 오랜 기간 술을 마시되 적은 양을 섭취한다 해도 건강 악화에 미치는 영향은 아주 민감하다”고 경고했다.

 

그런 한편 이번 조사에 참여한 관계자들은 부정적인 결과만 있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연구원들은 “젊은 층의 첫 음주 연령이 높아지고 있으며 또한 전혀 술을 마시지 않는 비율도 늘어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 2010년 기준, 알코올로 인한 사망자 비율

-Northern Territory : 11.8%

-West Australia : 4.7%

-Queensland : 4.2%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 4.3%

-NSW : 3.8%

-Tasmania : 3.6%

-Victoria : 3.4%

-South Australia : 3.3%

 

자료 : Alcohol’s burden of disease in Australia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43 뉴질랜드 주뉴질랜드대한민국대사관, 한국전 참전용사에게 마스크 지원 NZ코리아포.. 20.05.27.
342 뉴질랜드 6.25 전쟁70주년, 참전용사께 감사편지 쓰기 공모전 시상식 NZ코리아포.. 20.06.25.
341 뉴질랜드 정다래, 2020 뉴질랜드 골프 국가대표 선발 NZ코리아포.. 20.06.26.
340 뉴질랜드 "다시는 전쟁이 없기를", 625전쟁 70주년 NZ코리아포.. 20.06.26.
339 뉴질랜드 뉴질랜드 대한체육회, 교민을 위한 체육회로 새로운 출범 기대 NZ코리아포.. 20.06.28.
338 뉴질랜드 한국전쟁 70주년, 웰링턴 국립전쟁기념공원에서 기념식 개최 NZ코리아포.. 20.07.02.
337 뉴질랜드 “미래의 나의 꿈은?” NZ코리아포.. 20.07.09.
336 뉴질랜드 한국전쟁 정전협정체결 제67주년 기념식 개최 NZ코리아포.. 20.07.28.
335 호주 “한국 소설로 공부하며 독서의 즐거움도 다시 발견...” file 헬로시드니 20.07.31.
334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한국전쟁 참전용사 대형 이미지’ 전시 file 헬로시드니 20.08.07.
333 뉴질랜드 참전용사 감사 편지책 전달과 함께 한 70주년 6.25 일요시사 20.08.18.
332 뉴질랜드 영원한 평화' 70주년 기념 한국전쟁 사진전시회 개최 일요시사 20.08.18.
331 뉴질랜드 제 14대 재뉴 대한 체육회, 회장 이.취임식 개최 일요시사 20.08.18.
330 뉴질랜드 제67주년 한국전쟁 정전협정체결 기념식 개최 일요시사 20.08.18.
329 뉴질랜드 이상진 뉴질랜드 대사, 오클랜드 한인회관 방문 일요시사 20.08.18.
328 호주 순백의 전통 백자에 현대적 숨결을 불어넣다... file 헬로시드니 20.08.21.
327 뉴질랜드 양종찬 감독, ‘Lost Goodbye’ 안락사 법안 경각심 가져야 NZ코리아포.. 20.08.25.
326 뉴질랜드 전 세계 여성들 줌을 통해 뉴질랜드로 한 자리에 모여... NZ코리아포.. 20.08.25.
325 뉴질랜드 국어사랑 청소년 문학상 시상식, 정체성 확립 큰 도움 NZ코리아포.. 20.11.02.
324 뉴질랜드 “한국문화 한마당 잔치 열린 CHCH ‘한국의 날’ file NZ코리아포.. 20.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