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중립화 통일협의회 독려

 

뉴스로=노창현기자 newsroh@gmail.com

 

 

사본 - 아바즈 홈피.jpg

 

 

한국의 싸드 배치를 반대하고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체(代替)하자는 국제적인 서명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 LA지회는 8일 성명을 통해 한국정부의 싸드 배치 발표 한달을 맞아 싸드기지가 전쟁의 위협을 높이고 세계3차대전의 확전(擴戰)도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하고 한반도 평화협정을 위한 서명운동(아바즈)에 참여해달라고 호소했다.

 

성명은 “박근혜정부의 전격적인 사드 한반도 배치 발표에 중국과 러시아가 격렬히 반대하며,
유사시 사드 배치 지역은 제1타격 목표가 될 것이라고 강력히 경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 한반도는 아직 ‘한국전쟁’도 마무리되지 않은 채 63년째 휴전중에 있다. 어느 한 쪽의 어처구니 없는 판단 실수가
동족상잔(同族相殘)의 피비린내 나는 전쟁으로 언제든지 이어지고
이는 제3차 세계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성명은 “더 이상의 비극을 막기 위해 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휴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체하도록
유엔과 세계 사회에 호소하자”고 당부했다.

 

서명운동은 글로벌시민단체인 아바즈(Avaaz)에서 한글과 영어, 한문으로 알리고 있다. 아바즈는 2007년에 설립된 글로벌 시민단체로 기후변화, 인권, 동물의 권리, 부패, 빈곤 및 분쟁 관련 이슈에 대한 활동을 촉구하고 있다.

 

아바즈는 '목소리'(노래, 소리)를 의미하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됐고 현재 15개의 언어로 운영되며, 세계 194개국에 3억 명 이상의 회원이 있다.

 

* ‘평화협정 체결 촉구 청원서’ AVAAZ.ORG 청원 사이트

 

https://secure.avaaz.org/en/petition/SecretaryGeneral_of_UN_Help_us_to_prevent_the_World_War_III_in_Korea/?evdwRdb

 

한편, 한반도중립화통일협의회는 지난달 15일 백악관 청원사이트인 위더피플에도 ‘평화협정 체결 촉구 UN 청원’ 서명을 전개하고 있다. 위더피플 서명운동은 8월 14일까지 진행된다.

 

WE THE PEOPLE ASK THE FEDERAL GOVERNMENT TO CHANGE AN EXISTING ADMINISTRATION POLICY:

 

https://petitions.whitehouse.gov/petition/rescind-decision-deploy-thaad-antimissile-system-south-korea

 

 

* 글로벌웹진 뉴스로 www.newsroh.com

 

<꼬리뉴스>

 

Why this is important

Stop the Korean War - Peace Treaty

 

Help us to prevent the World War III in Korea

3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도와주십시요

爲了第三世界戰爭不發生, 請協助

 

Dear Friends,

 

Do you know that the Korean War, technically speaking, is still

going on? It sounds ludicrous but the Cease-Fire Agreement, signed on July 27, 1953, was a merely truce.

 

한국전쟁은 아직 진행중입니다.

朝鮮戰爭乃然是在推進過程中

 

정전협정은 단순히 휴전협정이었습니다.

停戰協定簡單地是停戰

 

Until these days, there’s no “appropriate agreement

for a peaceful settlement at a political level between both sides” which they should follow the Article IV paragraph 60 of the Armistice Agreement.

 

고위 정치가들 사이에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았습니다.

乃然雙方有關各國政府代表沒有召開雙方高一級的政治會議 (和平協議)

 

Please click the link below for further info.

 

https://en.wikipedia.org/wiki/Korean_Armistice_Agreement

 

Which it means, the Korean Peninsula has become an explosive warehouse of the world and now endangers the world closer to World War III.

 

한반도는 3차 세계대전으로 이어지는 세계의 화약고가 되었습니다.

朝鮮半島成爲了發動第三世界戰爭的火藥

 

We can change it. How? By ending the Korean War

and changing this gloomy vicious reality into peaceful and prosperous state through the people-powered AVAAZ.org campaign.

 

AVAAZ 캠페인을 통해 한국전쟁을 끝내도록 도와주십시요.

爲了結束朝鮮戰爭, 請在AVAAZ運動參與

 

Please sign the Petition to end the Korean War!

 

Thank you

Center for Korean Peninsula Neutralization, LA Chapter

 

 

  • |
  1. 사본 - 아바즈 홈피.jpg (File Size:99.2KB/Download:4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97 미국 플로리다, 21일부터 트랜스젠더에 메디케이드 적용 금지 file 코리아위클리.. 22.09.01.
1196 미국 세계 최대 은퇴촌 '더 빌리지스'가 '성병의 수도'라고? file 코리아위클리.. 22.09.01.
1195 캐나다 퀘벡주, 노인층을 위한 COVID-19 추가 접종 시작 file Hancatimes 22.09.01.
1194 캐나다 법률 번역에 관한 일부 법률 조항 중단 판결 file Hancatimes 22.09.01.
1193 캐나다 퀘벡주 도시들, 법안 96호에도 불구하고 이중 언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혀 file Hancatimes 22.09.01.
1192 캐나다 르고 주총리, COVID-19 추가 백신 캠페인 외에 다른 규제는 없다고 밝혀 file Hancatimes 22.09.01.
1191 캐나다 연방정부, 여권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추가 사무실 발표 file Hancatimes 22.09.01.
1190 캐나다 퀘벡미래연맹당, 개인 소득세 인하 약속 file Hancatimes 22.09.01.
1189 캐나다 퀘벡주, 새로운 백신 캠페인에도 백신 접종률 여전히 답보 file Hancatimes 22.09.01.
1188 캐나다 퀘벡주, 비소 배출량 기존 규제보다 5배 수준으로 허용 file Hancatimes 22.09.01.
1187 캐나다 퀘벡주 학교들, 별다른 COVID-19 규제 없이 개학 예정 file Hancatimes 22.09.01.
1186 캐나다 퀘벡주 교육청, 통학버스 없이 개학 준비 중 file Hancatimes 22.09.01.
1185 캐나다 트뤼도 총리, 캐나다 내 프랑스어 사용자 감소는 “매우 심각한 문제” file Hancatimes 22.09.01.
1184 캐나다 퀘벡주, COVID-19 추가 백신 접종 일정 앞당겨…24일부터 예약 가능 file Hancatimes 22.09.01.
1183 캐나다 몬트리올 시장, 시민들에게 추가 경찰 가용 인력 지원 약속 file Hancatimes 22.09.01.
1182 캐나다 제2회 앰브로스 마틸다 국제음악경연 한국까지 확대 밴쿠버중앙일.. 22.09.02.
1181 캐나다 BC 시의회 선거, 한인 후보들 공식 출마 선언 후 선거 운동 돌입 file 밴쿠버중앙일.. 22.09.02.
1180 캐나다 ‘제 1회 파이토젠 한인 축구대회’ 3일 개막 file 밴쿠버중앙일.. 22.09.02.
1179 미국 최대 이자율 767% 고리대금이 텍사스에서 합법? file YTN_애틀란타 22.09.03.
1178 캐나다 OKTA 밴쿠버지회 최초의 지역 활성화 대회 file 밴쿠버중앙일.. 22.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