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현경대 수석부의장은
남북통일은 지구촌 평화, 번영의 시작이라는 주제로 오클랜드 스템포드호텔에서 지난 9일 강연을 했다.



 통일은 이루어 낼 수 있다



현수석부의장은 통일은 국내외 7천만 동포 모두 한마음으로 뜻을 모아서 잘 추진해
나갈 때 비로소 이루어 진다. 통일의 길이 쉽고 편안한 길은 아니다.
힘들고 어려운 길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우리는 해 낼 수 있다. 뜨거운 열망과 소망을 가지고 우리의 모든 것을 바치느냐에 달려있다. 목표를
이루어 내고 마는 집념과 열정과 끈기를 가지고 있는 우리 민족성과 국가 위기에 대처하는 애국심, 근성만
살려낸다면 반드시 통일을 이루어 낼 수 있다.” 동서독이
평화적인 통일을 할 수 있었던 핵심은 동독 주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었다. 그러한 점에서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핵심적인 부분은 바로 북한주민의 선택이다.”라고 밝혔다.



 분단비용, 통일비용
보다 훨씬 크다



 “현재 대한민국 전체 GDP 3%가 분단비용에 쓰여지고 있다. 통일이 되면 이 비용해소는 물론
안보불안으로 인해 경제력이 저평가되었던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해소돼 오히려 통일 프리미엄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분단으로 인한 정치적사회적심리적 비용이 해소된다
말했다.
그는 특히 “북한의 풍부한 지하자원과 비교적 저렴하고 젊은 노동력이 남한의 자본 및 기술과 결합될 때
엄청난 성장의 발판이 마련될 수 있다”라며 “통일이 되면 북한 지역 재건을 위해 국내외의 많은 투자가 뒤따를 것이다. 북한지역에 대한 투자는 만주, 시베리아 지역의 경제 개발 및 자원개발과
연결되어 동북아 경제협력의 견인차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한민국의 통일과 뉴질랜드



현 수석부의장은 뉴질랜드와 우리나라는 형제의 나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625동란으로
대한민국이 누란의 위기에 처해 있을 때 뉴질랜드 젊은이들이 UN군의 일원으로 참전을 해 대한민국을 지켜준
고마운 나라다. 그분들의 희생 위에 세계12번째 가는 경제
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금년 내에 FTA 체결될
것으로 기대하고 전망하고 있다
없는 한반도, 통일된 대한민국이 뉴질랜드와 파트너가 된다는 것은 우리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무엇보다도 통일 이후에 북한 재건 사업에 뉴질랜드에서 많은 사람들이
참여를 해 주어야 할 것이고 실크로드 익스프레스가 완성이 되었을 때 한반도를 통해서 뉴질랜드의 해양문화, 남방
경제권이 북방경제권, 대륙경제권과 연결이 되는 고리 역할을 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남태평양 한가운데 있는 섬나라 뉴질랜드의 입장에서는 대륙과의 연결고리를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양국의
오랜 우호 협력관계가 뉴질랜드의 경제를 대륙경제와 연결시키는 역할을 우리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자세한 강연내용은 www.goodday.co.nz 에서 동영상으로 볼 수 있다.)



 차세대 간담회 개최



현수석부의장은 11일 한국전참전용사와 함께 하는 차세대 간담회를 개최하고 참전용사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통일의 미래는 차세대의 몫이라며 차세대의 기량과 열정이 통일의 기초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nz.goodday.akl@gmail.com>



 

  • |
  1. 20140809.jpg (File Size:252.6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63 호주 서부호주 한인회장 선거 무기한 연기 file 퍼스인사이드 20.04.09.
362 뉴질랜드 뉴질랜드 Lock Down 첫 날 - 주요 정보들 일요시사 20.04.09.
361 뉴질랜드 4월 11일(토요일) 오클랜드 출발 귀국 전세기 예약접수중 일요시사 20.04.09.
360 뉴질랜드 뉴질랜드 COVID 19-4월 2일 1pm 현재 총 감염자 수 797명 일요시사 20.04.09.
359 뉴질랜드 한인 유학생등 262여명,1차 전세기로 귀국길 일요시사 20.04.09.
358 뉴질랜드 COVID-19 4월 9일 1pm 새로운 확진자29명, 총누적 확진자 1239명 일요시사 20.04.09.
357 뉴질랜드 한인 유학생등 262여명,1차 전세기로 귀국길 일요시사 20.04.15.
356 뉴질랜드 발이 묶인 남섬 교민들,임시 항공편으로 귀국 일요시사 20.04.15.
355 뉴질랜드 뉴질랜드 한인회 총연합회장 인사말 일요시사 20.04.15.
354 호주 시드니 한인회, 코로나19확산 속 ‘대구경북지역돕기 모금’ 성료 톱뉴스 20.04.15.
353 호주 호주한인의사회, 동포들 위한 Covid-19관련 의료 서비스 전달사항 당부 톱뉴스 20.04.15.
352 호주 전염병 사태 속 양생의 비결, 철저한 위생 및 면역력 강화 톱뉴스 20.04.15.
351 호주 호주 한인 동포사회 비상대책위원회, 유학생 및 워홀러 대상 ‘따뜻한 점심’ 제공 톱뉴스 20.04.15.
350 호주 서호주 내 지역간 이동제한 길어질 전망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1.
349 호주 격리 기간 지키지 않고 외출한 서호주 남성, 경찰에 체포돼 퍼스인사이드 20.04.21.
348 호주 퍼스 워킹홀리데이 비자소지자 및 유학생을 위한 1차 생필품 무료나눔 행사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347 뉴질랜드 고국에 가고 싶어요! <한국행 5월 출발 "특별기" 수요 조사> 일요시사 20.05.11.
346 뉴질랜드 4월 28일(월)부터 실시간 화상 수업으로 한국어 교육 실시 일요시사 20.05.11.
345 호주 2차 퍼스 워킹홀리데이 비자소지자 및 유학생을 위한 2차 생필품 무료나눔 행사 취재기 퍼스인사이드 20.05.13.
344 호주 3차 한인 유학생, 워킹홀리데이 비자 소지자를 위한 무료나눔 행사 file 퍼스인사이드 20.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