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당이 소득 중하층 가정이 첫 집을 구매할 경우 최고 2만 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존 키 총리는 24일 오클랜드에서 시작한 국민당의 선거운동에서 이 정책을 발표하며 이로 인해 향후 5년간 9만 명의 첫 집 구매자들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당의 홈스타트(HomeStart) 정책은 현재의 첫 집 구매자들을 위한 키위세이버 보조금을 대체하게 되며, 지원을 2배로 늘리고 주택 가격의 한도도 늘어나게 된다. 현재 첫 집 구매자들은 키위세이버에 가입한 지 3년이 지나면 3000달러의 보조금을 신청할 수 있으며 4년과 5년이 지난 가입자들은 각각 4000달러와 5000달러를 지원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홈스타트 제도는 신축 주택을 구입할 경우 3년이 된 가입자들에게 6000달러를, 4년과 5년이 지난 가입자들에게 각각 8000달러와 1만 달러를 주게 된다.



닉 스미스 주택부 장관은 새로운 제도가 도입될 경우 오클랜드에서 각각 5만 달러를 버는 부부 중 키위세이버에 돈을 예금한 지 5년이 된 부부는 키위세이버에서 3만 5000달러를 인출할 수 있으며 정부로부터 2만 달러의 지원금을 받아 첫 집 구매 자금으로 5만 5000달러를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키위세이버 정책은 첫 집을 구매하는 사람들 중 최소 3년간 키위세이버에 예금을 한 사람이어야만 돈을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키위세이버 홈스타트 제도와 웰컴 홈 론(Welcome Home Loans)를 통해 소득 8만 달러 이하의 개인, 혹은 소득 12만 달러 이하의 부부는 정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구매 주택의 가격도 오클랜드는 55만 달러 이하, 국내 다른 지역은 45만 달러에서 35만 달러 사이로 제한된다.



국민당이 이와 같은 정책을 발표하자 데이비드 컨리프 노동당 대표는 "국민당의 정책은 집값만 올릴 뿐이며 주택 공급 부족을 해결하진 못한다. 주택 시장은 수요와 공급이 모두 필요로 하는데 현재 국민당의 정책은 새 주택을 확보할 계획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컨리프 대표는 국민당의 정책은 40만 달러를 사용할 수 있던 사람이 41만 달러를 사용하게 될 수 있게 된 것뿐이며 이로 인해 경쟁이 심화되어 집값이 더 오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동당은 10년간 1만 채의 저렴한 가격의 주택을 건설하겠다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 |
  1. 01092014.jpg (File Size:15.6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63 뉴질랜드 4월 11일(토요일) 오클랜드 출발 귀국 전세기 예약접수중 일요시사 20.04.09.
2862 뉴질랜드 뉴질랜드 Lock Down 첫 날 - 주요 정보들 일요시사 20.04.09.
2861 호주 서부호주 한인회장 선거 무기한 연기 file 퍼스인사이드 20.04.09.
2860 호주 속 끓는 호주 한인 워홀러 “주저앉아 울고 싶어요” 톱뉴스 20.04.09.
2859 호주 제21대 한국 총선, 시드니 총영사관 재외 투표 총 1433명 참여 톱뉴스 20.04.09.
2858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재외투표 마감 호주한국신문 20.04.08.
2857 호주 제21대 총선, 시드니총영사관 투표소만 운영 호주한국신문 20.04.02.
2856 호주 올해 ‘재외동포 문학상’에 ‘입양수기’ 부문 신설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2855 호주 재호광복장학회, 현장교육 등 올해 사업계획 논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2854 뉴질랜드 코로나19정부 브리핑 요약,3월 30일 일요시사 20.03.30.
2853 뉴질랜드 뉴질랜드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첫 사망 사례 나와 일요시사 20.03.30.
2852 뉴질랜드 뉴질랜드 Lock Down 첫 날 - 주요 정보들 일요시사 20.03.30.
2851 호주 호주, 교민 사회 ‘가짜뉴스’ 난립! ˝비상 사태시 유언비어 유포, 수사 대상˝ 호주브레이크.. 20.03.28.
2850 호주 해외 한인사회, “우리도 힘들지만 모국에 기여 희망” 호주한국신문 20.03.26.
2849 호주 【Journal of Reporters】 South Korea has no hoarding. Australian society should follow suit. 호주브레이크.. 20.03.24.
2848 호주 호주, '3.23 부분 셧다운 조치'로 인한 업종별 세부사항! 호주브레이크.. 20.03.23.
2847 호주 호주, ‘임대료 감면’ 운동 확산! 호주 기업들도 동참 분위기... 호주브레이크.. 20.03.23.
2846 호주 Australia Decides to Close Famous Place 'Bondi Beach'! More than 1,000 people have been confirmed... 호주브레이크.. 20.03.21.
2845 호주 젊은층 위협하는 ‘사이토카인 폭풍’...바이러스 죽이려다 정상조직까지 호주브레이크.. 20.03.20.
2844 호주 한인사회 위한 시드니 한인회 행보 "바쁘다, 바뻐"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