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미국 기자참수).jpg

금주 화요일(2일) 이슬람 극단주의 반군단체(Islamic State)가 미국인 프리랜서 기자 스티븐 소틀로프(Steven Sotloff) 씨를 참수하는 것으로 보이는 동영상을 공개, 미국은 물론 국제 사회가 충격에 휩싸였다. 사진은 참수 동영상의 한 장면.

 

IS, 폴리 기자에 이어 두 번째... 미국 정부 “진위 확인중”

 


지난달 20일 이슬람 극단주의 반군단체(Islamic State, 이하 IS)가 미국의 제임스 폴리(James Foley) 프리랜서 기자를 참수하는 동영상을 공개한지 12일 만에 또 다시 미국인 기자를 참수하는 것으로 보이는 동영상을 공개, 미국은 물론 국제사회가 충격에 휩싸였다.

 

미국 언론 등에 따르면 금주 화요일(2일, 미국 시간) 배포된 ‘미국에 대한 두 번째 메시지’라는 제목의 동영상에는 오렌지색 낙하산복을 입은 채 무릎을 꿇은 미국인 기자 스티븐 소틀로프(Steven Sotloff) 씨가 IS 조직원에 의해 참수당하는 장면이 들어있다.

 

동영상 속의 소틀로프 기자는 참수 당하기 전 “당신들은 내가 누구고, 내가 여기 왜 있는지를 알 것”이라고 말했다. IS 조직원은 검은색 복장에 두건과 마스크를 썼으며 영국식 억양을 구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소틀로프를 참수하기 전 “이슬람 국가를 향한 오바마의 오만한 외교정책 때문에 돌아왔다”며 “우리를 향해 미사일을 계속 쏜다면 우리의 칼은 너희들을 계속 공격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IS는 소틀로프 기자를 참수 뒤 세 번째 인질로 추정되는 영국인 1명을 추가로 살해하겠다고 경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틀로프 기자는 ‘타임’과 ‘포린폴리시’ 등에 기사를 보낸 프리랜서 기자로 지난해 8월 시리아에서 IS에 납치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지난달 폴리 기자 참수 동영상에 모습을 드러낸 바 있다.

 

미국 정부는 이 동영상의 진위 여부를 확인중이라고 밝혔다. 조시 어네스트(Josh Earnest) 백안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 도중 이 소식이 전해지자 브리핑을 중단하고 “동영상의 진위를 확인 중”이라고 밝혔고, 젠 사키(Jen Psaki) 미 국무부 대변인은 “최대한 빨리 정보 분석 작업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사키 대변인은 “동영상이 진짜라면 무고한 미국인의 목숨을 앗아간 IS의 야만적 행동에 역겨움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번 참사는 폴리 기자 때 이미 예고된 데다 시리아 공습을 둘러싼 공화당의 공세가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발생했다는 점에서 오바마 외교 정책을 둘러싼 논란이 한층 가열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호주에서도 시드니 출신의 칼레프 샤로프((Khaled Sharrouf)와 무하메드 엘로마르(Mohamed Elomar) 등이 이라크로 건너가 IS에에서 과격 테러 활동을 벌여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칼레프 샤로프는 참수된 시리아 정부군의 목을 들고 있는 사진을 자신의 트위터에 게재해 충격을 던진 데 이어 일곱 살 된 아들에게 잘린 머리를 들게 하여 사진을 찍은 뒤 트위터에 올리기도 해 국제적 비난을 사고 있다.

 

호주 정부에 따르면 중동 지역 이슬람 반군 활동이 확대되고 있는 현재, 이들 조직에 가입해 테러 활동을 하거나 이들 조직을 지원하는 호주 국적자는 약 160명에 이르고 있다.

 

이와 관련, 애보트(Tony Abbott) 정부는 지난 달 초 첩보활동 강화를 위해 호주 보안당국에 6억3천만 달러를 배정하며, 해외 테러 조직에 가입해 활동하는 호주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법안을 발표한 바 있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3 호주 “알아서 자가 격리 하라”는 호주 보건부... ‘묵묵부답’ 대한항공 시드니 지점 호주브레이크.. 20.03.04.
402 호주 호주 시드니, 한인 상가 "임대료 인하 절실!" 코로나19로 상권 반토막… 호주브레이크.. 20.03.04.
401 호주 85년 역사지닌 호주 AP통신 폐간 ”한국 언론사에 미칠 파장“ 호주브레이크.. 20.03.05.
400 호주 호주, 결국 “한국 여행 금지” 국가에 추가! 교민들 “당황스럽다” 반응 호주브레이크.. 20.03.05.
399 호주 NSW 정부... “온라인 DA 신청 제도 압도적 성공”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398 호주 약사의 독감 예방접종 허용 나이 16세에서 10세로 낮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397 호주 ‘대구-경북 돕기’ 모금 벌이는 시드니 한인회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396 호주 김진향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이사장 호주 방문...강연회 및 간담회 개최 톱뉴스 20.03.05.
395 호주 NSW 주,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본격 단속 중 톱뉴스 20.03.05.
394 호주 코로나19사태 축구계 강타, ACL(아시아 챔피언스리그) 일정 불투명 톱뉴스 20.03.05.
393 호주 외교부, “호주 입국금지 조치 사전 협의 없었다”…호주 대사초치 입국금지 항의 호주브레이크.. 20.03.05.
392 호주 호주, 코로나19 ‘화장지 공장’ 근로자 확진 판정…”해당 제품 구매자 폐기환불 해라” 호주브레이크.. 20.03.06.
391 호주 에핑 보이즈 하이스쿨, 코로나-19 예방 휴교 조치 호주한국신문 20.03.06.
390 호주 호주, 코로나19 확진자 100명 육박! NSW주는 하루새 7명 늘어… 호주브레이크.. 20.03.09.
389 호주 시드니 가을, 기온은 예년보다 다소 높고 비는 평균 강우량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388 호주 <세계 여성의 날> 에 울려 퍼진 ‘일본군 성노예제’ 항의 함성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387 호주 What's on in Sydney this weekends?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386 호주 정부, ‘재난기본소득’ 도입 손 놓았나?…호주•대만•홍콩은 발빠른 대책 수립 호주브레이크.. 20.03.15.
385 호주 호주, ‘관광 비자’로 입국한 우리 국민 ‘발 동동!’… “반드시 서면으로 사유서 제출 해야!” 호주브레이크.. 20.03.17.
384 호주 ˝全세계 항공사 파산 우려가 현실화˝…5월이 마지노선 될 듯 호주브레이크.. 20.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