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산불).jpg

지난해 9월, 일찍 발생된 산불이 블루마운틴을 강타한 가운데, 이 지역 팔콘브릿지(Faulconbridge)의 삼림지대에서 자원봉사 소방관이 화마와 싸우고 있다(사진). NSW RFS는 9월1일부터 산불 시즌이 시작됐다면서 특히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산불 발생 위험도 높다고 경고했다.


건조한 날씨로 산불 발생 위험 요소 높아... ‘Survival Kits’ 숙지해야

 


NSW 지역소방서비스(NSW Rural Fire Service. NSW RFS)가 9월1일을 기해 본격적인 산불 시즌을 선포하고 산불 발생에 대한 대비를 강화하고 나섰다.

 

RFS가 예년과 달리 빠른 시기에 산불 시즌을 선포한 것은 지난겨울 기간 동안의 건조했던 날씨를 기반으로 한다.

 

이에 따라 RFS는 지난해 산불피해가 극심했던 불루마운틴 일부 지역을 비롯해 블랙타운(Blacktown), 캠든(Camden), 캠벨타운(Campbelltown), 페어필드(Fairfield), 리버풀(Liverpool), 펜리스(Penrith) 등을 중심으로 산불 대비 강화에 들어갔다.

 

기상청(Bureau of Meteorology)은 지난겨울 동안의 적은 강수량으로 NSW 전역이 아주 건조한 상태이며, 8월 말 2주 가까이 내린 비는 일시적인 산불 발생 위험 요소를 줄여줄 뿐이라고 밝혔다.

 

NSW RFS의 셰인 피츠시몬스(Shane Fitzsimmons) 국장은 “오는 11월까지의 날씨 전망은 NSW 중부 및 남부 지역의 경우 평균 상태보다 더 건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주 전역에 걸쳐 내린 많은 비가 산불 발생 요소를 줄이기는 했지만 기상청은 9월 강수량이 예년의 평균 수준을 밑돌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한 피츠시몬스 국장은 “또한 엘니뇨로 인해 이번 산불 시즌은 더 뜨겁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기상청은 분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최근 내린 비는 산불 위험을 감소시키는 게 아니다”라면서 “우리는 다시금 건조한 기후에 직면하게 되므로 산불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피츠시몬스 국장은 산불위험 지역 거주민들에게 산불에서 생존할 수 있는 NSW RFS의 계획을 다운로드할 것을 촉구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산불 발생 시 위험요소를 줄이기 위해 호스나 펌프, 발전기 등 장비를 사전에 점검하고 정원도 잘 관리해 불이 붙었을 경우 확산되지 않도록 깔끔하게 관리해두어야 한다. 또한 삼림이나 초원 지대에 거주할 경우 산불에서의 생존전략 방법을 잘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지난해의 경우 NSW 주 산불은 비교적 일찍 시작됐다. 지난해 9월10일 시작된 블루마운틴 산불은 윈말리(Winmalee) 지역을 강타해 500헥타르 이상의 삼림이 불에 탔으며 가옥 210채가 화마에 파손됐다.

 

지난해 9월의 경우 기록상 수십 년 이래 가장 따뜻한 날씨라는 RFS의 경고에도 불구, 블루마운틴 산불은 시드니 주변 지역으로 확산됐다.

 

결국 당시 배리 오파렐(Barry O'Farrell) 주 수상은 산불로 인한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RFS 소방관이 위험지역의 주민들을 거주지에서 강제로 퇴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을 부여하기도 했다.

 

주 수상이 비상사태를 선포할 만큼 빨리 발생된 산불로 인한 피해는 물론 위험이 높았음에도 다행히 인명 손실은 없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3 호주 “알아서 자가 격리 하라”는 호주 보건부... ‘묵묵부답’ 대한항공 시드니 지점 호주브레이크.. 20.03.04.
402 호주 호주 시드니, 한인 상가 "임대료 인하 절실!" 코로나19로 상권 반토막… 호주브레이크.. 20.03.04.
401 호주 85년 역사지닌 호주 AP통신 폐간 ”한국 언론사에 미칠 파장“ 호주브레이크.. 20.03.05.
400 호주 호주, 결국 “한국 여행 금지” 국가에 추가! 교민들 “당황스럽다” 반응 호주브레이크.. 20.03.05.
399 호주 NSW 정부... “온라인 DA 신청 제도 압도적 성공”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398 호주 약사의 독감 예방접종 허용 나이 16세에서 10세로 낮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397 호주 ‘대구-경북 돕기’ 모금 벌이는 시드니 한인회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396 호주 김진향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이사장 호주 방문...강연회 및 간담회 개최 톱뉴스 20.03.05.
395 호주 NSW 주,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본격 단속 중 톱뉴스 20.03.05.
394 호주 코로나19사태 축구계 강타, ACL(아시아 챔피언스리그) 일정 불투명 톱뉴스 20.03.05.
393 호주 외교부, “호주 입국금지 조치 사전 협의 없었다”…호주 대사초치 입국금지 항의 호주브레이크.. 20.03.05.
392 호주 호주, 코로나19 ‘화장지 공장’ 근로자 확진 판정…”해당 제품 구매자 폐기환불 해라” 호주브레이크.. 20.03.06.
391 호주 에핑 보이즈 하이스쿨, 코로나-19 예방 휴교 조치 호주한국신문 20.03.06.
390 호주 호주, 코로나19 확진자 100명 육박! NSW주는 하루새 7명 늘어… 호주브레이크.. 20.03.09.
389 호주 시드니 가을, 기온은 예년보다 다소 높고 비는 평균 강우량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388 호주 <세계 여성의 날> 에 울려 퍼진 ‘일본군 성노예제’ 항의 함성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387 호주 What's on in Sydney this weekends?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386 호주 정부, ‘재난기본소득’ 도입 손 놓았나?…호주•대만•홍콩은 발빠른 대책 수립 호주브레이크.. 20.03.15.
385 호주 호주, ‘관광 비자’로 입국한 우리 국민 ‘발 동동!’… “반드시 서면으로 사유서 제출 해야!” 호주브레이크.. 20.03.17.
384 호주 ˝全세계 항공사 파산 우려가 현실화˝…5월이 마지노선 될 듯 호주브레이크.. 20.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