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해수면 상승).jpg

시드니의 아이콘 중 하나인 본다이 비치(Bondi Beach).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본다이 비치 역시 가장 타격을 받는 곳 중 하나로 전망된다.

 

기후변화위원회, “2천억 달러 비용 발생 초래‘ 경고

 


기후 변화로 인한 지속적인 해수면 상승에 따라 호주 주요 기반시설에 대한 위험이 높아지면서 호주 입장에서는 2천억 달러의 새로운 비용 발생이 예상된다는 보고서가 나왔다고 금주 수요일(17일) ABC 방송이 보도했다.

 

호주 기후변화위원회(Climate Council)가 내놓은 ‘기후 변화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 지역의 범람에 대한 비용’에 관한 이번 보고서는, 다음 세기에 이르면 호주 해안은 40센티미터에서 1미터가량이 바다에 잠길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기후변화위원회(Climate Council)는 지난해 총선을 통해 정권을 잡은 자유당 정부가 기존 ‘호주 기후위원회’(Australian Climate Commission)를 승계한 환경기구이다.

 

이번 보고서를 작성한 동 위원회 수석 위원 윌 스테펀(Will Steffen) 교수는 해수면 상승과 극단적인 기상사태에 대비하지 않을 경우 호주 국민소득에 큰 손실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스테펀 교수는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의 3%에서 연간 9%까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비용 발생 예상 시나리오는 연간 GDP 성장률보다 높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을 경우 충격적인 경제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 보고서는 빅토리아(Victoria) 주 해안과 퀸즐랜드(Queensland) 주 남동부, 시드니 지역 해안이 해수면 상승으로 가장 큰 난관에 봉착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2천400만에 달하는 호주인구 중 75%는 해안지역 가까이에 거주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안 지역에 자리한 주요 기반시설들이 큰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경고한 스테펀 교수는 “도로나 철도 항만 시설, 공항, 기타 주요 시설들 대부분이 해안 가까이에 자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2100년의 시나리오임을 전제하면서 “만약 해수면이 1.1미터 상승할 경우 호주는 주요 기반시설 보호를 위해 2천억 달러 이상을 투입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테펀 교수는 “이른바 예상치 못한 자연적 현상은 일생에 한 번쯤은 겪는 일”임을 언급하면서 “만약 가장 취약한 지역 중 하나로 시드니를 예로 든다면 금세기 말경 100년에 한 번쯤 발생하는 홍수가 며칠 간격으로 계속 일어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는 대처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미래 브리즈번(Brisbane)의 새로운 공항 활주로 계획처럼 해수면 상승에 대한 구체적인 대처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스테펀 교수는 이어 만약 해수면 상승을 무시한다면 2050년경 전 세계는 해안 범람으로 매년 호주 전체 경제 규모와 맞먹는 미화 1조 달러를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기후변화위원회의 이번 보고서는 해수면 상승이 각 가정의 보험료에도 압력을 가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 호주 지방정부협회(Australian Local Government Association) 회장인 앤 루이스(Ann Lewis) 박사는 “해안 침식은 이미 주택 소유자들의 문제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람들은 자기 소유의 부동산 관련 보험 가운데 자연현상으로 인한 부분을 뺄 수 없기 때문에 보험업계는 이에 대해 관심을 가질 것이라는 게 루이스 박사의 진단이다. 즉 자연현상 문제로 보험업계는 부동산 부분에 대한 보험료를 인상하게 되고 부동산 소유자들은 이에 대한 부담을 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루이스 박사는 “이는 큰 문제”라며 “이런 문제에 대한 지방정부간의 협력 부족이 대책을 지연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녀는 이어 “지방정부는 이런 문제에 대처하는 일관된 관점이나 방법이 없다”며 “심지어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합의가 없기 때문에 각 주나 테러토리 정부 또한 서로 다른 대책 기준을 설정해놓고 있다”고 덧붙였다.

 

■ 해안 범람 보고서

▪ 1.1미터의 해수면 상승이 해안범람과 침식에 따른 기반시설 보호를 위해 2천226억 달러 비용 발생

-810억 달러 : 상업용 건물 보호

-720억 달러 : 주거지 보호

-670억 달러 : 도로 및 철도시설 보호

-60억 달러 : 경공업 시설 보호

*자료 : Climate Council


 

■ 호주 해안 200미터 이내의 기반 시설

▪ 항구 : 120개

▪ 발전소 및 변전소 : 5개

▪ 정수처리장 : 3개

▪ 경찰서, 소방서, 앰뷸런스 서비스 : 258개

▪ 병원 및 의료 서비스 : 75개

▪ 응급 서비스 시설 : 11개

▪ 폐기물 처리시설 : 41개

*자료 : Climate Council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43 호주 퀸슬랜드 대, 한국학 연구소 출범 톱뉴스 20.02.18.
442 호주 프로야구 LG 트윈스, 호주 시드니 블랙타운서 스프링 캠프 일정 톱뉴스 20.02.18.
441 호주 LPGA투어 남부호주 주서 13일 호주오픈 개막 톱뉴스 20.02.18.
440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법률상담 서비스 실시 톱뉴스 20.02.18.
439 호주 김진향 개성공단지구 이사장 초청 시드니 강연회 톱뉴스 20.02.18.
438 호주 민주평통 호주협의회 청년분과, 중국 내 한인들에 마스크 1만개 지원 톱뉴스 20.02.18.
437 호주 LG트윈스, 호주 산불재해 기부금 모금을 위한 팬 사인회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0.
436 호주 “HSC 한국어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아 매우 기뻐요”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0.
435 호주 라이브 엔터테인먼트 규제 완화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0.
434 호주 NSW 주정부 “축제 및 행사 지원금 신청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0.
433 호주 총영사관, "제21대 총선 재외선거인 신고-신청 총 4,505명"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0.
432 호주 What's on in Sydney this weekends?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0.
431 호주 '한국 여행경보' 발령 속출! 일부 국가 이미 '한국인 격리' 조치… 호주브레이크.. 20.02.21.
430 뉴질랜드 에어뉴질랜드, 서울 노선 운항 중단! ‘코로나19 여파’… 호주브레이크.. 20.02.24.
429 호주 에어뉴질랜드, 서울 노선 운항 중단! ‘코로나19 여파’… 호주브레이크.. 20.02.24.
428 호주 ‘멜버른 대학’ 홍준서 코로나 맵 개발자…"개발에서 오픈까지 20시간" 호주브레이크.. 20.02.25.
427 호주 LG전자, 호주 동물구호 단체에 50만 달러 기부…산불 피해 지원 톱뉴스 20.02.25.
426 호주 세계가 극찬한 ‘기생충’, 호주 곳곳 재개봉 톱뉴스 20.02.25.
425 호주 한국문화원, 한국문학 북클럽 신설 운영 톱뉴스 20.02.25.
424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제21대 국회의원 재외선거 등록률 대폭 상승 톱뉴스 20.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