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전쟁).png

제1차 세계대전은 호주 전쟁기념관에 기록된 모든 전쟁 가운데 가장 치명적인 전쟁으로 기록되어 있다. 당시 호주인은 61,516명이 목숨을 잃었으며 이는 제2차 세계대전으로 희생된 호주인 39,649명을 크게 웃도는 숫자이다.

 

1차 대전 호주인 전사, 25세 이하 절반 넘어

 


제1차 세계대전 종전일이었던 11월11일은 호주인들에 의미 있는 날로 기념된다. 제1차 세계대전은 물론 모든 전쟁에서 희생된 호주 참전 용사들을 추모하고 이들의 희생을 되새기는 날이다.

 

이날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전쟁에 대한 몇 가지 특징을 찾기 위해 제1차 세계대전에서 사망한 호주인에 관한 수치를 수집하는 프로젝트가 진행됐다. 그리고 이 수치 분석 결과, 많은 수의 젊은이들이 희생된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 호주인의 기대수명 수치와 희생자의 나이를 비교했고, 이 수치를 바탕으로 희생된 이들이 삶 전체 기간을 계산했다. 그 결과 희생된 이들의 삶을 모두 더한 값은 총 250만년에 달했고 이것은 수 십년 동안 나라를 뒤흔들만한 희생이라고 볼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은 첫 번째 근대식 전쟁이었지만 이 근대성은 더 나은 삶을 만들기 위한 축복이 결코 아니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많은 사람을 죽이는 도구로 사용되었을 뿐이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는 약 900만 명의 군인이 치열한 전쟁터에서 유독가스, 탱크에 무릎을 꿇었다. 또한 700만 명 이상의 무고한 시민이 혼란 속에서 목숨을 잃었다. 이들은 사형되거나 굶주림, 첫 번째 폭격에 의해 사망한 희생자들이었다.

 

이 전쟁은 또한 호주 전쟁기념관에 기록된 모든 전쟁 가운데 가장 치명적인 전쟁으로 남아있다. 희생자들의 죽음은 그들의 부모, 형제자매, 자녀와 동료들을 눈물짓게 만들었으며, 이런 상황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숨진 40명의 호주인들과 베트남전에서 숨진 521명의 호주인들 역시 마찬가지이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희생된 호주인은 6만1천여명 이상, 제2차 세계대전으로 희생된 호주인은 3만9천 명 이상이다. 전체 죽음의 절반 이상이 25살 이하 젊은이들이었으며 최소 입대 연령인 18세 이하 청소년의 전사도 141건에 달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쟁이 이처럼 깊은 타격을 남겼다는 경각심을 일깨워 주는 것이 목표다. 삶이 희생에 직면할 때 우리는 시인이자 영어권의 첫 번째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루드야드 키플링(Rudyard Kipling)의 말을 기억할 수 있다.

 

그는 1897년 영국 빅토리아 여왕(Queen Victoria) 즉위 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퇴장’(Recessional)이라는 제목의 시를 썼다. 많은 사람들이 여왕 즉위 60주년을 기쁘게 받아들였지만 키플링은 삶의 덧없음을 반영하여 침울한 메시지를 선택했다.

 

시의 한 줄은 후렴구를 형성하고 있으며 성취에는 희생이 따른다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그 한 구절은 ‘우리가 절대 잊지 않게 하소서’(Lest We Forget)이다.

 


박혜진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43 호주 "457비자 스폰서 명목의 임금 착취는 명백한 불법입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542 호주 제19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호주협의회 공식 출범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541 호주 멜버른 한인여행사 ‘임금 체불’로 40만불 벌금 톱뉴스 19.11.26.
540 호주 “통일의 당위성, 역사적 배경보다 경제적 이득 차원에서 찾아야” 톱뉴스 19.11.26.
539 호주 민주평통 19기 호주협의회 ‘출범’…임기 2년 147명 위촉장 전수 톱뉴스 19.11.26.
538 호주 총영사관, 12월 브리즈번 순회영사 공지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8.
537 호주 What's on in Sydney this weekends?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8.
536 호주 “관절염 관련 정보, 한국어로 확인 가능합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8.
535 호주 “호주와 한국은 입맛이 다르네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8.
534 호주 호주 한국어교육자협회 ‘2019 교사 워크숍’ 진행 호주한국신문 19.11.28.
533 호주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 브리즈번 영화제도 석권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8.
532 호주 ‘2019 글로벌 현장실습 조리사업단 프로그램’, 시드니서 푸드트럭 자선행사 열어 톱뉴스 19.12.03.
531 호주 “취업, 잘 준비해서 될 때까지 도전해라” 톱뉴스 19.12.03.
530 호주 공사지역 도로상에 교통 안전장치 설치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529 호주 제 7회 한호예술재단 미술공모전 ‘KAAF Art Prize’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528 호주 What's on in Sydney this weekends? - 시드니에 호랑이가 나타났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527 호주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카메라 단속 시작됐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526 호주 제14대 재호주 대한체육회 회장 당선자 신필립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525 호주 줄리 해리스, 한호예술재단 미술공모전 대상 수상 톱뉴스 19.12.10.
524 호주 “한국 신남방정책과 호주 인도-태평양전략 상호 협력 가능” 톱뉴스 19.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