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젤라 김 교육칼럼] 공부 방해 등 부작용 따라, 가입 신중해야

이번 주에는 오늘날의 대학생활에 있는 사교 활동의 기회들과 사람을 만나고 사귀는 문제에 대하여 말씀 드리고자 한다.미국 대학에도 우리나라에서 동아리라고 부르는 (전에는 클럽이라고 불렀던) 것과 비슷한 사교 클럽이 있다. 프래터니티(fraternity)는 남자 대학생들만, 소로리티(sorority)는 여자 대학생들만 회원으로 하는 소셜 클럽이다.
 
angela.jpg
▲ 엔젤라 김
 
하는 일은 주로 친목 도모 (자기들끼리 혹은 다른 fraternities나 sororities와 함께 하는 각종의 파티)와 사회봉사(community service)활동 등이다. 대학생들 얘기를 다룬 미국 영화를 보면, 가끔 현관 위에 이상한 그리스 문자(Greek letters)가 씌어있는 별장 같이 생긴 집이 나오는데 그것이 이들의 숙소로서 프랫 하우스(frat house) 라고 한다.

이곳에서는 선후배간에 끈끈한 정(미국 대학생들에게는 우리 식의 선후배 개념이 없다)을 나누고 평생을 가게 될 인맥을 쌓을 수도 있다. 조지 부시를 비롯해 역대 미국 대통령 중 상당수가 소셜 클럽 출신이고, 그 외 사회 각계 지도급 인사 중엔 이같은 클럽 출신이 많다고 한다.

이 사교 클럽의 이름은 주로 Delta Sigma Phi, A Phi Alpha Kappa, Sigma Alpha Freud같은 그리스 이름들이다. 그리스 이름을 굳이 지은 이유는 아마 자기네들이 ‘덜 문명화된, 덜 교양적인’부류와는 구별된다는 의식을 강조하고 싶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스 사상과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뿌리로 한 소위 ‘문명화’되고 더 배웠다는 이들 사교 클럽은 좋은 점도 있지만 나쁜 점도 많이 있다.

좋은 점이라고 하면 이러한 사교 클럽에서 다른 학생들과 만나고 깊은 유대관계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졸업 후까지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좋은 인맥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실상 이 클럽들은 역사적으로 술을 너무 좋아하고, 인종차별적인 성격이 매우 강하다. 요즘엔 안 그런다고 하지만 예전엔 신고식이랍시고 신참들을 신체적으로 괴롭히는 경우가 많았다.

우리나라에도 사발이나 신발에 소주를 부어 마시게 하는 등 신입생 앞에서 위계 질서를 세우려는 그런 일들을 하는데 비슷한 것 같다. 이런 식으로 신참을 괴롭히는 걸 헤이징(hazing)이라고 한다.

그리고 사교 클럽들은 매우 배타적이어서 생김새나 사고 방식이 비슷한 사람들만 골라서 회원으로 가입시키려 하는 경향이 있다.

요즈음에 와서는 많은 클럽들이 아시아계 미국인을 받아 들이고, 특히 한국 학생들은 인기가 좋다고 하는데 과연 부모로서 자녀들이 이런 사교 클럽에 들어갈 것을 허락할 것인가.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이러한 사교 클럽에 학생들이 가입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대학에 들어간 목적은 학습, 즉 배움의 경험을 위한 것이고 그것을 방해하는 각종 요소는 멀리해야 하는데 그런 관점에서 프랫하우스에서 사는 것은 공부에 집중하기 어렵게 하는 각종의 방해 요소들과 함께 사는 것과 마찬가지 이기 때문이다.

인생의 어느 시점에서도 그렇겠지만 대학생활에서도 학생들은 많은 시행착오를 겪을 것이다. 사람들을 만나는 장소가 어디가 되었든지 (사교 클럽에서든 수업시간에서든 아니면 학교 식당에서든) 여러 종류의 사람들과 만나고 우정을 나누고, 실망도 하고, 쓴 맛도 경험하는 인간 관계 가운데서 평생 갈 수 있는 친구도 만나고 또 사람들과 부딪치며 인격적으로 성숙해지기도 할 것이다.

부모로서 할 수 있는 일은 자녀의 입장에서 늘 생각하며, 가르치려 들기 보다는 친구처럼 조언해 주고, 특히 어떤 일이 있을 지라도 사랑할 것이고 도와 줄 것이라는 확신을 심어주는 일일 것이다. 부모로서 사랑을 보여주는 것이 진정한 리더십이 아니겠는가.

<문의> 엔젤라 유학/교육 상담 그룹, www.angelaconsulting.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277 미국 9월은 ‘콜레스테롤 교육의 달’, 수치 검사 받아야 코리아위클리.. 16.09.10.
» 미국 대학 동아리 가입 장단점 따져 봐야 코리아위클리.. 16.09.10.
8275 미국 대선 좌절 루비오, 상원의원 재도전 첫 관문 넘어 코리아위클리.. 16.09.10.
8274 미국 지카 바이러스 모기 서식지는 꽃잎에도 있다 코리아위클리.. 16.09.10.
8273 미국 플로리다주 주민 절반, 지카 바이러스 우려 코리아위클리.. 16.09.10.
8272 미국 미국 민항기 반세기 만에 쿠바 하늘 날았다 코리아위클리.. 16.09.10.
8271 미국 미국 호화 실버타운의 삶은 어떻게 이뤄지나? 코리아위클리.. 16.09.10.
8270 미국 미 연방항공청 “기내에서 노트7 사용 금지” 권고 file KoreaTimesTexas 16.09.10.
8269 미국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는 블랙닷 캠페인 KoreaTimesTexas 16.09.11.
8268 미국 '미국판 꽃할배' 실망..지나친 연출과 억지 file 뉴스로_USA 16.09.12.
8267 미국 클린턴 건강이상설 9.11행사 도중 졸도? file 뉴스로_USA 16.09.12.
8266 미국 “15초전의 일 같아” 살아있는 자의 아픔 file 뉴스로_USA 16.09.12.
8265 캐나다 메트로 지역 대중교통 이용 상승세, 그러나 서비스 확대 계획 없어 밴쿠버중앙일.. 16.09.13.
8264 캐나다 폐교 후보 명단 고등학교, 주민들 폐교 반대 행사 밴쿠버중앙일.. 16.09.13.
8263 캐나다 밴쿠버 크리스마스 마켓, 규모 확장과 동시에 잭 풀 플라자로 이동 밴쿠버중앙일.. 16.09.13.
8262 캐나다 동면 대비 곰 출현 증가, 안전 대책 준비 밴쿠버중앙일.. 16.09.13.
8261 캐나다 살기 좋은 도시, 밴쿠버 탈락 이유는 무엇 ? 밴쿠버중앙일.. 16.09.13.
8260 캐나다 6학년, 계산기 없이도 수학문제 풀 줄 알아야 CN드림 16.09.13.
8259 캐나다 밴쿠버, 롭슨 아트갤러리 설계 위한 주민 의견 수렴 밴쿠버중앙일.. 16.09.15.
8258 캐나다 노스밴 초등학교 화재, 10대 방화 혐의 조사 중 밴쿠버중앙일.. 16.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