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바이든 부통령 주재, 3국 보건장관 협의

 

뉴스로=민지영기자 newsroh@gmail.com

 

 

회의를 주재하는 바이든 부통령(왼쪽은 존 홀드랜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 오른쪽은 실비~.jpg

 

 

한국과 미국 일본 3국 보건장관들이 암 종식(癌終熄)을 위해 손을 잡았다.

 

보건복지부 정진엽 장관은 지난 19일 미국 조 바이든(Joe Biden) 부통령 주재로 뉴욕에서 개최된 한미일 3국 보건장관 회의에서 미국 보건후생부 장관, 일본 후생노동성 장관 등과 함께 암 종식(Ending Cancer)을 위한 연구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는 미 보건후생부 실비아 버웰(Sylvia Burwell) 장관과 일본 후생노동성 야스히사 시오자키 장관 등 3국의 보건장관은 물론, 국립보건연구원 및 국립암센터 대표 및 관계자들도 함께 참석했다.

 

한국은 국립보건연구원 박도준 원장, 국립암센터 이강현 원장, 미국은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 존 홀드렌(John Holdren) 실장, 국립보건연구원 프랜시스 콜린스(Francis Collins) 원장, 국립암연구원 더그 로위(Doug Lowy) 원장, 백악관 암정복 TF 그렉 사이먼(Greg Simon) 단장, 일본은 국립암센터 히토시 나카가마 센터장, 의료연구원 마코토 세우마스 원장 국립암연구원 히로유키 마노 원장 등이 함께 했다.

 

 

장관님께 이야기하는 바이든 부통령.jpg

 

 

한미일 3국 대표들은 회의에서 암 연구 지원 강화와 암의 예방‧검진‧진단방법 확대, 국가 간 데이터 표준화 및 공유 등 암 종식을 위한 구체적인 국제 공조(國際共助)방안을 논의했다.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은 회의에서 “대한민국 정부와 국립보건연구원, 국립암센터는 암의 종식을 위한 국제협력에 적극적인 자세로 임할 것”이라며 “이 회의가 인류의 암 정복을 위한 작지만, 동시에 위대한 도약으로 기억되기를 기원한다”고 밝혔다.

 

또한 3국 간 공동연구, 데이터 공유, 인적교류의 강화를 위해 실무자 회의를 제안했고, 이에 대해 바이든 부통령은 “강력하게 동의한다”고 화답했다.

 

 

실비아 버웰 미국 보건후생부 장관과 담소.jpg

 

야스히사 시오자키 일본 후생노동성 장관과 악수.jpg

 

 

앞으로 보건복지부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국립보건연구원, 국립암센터 등 관련기관 및 전문가 자문단 등과 함께 암의 종식을 위한 한미일 협력 및 국제 공조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 글로벌웹진 뉴스로 www.newsroh.com

 

<꼬리뉴스>

 

3월 워싱턴 3개국 정상회담에서 처음 제안

 

이번 회의는 지난 3월 31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일 3국 정상회담에서 처음으로 제안됐다. 보건복지부는 그동안 의과학계, 통계‧데이터 분야, 관련 법령 및 제도 전문가, 관련 산업계 종사자까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 및 분야별 분과위원회를 구성해 구체적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해 왔다.

 

보건복지부는 앞선 지난 9월 12일, 제3차 국가암관리종합계획을 통해 국가암데이터센터 구축, 암환자 지리정보시스템 구축, 한국형 정밀의료 코호트(10만명) 구축, 3대 진행암(폐‧위‧대장) 환자 정밀의료 기반 항암임상시험 실시(1만명) 등을 발표한 바 있다.

 

한편, 미국은 2016년 1월 12일, 오바마 대통령이 연방정부 연설에서 “암정복 계획(National Cancer Moonshot Initiative)”을 발표하고, 바이든 부통령 주도로 연구개발 등에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진행하고 있다.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77 미국 '오칼라 기도회' 사건 하급법원으로 되돌려져 file 코리아위클리.. 22.08.04.
1276 미국 플로리다 '백투스쿨' 세금공휴일 8월 7일까지 file 코리아위클리.. 22.08.04.
1275 미국 미국서 '자살방지' 다이얼 코드 988 개통 file 코리아위클리.. 22.08.04.
1274 미국 옐린 재무장관, "미국 경기 침체 징후 보이지 않는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8.04.
1273 미국 플로리다 주택값,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하락할까? file 코리아위클리.. 22.08.04.
1272 미국 탬파서 나부낀 신파시스트 깃발, 강력 대응한 홀로코스트 박물관 file 코리아위클리.. 22.08.04.
1271 미국 아이티인들의 비극… 탈출자 17명 바하마 앞바다서 참변 file 코리아위클리.. 22.08.04.
1270 미국 ‘면역 회피’ 오미크론 변종 BA.5, 알아야 방어한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8.04.
1269 미국 이제는 원숭이두창... 캘리포니아-일리노이 비상사태 선포 file 코리아위클리.. 22.08.07.
1268 미국 세인피서 기아-현대 '21년 이전 형' 절도 사건 빈번 file 코리아위클리.. 22.08.07.
1267 미국 예상밖 플로리다 허리케인 시즌... 왜 조용하지? file 코리아위클리.. 22.08.07.
1266 미국 플로리다 원숭이두창 감염, 22개 카운티 400명 이상 file 코리아위클리.. 22.08.08.
1265 캐나다 7월 전국 실업률 4.9%, BC 4.7% file 밴쿠버중앙일.. 22.08.09.
1264 캐나다 연방 권총 수입 임시 금지 file 밴쿠버중앙일.. 22.08.09.
1263 캐나다 5월 누계 한인 새 영주권자 2835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8.09.
1262 캐나다 여름철 교통사고, BC 경찰들 과속 집중 단속 file 밴쿠버중앙일.. 22.08.10.
1261 캐나다 지난 주말 메트로밴쿠버 총격 사건 등 사건사고 소식 file 밴쿠버중앙일.. 22.08.10.
1260 캐나다 5월 누계 새 시민권 취득 한인 수는? file 밴쿠버중앙일.. 22.08.12.
1259 캐나다 2022년 투게더 행사, 올해는 한국 전통 폐백 선보일 예정 file 밴쿠버중앙일.. 22.08.12.
1258 캐나다 전국 원숭이두창 확진자 1000명 넘어서 file 밴쿠버중앙일.. 22.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