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호주인 사망).jpg

지난 10월 정부의 ‘Foreign Fighters Bill’이 의회를 통과한 이후 정부는 이 법에 근거한 구체적 여행금지 지역으로 IS의 실질적 수도인 알 라카(Al-Raqqa)를 처음으로 명시했다. 사진은 지난 10월 말 시리아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 시드니 출신의 모함마드 알리 바리알레이(Mohammad Ali Baryalei).


연방 법무 장관 밝혀... 70여명, 테러리스트로 활동 중

‘Foreign Fighters Bill’ 근거, 구체적 여행금지 지역 첫 명시

 

시리아 및 이라크 지역 반군 테러 조직인 IS(Islamic State)에 가담한 호주인 가운데 현재까지 최소 20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연방 정부가 특별한 사유 없이 중동 지역 여행을 금지하는 법안을 마련한 가운데 조지 브랜디스(George Brandis) 연방 법무부 장관은 이 같이 밝히면서 “IS 조직은 테러리스트로 끌어들인 호주인을 테러 최전선의 총알받이나 폭파요원 또는 허황된 극단 이슬람 선전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금주 화요일(9일) ABC 방송 보도에 따르면 브랜디스 장관은 최근 몇 주 사이 중동 지역 테러 조직에 가담한 호주인 사망자 수가 늘어났으며, IS 조직은 서방 세계 젊은이들을 조직원으로 모집하면서 “이슬람을 위한 성전의 중요한 일부를 담당한다고 속여 테러 활동에 참여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현재까지 중동 지역 테러 조직에 가담해 전투를 치르고 있는 호주인이 70명에 달하며, 이외 20여명은 IS 조직에 가담했다가 호주로 돌아온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빅토리아 경찰청의 켄 레이(Kenneth Douglas Lay) 청장은 “테러 조직에 가담해 지하디스트가 될 경우 사망 확률도 매우 높다”면서 “테러 조직에 가담하고자 하는 젊은이들을 포기하게 만드는 매우 중요한 메시지”라고 강조했다.

 

이런 허무한 싸움 가운데는 시드니 남성 모함마드 알리 바리알레이(Mohammad Ali Baryalei. 본지 1110호, 1117호, 1119호 보도)가 있다. 그는 시드니 및 브리즈번의 동료들에게 도심 공공장소에서 무작위로 행인을 선정, 무참히 살해하라고 지시했던 인물이며, 수십 명의 호주 젊은이들을 모집해 IS 테러 조직에 가담시킨 IS의 주요 인물이기도 하다.

 

그는 지난 10월 말 시리아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호주 해군의 데이빗 존스톤(David Johnston) 중장은 지난 달 그가 사망했을 가능성은 많지 않다고 언급한 바 있다. 지난 10월 말 그가 사망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왔을 당시 정부는 이에 대한 확인에 들어갔지만 IS 내부 정보 부족과 중동지역 호주 공관의 업무영역 제한 등으로 어려움이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최근 정부는 지하디스트(Jihadist)에 합류하고자 중동 지역으로 여행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한 법안을 도입했다.

호주 국적을 가진 국민이 외국의 테러 조직에 가담하는 것을 금지하는 ‘Foreign Fighters Bill’은 지난 10월 의회에서 가결, 테러 지역으로 여행하는 것을 불법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최대 10년의 징역형을 명시하고 있다.

 

연방 외교부의 줄리 비숍(Julie Bishop) 장관은 이 법에 따라 정당한 이유 없이 시리아의 알 라카(Al-Raqqa) 지방을 방문하는 호주인에 대해서도 이 법의 조항을 적용하고 있다.

비숍 장관은 금주 화요일(9일) “알 라카는 IS의 실질적인 수도”라면서 “알 라카를 적대적 활동을 펼치는 테러리스트 지역에 포함시킨다”고 밝혔다.

 

장관은 이어 “지금부터 정당한 이유 없이 알 라카 지역으로 들어가거나 거기에 머물고 있는 경우 위법이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3 호주 한호간 하키 교류 활발해진다... 한인 하키협회 출범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602 호주 뉴욕에서 만난 문재인 대통령과 스콧 모리슨 총리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601 호주 시드니한국교육원 개원 30주년 기념 '한호 교육 교류의 밤' 성황 톱뉴스 19.10.01.
600 호주 NSW 식품청, 한인 마트 ‘조개젓’ 리콜 조치 톱뉴스 19.10.01.
599 호주 “해외에서도 대마초 절대 안 됩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0.03.
598 호주 "재외국민들도 독후감 대회 신청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10.03.
597 호주 내일(5일) 오후 5시, 시드니 촛불집회 열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0.03.
596 호주 10월6일(일), 시드니 서머 타임 시작, 시계 돌리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10.03.
595 호주 2019년 한국-NSW 비즈니스 포럼 개최 톱뉴스 19.10.08.
594 호주 채널7 ‘선데이 나잇’, 스트레이 키즈의 호주 한인 스타 소개 톱뉴스 19.10.08.
593 호주 한국 부동산 펀드, 호주 투자 사기에 걸려 거액 손실 예고 톱뉴스 19.10.08.
592 호주 국악과 K팝 댄스 어우러진 독도사랑 음악회 톱뉴스 19.10.08.
591 호주 연방 정부, “한인 단체들도 보조금 신청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1.
590 호주 “동포들이 믿고 기댈 나라다운 나라 만들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1.
589 호주 ‘2019 세계한인회장대회’ 서울서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1.
588 호주 What's on in Sydney this weekends?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1.
587 호주 지성수 칼럼: 시드니 스캔들 - 제1화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1.
586 호주 반크청년, 濠정부 일본해 단독표기 시정 개가 file 뉴스로_USA 19.10.13.
585 호주 ‘한국의 날’ 최고 경품은 현대차 SUV ‘베뉴’ 톱뉴스 19.10.15.
584 호주 ‘시드니 어르신들을 위한 경로잔치’ 톱뉴스 19.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