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트램 2).jpg

5년 뒤 개통될 것으로 보이는 시드니 트램의 길이는 전 세계에서 운항되는 전차 차량 중 가장 긴 길이이다.


주 정부, 67미터 트램 계획 확정, 도심-동부지역 운행

 


1940년대, 시드니의 대중교통인 전차는 전 세계의 전차 이용 순위에서 가장 많은 이들이 이용하는 운송수단으로 자랑할 수 있었다.

이제 수년 후면, 시드니는 또 다른 자랑거리(?)를 갖게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건설 중인 시드니 트램이 전 세계 전차 가운데 가장 긴 전차로 계획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난 주 금요일(5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NSW 주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운송부 장관은 시드니 도심 조지 스트리트(George Street)에서 랜드윅(Randwick), 킹스포드(Kingsford) 등 동부 지역을 운행하는 시드니 트램의 차량 길이를 67미터로 확정했다.

 

이는 대형 여객기인 보잉 747(Boeing 747)보다 불과 몇 미터 짧은 길이이며 주 정부 관리의 교통수단인 벤디 버스(bendy bus. 버스의 중간 부분이 구부러지도록 설계된 긴 버스)의 4배에 달하는 길이이다. 또한 일부 조지 스트리트 블록 길이의 절반에 달하는 것이기도 하다.

 

실제로 계획이 확정된 시드니 트램은 현재 전 세계 도시에서 운행되는 트램과 크게 다르다. 67미터에 달하는 시드니 트램의 차량은 프랑스 대기업인 알스톰(Alstom)이 제작하는 것으로, 기다란 두 대의 전철을 연결시켜 놓은 디자인이다.

 

현재 계획 중인 시드니 트램과 유사한(두 전차를 연결시킨) 경우는 두 대의 전차를 65미터로 결합하여 모로코(Morocco)의 최대 도시 카사블랑카(Casablanca)에서 운항하는 전차가 있으며 예루살렘의 경전철 시스템 또한 65미터 길이의 트램이다.

 

NSW 주 운송부가 시드니 트램의 차량 길이를 연장, 67미터로 결정한 것은 승객을 위해 더 많은 전차 칸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이 트램이 완공되기까지는 향후 5년이 소요될 전망이다.

 

시드니 트램의 당초 계획은 45미터 길이의 차량을 제작, 운행한다는 것이었다. 한 번에 3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이 차량은 피크 타임의 경우 매 3분마다 조지 스트리트를 출발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하지만 새 계획에 따르면 67미터 길이의 차량은 한 번에 466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피크타임 때는 매 4분마다 조지 스트리트를 출발하여 랜드윅과 킹스포드를 운항하게 된다. 이는 랜드윅과 킹스포드를 매 8분마다 한 차례씩 운항한다는 의미이다.

 

베레지클리안 장관은 67미터의 차량을 운항하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하면서 이전 계획에 비해 피크 타임에 기존 계획보다 15% 이상 승객을 더 수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드니 트램 계획을 추진하는 조지 서덜랜드(Greg Sutherland)씨는 보다 긴 길이의 전차 차량을 운행하는 것은 전 세계적인 추세라고 설명했다.

 

그는 “간단하게 말해 한 번에 많은 이들을 수송함으로써 운행비는 물론 승객들도 트램 이용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장점은 두 대의 차량을 붙여놓음으로써 한 대의 차량이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차량이 밀거나 끌고 갈 수 있어 기계적인 문제로 인해 트램이 운항을 하지 못하는 확률도 적어진다는 점이다.

 

하지만 시드니 트램 계획을 반대하는 모임인 ‘푸시’(PUSH) 그룹의 베니타 슬래마 포웰(Venietta Slama-Powell) 의장은 전차의 길이를 67미터로 확장함으로서 더 많은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서리힐 지역의 사우스 돌링 스트리트(South Dowling Street)와 버크(Bourke Street) 교차로와 같은 구간을 횡단할 때 너무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면서 최근 센트럴 시드니 지역의 교차로에서 버스와 보행자간 사고가 발생된 이후 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고 덧붙였다.

 

1950년대 노동당 조셉 케이힐(Joseph Cahill. 전 NSW 주 수상으로 1952- 1959년 재임) 정부가 시드니의 트램 라인을 철거하기 전까지만 해도 시드니는 전 세계에서 가장 긴 트램 노선을 갖고 있었다.

 

‘기반시설, 운송 및 지역경제국’(Bureau of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Regional Economics)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1940년대 말 시드니는 전 세계에서 1인당 트램 이용 횟수가 가장 많은 도시였다. 당시 시드니 트램을 이용하는 이들은 하루 40만 명이 넘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23 호주 시드니한국교육원 개원 30주년 기념 '한호 교육 교류의 밤' 성황 톱뉴스 19.10.01.
2622 호주 뉴욕에서 만난 문재인 대통령과 스콧 모리슨 총리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2621 호주 한호간 하키 교류 활발해진다... 한인 하키협회 출범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2620 호주 캔버라 한국 대사관, 국경일 리셉션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2619 호주 시드니에서 익어가는 한국 문화... 올해로 13년째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2618 호주 바닥 드러내는 NSW 강… ‘용수대란’ 현실화될 듯 톱뉴스 19.09.24.
2617 호주 폴크스바겐, 호주서 '배출가스 조작' 배상 합의…10만 대, 1억 2700만 달러 톱뉴스 19.09.24.
2616 호주 호주 기준금리 추가인하설 ‘모락모락’ 톱뉴스 19.09.24.
2615 호주 NSW주, 비상차량 통과 시속 위반 차량 과태료 인상 톱뉴스 19.09.24.
2614 호주 상원법사위원회, 이민자 신원조회 강화법안 ‘심의 완료’ 톱뉴스 19.09.24.
2613 호주 호주정부, 시민권 수여식 1월 26 오스트레일리아 데이에 '쐐기' 톱뉴스 19.09.24.
2612 호주 트럼프-모리슨, 미·호 정상 13년만의 국빈만찬 톱뉴스 19.09.24.
2611 호주 “한국산 수입 조개젓 먹지 마세요”... 리콜(Recall) 조치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2610 호주 시니어 노인들에게도 디지털 세상의 문이 활짝 열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2609 호주 "병원 가실 때 한국어로 도와드립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2608 호주 먹거리 볼거리 놀거리가 풍성한 한 주를 즐기시라!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2607 호주 호주문학협회 산문광장 정기 기고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2606 호주 시드니수도관리국, 절수 위한 웹사이트 개설 톱뉴스 19.09.17.
2605 호주 문재인 대통령 대국민 및 해외 동포 추석 메시지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2604 호주 What's on in Sydney this weekends?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