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87개 분향소 설치확산

 

뉴스로=노창현특파원 nerwsroh@gmail.com

 

 

untitled.jpg

 

 

지난해 11월 민중총궐기 당시 경찰이 쏜 물대포에 맞아 317일간 의식불명상태로 사투(死鬪)를 벌이다 25일 타계한 고 백남기 선생의 추모 분향소가 전국적으로 마련되고 있는 가운데 해외첫 분향소(焚香所)가 호주 시드니에 설치됐다.

 

분향소는 시드니의 스트라스필드역에서 1분거리인 아태식품과 ANZ은행 사이 건물 2층에 마련됐다.

 

주최측은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며 슬퍼하고 분노하는 많은 분들과 함께 애도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스트라에 급하게 분향소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1475008973941.jpg

 

1475008965245.jpg

 

 

주최측은 “경찰이 쏜 불법 물대포에 쓰러진 백남기 농민이 317일동안 병원에 누워있는 동안에도, 그리고 지금까지도 아직 경찰은 사과도 안했다”면서 “세월호 아이들이...백남기 농민이...노동자 서민들이 죽어나가도 우리가 아무것도 하지않는다면 그렇게 만들고있는 박근혜정권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국가폭력 책임자는 반드시 처벌이 되야 한다. 그래야 내가, 내 가족이 당하는 일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추모 분향소는 28일 현재 전국 87개소에 설치됐거나 설치를 예정하고 있다. 이 와중에 한국 경찰청이 각 지방경찰청에 분향소 설치를 저지하라는 내용의 지침까지 하달한 것으로 밝혀져 시민들의 분노(憤怒)가 일고 있다.

 

27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표창원(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경찰청은 백씨 사망 당일인 25일 '백남기 농민 사망에 따른 지역별 분향소 설치 등 대비 철저 지시'라는 제목의 업무연락 문서를 각 지방청 경비과에 보냈다.

 

문서에는 관할 소유자 측에 관련 내용을 사전에 알려 시설관리권 차원에서 자체 인력을 동원하거나 장소를 선점하는 등 대응하라는 내용이 담겼다.

 

신고된 집회라도 천막 등 분향소 설치용품은 미신고 용품이므로 차단하고, 도로법상 불법점유에 해당한다며 단속의 근거를 알리고 있다.

 

이와 함께 폭력 등 불법행위가 발생하면 경찰력이 적극적으로 개입해 불법행위자를 현장 검거하는 등 엄정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14523125_1357763537567329_2890771027159221912_n.jpg

<이하 사진 '백남기대책위' 제공>

 

* 글로벌웹진 뉴스로 www.newsroh.com

 

<꼬리뉴스>

 

 

14517569_1357764620900554_6223092240633452379_n.jpg

 

 

백남기 농민 추모 성명서

 

http://blog.naver.com/icoopkorea/220821921900

 

고 백남기님이 걸어온 길

 

https://www.facebook.com/baeknamki1114/photos/a.1135845309759154.1073741827.1135765629767122/1354233384587011/?type=3&theater

 

"우리가 백남기다" 들불처럼 번지는 전국 분향소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47245

 

  • |
  1. 1475008965245.jpg (File Size:78.5KB/Download:41)
  2. 1475008973941.jpg (File Size:56.1KB/Download:42)
  3. untitled.jpg (File Size:34.9KB/Download:43)
  4. 14517569_1357764620900554_6223092240633452379_n.jpg (File Size:231.2KB/Download:42)
  5. 14523125_1357763537567329_2890771027159221912_n.jpg (File Size:89.0KB/Download:3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63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찾아가는 영사 서비스’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562 호주 한국관광공사 시드니 지사, ‘평창’ 마케팅 본격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561 호주 한국 외교부, ‘동해 표기’ 홍보 동영상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560 호주 동포자녀 장학기금 마련 취지 골프대회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559 호주 시드니 동포들, 삼일절의 숭고한 정신 유산 새겨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558 호주 시드니 한인행동, 3.1정신 기리는 퍼포먼스 펼쳐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557 호주 동포자녀 남녀 탁구 꿈나무, 주니어 호주 대표에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556 호주 취재수첩- 1919년, 그리고 2017년의 ‘태극기’ 호주한국신문 17.03.02.
1555 호주 박근혜 떠나그네? 시드니 촛불집회 file 뉴스로_USA 17.03.09.
1554 호주 워홀러-유학생을 위한 호주 생활안전 정보 호주한국신문 17.03.16.
1553 호주 총영사관, 4월 QLD 순회영사 실시 호주한국신문 17.03.16.
1552 호주 ‘한국-한국문화’ 주제의 시드니 최대 축제, 2주 앞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1551 호주 ‘고지혈증 및 심혈관계 질환 개선’ 식의약품 좌담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1550 호주 제19대 대통령선거 재외투표 등록, 이달 30일(목)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1549 호주 오세아니아 ‘세월호3주기’ 추모제 file 뉴스로_USA 17.03.18.
1548 호주 시드니 재외선거관리위원회 구성, 첫 위원회의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547 호주 ‘2017 영 비즈니스 리더 포럼’ 참가자 접수 호주한국신문 17.03.23.
1546 호주 상공인연, ‘장학기금’ 위한 자선골프대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545 호주 호주인 요리사가 알려주는 야채쌈밥 비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1544 호주 세월호 참사 3년... 시드니 동포들, 관련 행사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