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신동혁).jpg

북한 정치범 수용소 체험을 기록한 자서전 ‘14호 수용소 탈출’을 통해 북한 인권실태를 고발한 탈북자 신동혁씨(사진)가 최근 자신의 자서전 내용 중 일부분 오류가 있다고 고백했다.


<14호 수용소 탈출> 내용 일부에 대한 증언 번복

 


탈북자 출신으로 자신의 북한 정치범 수용소 체험기를 담은 베스트셀러 자서전 ‘14호 수용소 탈출’의 집필자 신동혁씨(32)의 자서전 내용 일부가 허위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신씨가 국제사회에 북한 인권탄압 실태 고발에 대한 중단을 선언하면서 향후 행보도 주목되고 있다.

 

신씨는 북한 정치범 14호 수용소에서 탈출을 감행했던 유일한 생존자이자 대표적 증인으로 여겨 대중의 관심을 받았으나, 그는 최근 페이스북 올린 글에서 “현 시점에서 영원히 감추고 싶었던 과거 중 일부를 감출 수 없게 되었다”고 밝힌 바 있다.

 

신씨는 수용소에서 태어나 23년간을 정치범 수용소의 참혹한 환경에서 자랐으며, 지난 2005년 탈출을 감행하기까지 수시로 고문에 시달리고 노동력을 착취당했다.

신씨는 지난해 UN 인권위원회에 서기 전부터 북한의 인권유린 실태를 지적해 왔다.

 

신씨의 자서전 집필자인 블레인 하든(Blaine Harden)씨는 최근 자신의 웹사이트에 글을 올려 ‘자서전 내용 중 일부 오류를 수정했다’고 밝혔다.

하든씨는 “지난 1월16일 신씨가 언급한 그의 생애에 대한 묘사 중 여러 부분이 사실과 다르다”면서 “신씨에게 자서전 내용의 오류를 책망했다”고 말했다.

 

이런 사실을 보도한 워싱턴포스트는 지난 일요일(18일) 신문에서 “신씨가 일련의 사태로 북한 인권실태 고발 활동의 중단을 고려할 만큼 고통스러워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씨는 자서전 내용 중 일부의 오류를 인정한 뒤 페이스북을 통해 사과글을 게재했다.

그는 이 사과글에서 “모두가 스토리를 가지고 있지만 숨기고 싶은 부분도 존재한다”며 “나 또한 내 과거 가운데 영원히 숨기고 싶은 부분이 있었다”고 고백했다.

 

신씨는 이어 “나를 지지하고 믿어준 분들께 감사하고 또 죄송하다”며 사죄의 뜻을 표했다.

 


이유경 인턴 기자 youkyong13@hotmail.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63 호주 과학/수학/음악/미술/역사 등 교과과정 하루 한 시간씩 한국어로 배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8.15.
662 호주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맞아 시드니서도 1400차 수요시위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19.08.15.
661 호주 “일본 아베 정권의 부당한 경제침략 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8.15.
660 호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획기사 (1) - 청소년 민족정신 일깨우는 호주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들 file 호주한국신문 19.08.15.
659 호주 [한국언론진흥재단 후원 특집 기획기사] 호주 언론에 처음 드러난 한국 톱뉴스 19.08.20.
658 호주 “대양주 취업 박람회, 인재 채용과 취업에 유용한 기회” 톱뉴스 19.08.20.
657 호주 '아베 정권 규탄 및 일본 제품 불매운동 성명서' 톱뉴스 19.08.20.
656 호주 ‘일본군 위안부 영화의 밤’ 성황 톱뉴스 19.08.20.
655 호주 총영사관, 9월 브리즈번 순회영사 공지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2.
654 호주 화제의 동포기업- ‘Rainbow and Nature’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2.
653 호주 What's on in Sydney this weekends?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2.
652 호주 “2차 폭력피해 막으려면 반드시 경찰에 신고 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2.
651 호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획- 청소년 민족정신 일깨우는 호주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들(2)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2.
650 호주 민주평통 아세안 지역회의, ‘대양주에 울려 퍼진 100년 전 독립운동의 함성’ 책자 출간 톱뉴스 19.08.27.
649 호주 ‘한국인의 정신적 동반자’ 쟌 루프 오헌 할머니 타계 톱뉴스 19.08.27.
648 호주 1,600여 명 호주학생들, “한국 문화, 너무 재미있어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9.
647 호주 호주한국학교 재학생들이 쓴 아버지를 향한 ‘사랑 고백’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9.
646 호주 What's on in Sydney this weekends?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9.
645 호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획- 청소년 민족정신 일깨우는 호주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들(3)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9.
644 호주 생활비 줄여주는 다양한 NSW 정부 서비스 아시나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