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캔터베리).jpg

NSW 주 정부의 카운슬 합병 계획에 따라 정부의 ‘Fit for the Future’(미래를 위한 준비)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강제 합병 대상에 포함된 캔터베리 카운슬(Canterbury Council)이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관련 설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현재 카운슬은 이웃 카운슬과의 합병에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주 정부 카운슬 합병 방침으로... 카운슬은 ‘반대’ 입장

 


캔터베리 카운슬이 지역민들에게 카운슬의 미래를 보호해 달라고 당부했다.

캔터베리 카운슬은 금주 각 미디어에 전달한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캔터베리(Canterbury) 시가 역사상 가장 중요한 문제에 직면함에 따라 카운슬을 지키기 위한 일환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긴급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카운슬의 이 설문은 지난해 NSW 주 정부가 내놓은 카운슬 통합 계획에 의한 것으로, 캔터베리 카운슬은 주 정부의 ‘Fit for the Future’(미래를 위한 준비)에 따라 이웃 카운슬과의 통합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계획대로라면 캔터베리 카운슬은 뱅스타운(Bankstown) 또는 허스트빌(Hurstville), 코가라(Kogarah) 및 락데일(Rockdale) 카운슬과 합병 절차를 밟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대해 캔터베리 카운슬은 대다수 다른 카운슬과 마찬가지로 통합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캔터베리 카운슬 브라이언 롭슨((Brian Robson) 시장은 “카운슬 재정 상태가 튼실한 편이어서 주 정부의 강제 합병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주 정부의 ‘Fit for the Future Program’이 요구하는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롭슨 시장은 “모든 캔터베리 지역 주민이 우리 시의 미래를 지키기 위한 뜻을 모아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리는 지역 주민과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우리 시가 추구하는 방향을 주 정부에 전달할 것”이라고 언급한 롭슨 시장은 “뱅스타운 또는 세인트 조지(St. George) 카운슬과의 합병안에 대해 우리 시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있어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시장은 이어 “카운슬은 긴급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충분히 반영시킬 수 있도록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설문은 영어 외에 아랍어, 중국어, 베트남어, 그리스어, 벵골어 등 5개 언어로 지원된다.

 

아울러 캔터베리 카운슬은 주 정부의 ‘Fit for the Future’ 프로그램 및 캔터베리 카운슬 합병안에 대한 시의 입장 관련 소식이 담긴 소책자를 지역민들에게 우편으로 발송할 예정이다. 카운슬은 “우리 시의 우선 입장은 카운슬이 제공하는 수준 높은 서비스를 모든 지역민이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카운슬의 설문에 참여하거나 주 정부의 ‘Fit for the Future’에 대한 사항은 웹사이트(www.fitforthefuturecanterbury.com.au)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유경 인턴기자 youkyong13@hotmail.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03 뉴질랜드 한국전 참전용사와의 만남은 언제까지 이어질 수 있을까... NZ코리아포.. 19.06.28.
702 호주 연락두절 북한 유학 호주청년 가족 '우려' 증폭 톱뉴스 19.07.02.
701 호주 안영규 호주한인총연 2대 회장 당선 톱뉴스 19.07.02.
700 뉴질랜드 오클랜드 문학회 초청 강연회, 글쓰기로 자존감 회복 기대 NZ코리아포.. 19.07.04.
699 호주 시드니에서 <2019 대양주 취업박람회> 개최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98 호주 호주 초-중등학생들, 한국 국악에 매료...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97 호주 한국 현대미술 전시 및 퍼포먼스, 호주 관객 사로잡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96 호주 광복장학회, 독립유적자 탐방 대학생 선발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95 뉴질랜드 와이카토 어르신들의 겨울 일탈을 보실래요?^^ NZ코리아포.. 19.07.05.
694 뉴질랜드 2019 K-Culture Festival 성공리에 개최 NZ코리아포.. 19.07.08.
693 호주 북한 억류 알렉 시글리 석방에 스웨덴 결정적 역할 톱뉴스 19.07.09.
692 호주 ‘중저소득층 $1,080 세금 환급 혜택’ 톱뉴스 19.07.09.
691 뉴질랜드 제 5회 진로 정보의 날, 뜨거운 관심속에 열려 NZ코리아포.. 19.07.09.
690 뉴질랜드 한국전 참전 용사들 만남 이어져 NZ코리아포.. 19.07.09.
689 호주 호주 한인사회 체육계 인사, 대한체육회 ‘정책 자문위원’에 위촉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1.
688 호주 2019 세계 한국어 웅변대회 호주 예선 …초중고대학생 40명 참가 톱뉴스 19.07.16.
687 호주 “호주 음악의 달링” 한인가수 임다미, 호주 전국투어 펼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8.
686 호주 시가 1천만 달러 ‘필로폰’ 운반 한인 2인조 운반책 12년 실형 톱뉴스 19.07.23.
685 호주 서호주 퍼스에 한국전 참전 기념비 건립 추진 톱뉴스 19.07.23.
684 호주 범죄 피해 한국인 유학생에게 쏟아진 ‘온정의 손길’ 톱뉴스 19.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