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이스트우드 상우회 1).jpg

이스트우드 한인상가 지역의 공용주차장 확충은 이스트우드한인상공인연합회가 오랫동안 추진해 왔던 사업이다. 공용주차장에서 도네멜로 의원과 함께 선 이 지역 상공인회 고직순 회장(맨 왼쪽)과 변종윤 부회장(맨 오른쪽).


NSW 베레지클리안 장관-도미넬로 의원, 이스트우드 방문서

‘이스트우드 한인상공인연합회’ 주차공간 지속적 요청 ‘결실’

 


이스트우드 지역 한인 커뮤니티의 오랜 숙원인 공용주차장 증설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NSW 교통장관과 빅토 도니넬로(Victor Michael Dominello) 주 의원(라이드 지역구)은 금주 수요일(18일) 이스트우드 한인타운을 방문, “자유-국민 연립이 오는 3월28일 NSW 선거에서 승리해 재집권을 하면 라이드시 소유 공유지 주차장에 약 230대의 주차 건물을 신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베레지클리안 장관은 “기차 등 대중교통 이용자 및 상가 방문자들에게 주차장은 가장 중요한 이슈”라면서 “이 지역의 공용주차장은 한인들은 물론 전체 지역사회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라이드 지역구 의원인 도니넬로 의원도 “재집권을 하면 라이드시 및 지역사회와 협조해 가능한 조속하게 공용주차용 건물을 짓도록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한인 상가가 밀집한 알디(Aldi) 수퍼 맞은편, 카운슬의 공용주차장 부지(53-55 Rowe Street)는 약 1,380sqm로 넓이로 현재 약 48대의 무료(2시간) 주차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이 부지에 약 230대의 주차건물이 신축될 경우 현재보다 주차시설이 거의 5배 증가하는 것으로 이스트우드 한인타운의 주차공간 부족을 해소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 동안 이스트우드한인상공인연합회(회장 고직순. 이하 ‘상공인회’)를 중심으로 이 지역 한인커뮤니티는 여러 해 동안 공용주차장 증설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 특히 지난해 이스트우드 마스터플랜과 관련, 상공인회는 한인사업자와 주민 등 약 200명이 서명한 제안서와 청원서를 라이드시에 제출, 주차장 증설을 강력히 요구하기도 했다.

 

상공인회의 고직순 회장은 지난 9월 시의회 미팅에 직접 참석, 시의원들에게 이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라이스시에서 관심을 갖고 추진해달라는 요청을 했다. 또 지난 1년 반 동안 시의원들과 도미넬로 지역구 의원 등을 개별 접촉하면서 공감대를 조성해 왔다.

 

그러나 라이드시에서는 재원 부족으로 증설에 대한 답변을 내놓지 못한 채 주차공간 실태 조사를 먼저 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이런 상황에서 상공인회는 2015년 3월말 NSW 선거를 앞두고 다시 이 사업을 추진, 지난해 연말부터 연초 사이 로이 마지오 라이드 시의원(전 시장)과 도미넬로 의원 등에게 지원을 다시 요청했고 마침내 베리지클리안 교통장관이 역 주변 주차장 증설사업의 일환으로 이스트우드의 한인타운 중심에 있는 로우 스트리트(Rowe Street) 이스트의 카운슬 공용주차장 부지에 약 230대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건물을 신축하겠다는 발표를 한 것이다.

 

금주 수요일(18일) 기자회견에서 도미넬로 의원은 “이번 발표는 전체 지역사회에 희소식이며 특히 한인 커뮤니티에게 음력 설 하루 전 굿뉴스를 전하게 돼 매우 기쁘다”면서 “이스트우드한인상공인연합회가 지속적인 요청을 해 온 것도 주정부의 결정에 한 몫 했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 후 베레지클리안 장관과 도미넬로 주의원은 일부 한인업소에 들러 발표 내용을 전하자 한인들은 좋은 소식이라고 크게 환영을 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23 호주 시드니향우회연합회, 재외선거 투표율 제고 운동 전개 톱뉴스 19.06.12.
722 호주 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2019 세종학당 한국어 말하기 대회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721 호주 총영사관, 국적 및 가족관계 설명회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720 호주 쿠리어 메일 “호주정부, 시민권 취득 요건 강화 계획 포기” 톱뉴스 19.06.18.
719 호주 평통 호주협의회 자문위원, 후보 추천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718 호주 제10회 호주한국영화제... 8월 22일 시드니-캔버라서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717 호주 문화원, 시드니 Good Food & Wine Show에 이색 참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716 호주 2019 NSW주/연방 선거 결과분석과 한인동포사회의 관계증진 세미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715 호주 “항일 독립정신 외면하는 것은 반역...” 호주한국신문 19.06.20.
714 호주 법륜스님 즉문즉설 시드니 강연회 ‘행복한 대화’ 열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713 호주 32대 시드니한인회 피터 김 부회장 당선자, 전격 ‘사퇴’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712 호주 올 겨울 시드니에서 만나는 한국 현대미술 전시회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711 호주 시드니 교도소 수감자 폭행 살인 사건의 범인은 한국계 20대 재소자 톱뉴스 19.06.25.
710 뉴질랜드 한반도 평화통일 뉴질랜드 현지인과 함께 실현해 가는 한뉴우정협회. NZ코리아포.. 19.06.27.
709 뉴질랜드 한국전 69주년 기념식 웰링톤에서 추모가져... NZ코리아포.. 19.06.27.
708 호주 총영사관, 7월 QLD 순회영사 계획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7.
707 호주 김치 만들기 매력에 흠뻑 빠진 시드니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7.
706 호주 2019 시드니 월드한식페스티벌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7.
705 호주 UTS Insearch 한인 학생들 대상 디자인 공모전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7.
704 호주 해외 유권자 연대 통해 동포사회 권익 꾀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