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참여센터 지원

 

뉴욕=민병옥기자 newsroh@gmail.com

 

뉴욕대 한인학생들이 미대선을 앞두고 유권자 등록 캠페인을 전개했다. 뉴욕대 한인학생들은 지난 11일 맨해튼 워싱턴 스퀘어 파크 인근 키멜 학생회관에서 50여명의 신규 유권자 등록을 지원했으며, 70건 이상의 투표 관련 문의를 해결했다.

 

이날 행사는 미동부 풀뿌리 한인시민단체인 시민참여센터가 지원했다. 학생들은 캠페인에 앞서, 학생들은 유권자 등록 관련 교육을 받았다.

 

 

20161011_뉴욕대한인학생 유권자등록.jpg

 

 

김현진(정치학과 2학년) 양은 "특정 단체 소속이 아니라 한인학생으로서 자발적으로 유권자 등록 캠페인을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함께 참여한 문소연(언론홍보학과 2학년) 양도 "한인이자 학생으로써, 내가 속한 이 커뮤니티의 투표 참여를 돕는 일은 개인적으로 크나큰 의미가 있다"고 소감을 피력(披瀝)했다.

 

시민참여센터는 “본선거 참여를 위한 뉴욕주 유권자 등록 마감일을 코 앞에 둔 탓에 학생들의 관심과 주소변경 관련 문의가 그 어느때보다 뜨거웠다”고 전했다.

 

11월 8일 대통령 선거 유권자 등록은 뉴욕 주에서는 10월 14일 마감됐고, 뉴저지 주는 10월 18일 까지 유권자 등록을 해야 한다.

 

자신의 유권자 등록확인은 시민참여센터 웹사이트 KACE.org를 방문, 화면 오른쪽 상단의 링크를 통해 가능하다. 유권자 등록 및 각종 투표/선거 관련 문의는 시민참여센터 투표 핫라인 347-766-5223으로 전화로 문의가 가능하다.

 

* 글로벌웹진 뉴스로 www.newsroh.com

 

<꼬리뉴스>

 

한인유권자 등록용지 버겐카운티 전달

 

시민참여센터는 버겐카운티 선거관리국에 한인 신규 유권자 등록용지 200여장을 전달했다.

 

이는 시민참여센터를 방문하여 등록한 한인 신규 유권자와, 시민참여센터의 교육 및 지원을 받아 유권자 등록 캠페인을 지난주 진행한 팰리세이드 팍 유권자 협의회를 통해 접수받은 등록용지다.

 

 

20161012_유권자 등록용지 버겐카운티에 접수.jpg

왼쪽부터 장성관 시민참여센터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테레사 오카너 버겐카운티 선거관리국 부국장, 권혁만 팰팍 유권자 협의회장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0 미국 미주 ‘위안부’알리기 포스터 경연대회 file 뉴스로_USA 18.06.10.
909 미국 몽고메리, 동남부 체전 우승…6년만 쾌거 file 뉴스앤포스트 18.06.12.
908 미국 한국 총영사관, ‘귀넷카운티에 더 가까이’ file 뉴스앤포스트 18.06.12.
907 미국 김정은 위원장, 백악관 안방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결정타를 날리다 file Jaeyulshin 18.06.13.
906 캐나다 캘거리 한우리교회 창립 8주년 기념 부흥회 열려 CN드림 18.06.13.
905 캐나다 캘거리 김강민씨 주의원 출마 선언식 가져 CN드림 18.06.13.
904 캐나다 에드먼튼 한국어 학교 ‘우리말 잘하기 대회 ‘ 열려 CN드림 18.06.13.
903 캐나다 캘거리 문협 신춘문예 시상식 열려 CN드림 18.06.13.
902 캐나다 캘거리 한글학교 차세대 한글교사 양성 세미나 열려 CN드림 18.06.13.
901 캐나다 업소 탐방) 캘거리에 식자재 도매상 탄생 ‘A-Mart 웨어하우스’ CN드림 18.06.13.
900 캐나다 업소 탐방) 온라인 쇼핑몰 ‘Nothing But Grow’ CN드림 18.06.13.
899 미국 NY 메트뮤지엄 韓예술전 file 뉴스로_USA 18.06.13.
898 미국 美팰팍 ‘한인혐오’ 분노 항의시위 file 뉴스로_USA 18.06.13.
897 미국 美팰팍시장 예비선거 크리스 정 승리 확정 file 뉴스로_USA 18.06.13.
896 미국 미주 지역 한인 단체들, 판문점 선언 지지 성명 발표 코리아위클리.. 18.06.14.
895 미국 장광선선생의 ‘아름다운 동행’ file 뉴스로_USA 18.06.15.
894 미국 승리적으로 마감되어가는 주체혁명위업과 새롭게 시작된 조미관계 정상화 file Jaeyulshin 18.06.16.
893 미국 재외동포사회 북미화해 기대감 file 뉴스로_USA 18.06.16.
892 미국 뉴욕서 해금과 현악 사중주의 만남 file 뉴스로_USA 18.06.18.
891 미국 발레리정 등 3인 현대미술공모전 수상 file 뉴스로_USA 18.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