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찰 경고).jpg

“우리는 젊은 청년들이 빠르게 온라인을 통해 테러리스트에 동화되는 것을 보고 있다”며 대테러 닐 고간(Neil Gohgan)씨가 밝혔다.


정부, 온라인 대응 및 국적 박탈 등 법적 조치도 고려

 


호주 최고의 대테러 당국이 경찰의 감시 레이더보다 빠르게 급진화하고 수가 늘어난 ‘클린스킨’(Cleanskin. 전과가 없는, 감시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는) 잠재 지하디스트(Jihadist)들이 극단적인 투쟁을 위해 해외로 건너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지난 주 토요일(21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호주 대테러 연방 경찰의 한 감독관이 “과거에 비해 극단주의자 조직에 여성과 젊은 남성의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고 경고했으며, “이들이 계속해서 국가를 떠날 준비를 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이미 호주에서 마음이 떠난 이들이 의지를 꺾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우리는 더 많은 여성이 참여하는 것을 보고 있다”며 “더 많은 사람들이 (연방 테러 감시단의) 레이더망을 벗어나 지하디스트가 된다는 것이 놀랍다”고 말했다. 이들 또한 “그들은 스스로 혼자 외국으로 갈 것을 결정하고 있으며, 우리는 젊은 청년들이 온라인을 통해 빠르게 테러리스트로 전향한 사람들을 보고 있다”고 경고했다.

 

일부 젊은 호주인들의 급속한 테러리스트화는 경찰 및 정보기관 입장에서 상당한 고민거리이다. 테러 전문가들은 국가를 떠나려는 젊은이들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 속에서 “이들의 무모한 테러 공격, 어설픈 공격 방법을 예상하기 어려우며, 그런 반면 이들의 테러 공격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높이지고 있다는 점에서이다.

 

경찰은 최근 칼을 이용해 테러 공격 음모를 계획했던 두 남성이 시드니 서부 지역에서 체포된 사건과 관련, 이들이 사전에 테러 용의자 리스트에 없었다는 것을 인정했다.

 

경찰의 대테러 관련 간부인 닐 고간(Neil Gohgan)씨는 “이슬람 극단주의를 지향하는 이들이 호주를 떠나 중동으로 향하면서, 이 같은 추세는 향후 10여 년간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이들이 중동의 테러 지역으로 여행하도록 방치하는 것을 우려하면서 “우리(경찰)는 이들의 여행을 중단시키기 위해 각 커뮤니티와 접촉하고 있지만 우리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하디스트가 되고자 하는 이들은 여전히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정부는 호주 시민권자의 이중 국적 취소 등 새로운 조치를 취한다는 방침이다. 연방 법무부 조지 브랜디스(George Brandis) 장관은 정부의 조치에 온라인을 통한 테러리스트 모집에 대한 대처 내용도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브랜디스 장관은 “현재 IS는 온라인을 통해 하루 10만개 이상의 메시지(극단주의자들의 테러 조직 가담)를 전달한다”며 “우리는 이를 확인하고 이 선전에 대응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43 호주 호주서 6년 ‘도피 생활’ 했던 사기단에 동포 피해자도 ‘다수’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742 뉴질랜드 한-뉴질랜드 경제인협의회,양국간 무역 투자 활성화 강연회 개최 중 NZ코리아포.. 19.05.15.
741 호주 2019 브리즈번 국제 학생대사 선발, 한국 대표는 이하은씨 file 호주한국신문 19.05.16.
740 호주 제32대 한인회장단 선거 ‘투표권’ 부여 사안, ‘임시총회’로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9.05.16.
739 뉴질랜드 솔방울 트리오, 다섯번째 공연에서 7080노래 선보여... NZ코리아포.. 19.05.20.
738 뉴질랜드 뉴질랜드에 울려 퍼지는 ‘임을 위한 행진곡’ NZ코리아포.. 19.05.20.
737 뉴질랜드 손연수 우승, Women's 54-Hole Open Championship 2019 NZ코리아포.. 19.05.21.
736 호주 시드니의 ‘City Talks’에 박원순 서울시장, 기조연설 맡아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735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홍상우 총영사 부임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734 호주 시드니 동포들, 5.18 민주화 운동 희생자 추모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733 호주 취재수첩- 선거관리위원회 회심의 역작?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732 호주 2019 시드니 월드한식페스티벌 6월에 열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5.30.
731 호주 제임스루스농고 김채민, 호주 평화통일골든벨 우승 톱뉴스 19.06.05.
730 호주 ‘한인건강엑스포’ 풍성하고 유익한 의료건강 정보 제공 톱뉴스 19.06.05.
729 호주 채스우드 고공 아파트 살인범 서모씨, 최장 22년 6개월 징역형 톱뉴스 19.06.05.
728 호주 총영사관, 퀸즐랜드 주 순회영사 일정 공지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727 호주 '가상 한국여행' 통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배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726 호주 2019 뉴카슬 한글배움터, ‘한국문화’ 체험 캠프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725 호주 평통 호주협, “동포자녀들의 풍부한 한반도 상식 확인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724 뉴질랜드 마이클 힐 국제 바이올린 대회 임도경 1위 NZ코리아포.. 19.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