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유럽 민속절기가 미국식 유흥 축제로
 

pumkin.jpg
▲ 롱우드시 한 교회가 ‘잭 오 랜턴’ 호박 장식에 사용할 수 있는 주황색 호박들을 판매하고 있는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10월 31일 저녁, 검정색과 주황색으로 표현되는 할로윈 의 대표적 심볼 '잭 오 랜턴' 이 미 주택 정원앞에 불을 밝힌다. 그리고 갖가지 캐릭터 옷을 입은 아이들이 문을 두드리며 '트릭-오-트릿' 을 외친다.

그러면 집 안에서는 어른들이 나와 '해피 할로윈!' 하고 응답하며 캔디등을 아이들에게 건넨다.

'할로윈(Halloween)'이란 용어는 '올 할로우스(세인츠) 이븐 (All-hallows(saints)-even)' 을 줄여 쓴 단어이다. 오래전 유럽지역을 지배하던 가톨릭 교황이 11월1일을 '모든 성인(할로우 혹은 세인트)의 날' 로 정하고 지키게 했는데, 이 전날밤을 일컫었던 것이 바로 할로윈이다.

크리스마스 전날 저녁을 크리스마스 이브라고 하며 파티를 즐기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그러나 할로윈은 고대 유럽지역의 풍습과 가톨릭 종교가 혼합된 것이다. 지금의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프랑스 지역에 거주하며 농경과 목축으로 살아가던 켈트족 들은 한 해 수확을 마감하고 동계에 들어서기전 축제를 가졌다. 지금으로 보면 한국의 추석이나 미국의 추수감사절과 같은 절기 행사인 셈이다.

또 자연신과 영의 세계를 믿었던 이들은 이 날만큼은 영계와 지상계가 서로 조우된다고 믿었다. 뿐만 아니라 아일랜드와 스코트랜드 일부 지방에서는 심술궂은 영들을 두려워 한 나머지 이 날이 '무서운 밤' 으로 인식되어지기도 했다.

이처럼 켈트족의 풍습에 뿌리를 둔 할로윈 축제는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재해석 되기에 이른다.

서기 835년 교황 그레고리 5세는 11월 1일을 성인의 날로 정하고 지키게 했다. 일부 역사가들은 그가 할로윈을 의식해 이같이 정했다고 보고 있으나, 이같은 사실을 확증할 만한 자료는 없다. 어쨋든 가톨릭 교부들은 토착민들의 풍습을 기독교적으로 이끌고자 했던 것같다.

토속신앙과 카톨릭 절기 혼합

본래 할로윈 축제는 지역에 따라 특성이 있었다. 특히 할로윈을 가장 즐겼던 아일랜드인들은 영혼들이 지상세계를 방문할 때 나쁜 영들은 막아내고자 공동으로 불을 지피기도 했다. 이같은 행위는 요즘의 잭-오-랜턴 의 기원이라 할 수 있다.

'성인의 날' 을 지키면서도 여전히 전통 풍습을 버리지 못했던 아일랜드인들은 할로윈날 서로 모여 파티를 즐기는 가운데 젊은이들은 미래 배우자에 대한 점괘를 보기도 하고, 아이들은 물에 띄운 사과를 입으로 건져 내기 등 민속놀이도 즐겼다.

또 스코트랜드 일부 지방에서는 아이들이 집집마다 방문하며 할로윈 축제날 즐길 케이크나 과일등을 얻기도 했는데, 이 과정에서 "하늘은 파랗고 들판은 푸르네요. 우리들도 할로윈을 즐겨야죠" 라는 리듬 절구를 읊으며 어른들 앞에서 장기를 부리기도 했다. 이같은 행위는 오늘날의 '트릭-오 트릿'을 외치는 행위와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19세기 미국으로 건너온 아일랜드인과 스코트랜드인들은 할로윈을 기억하며 이날에 함께 모여 파티와 게임을 즐겼다. 그러나 1950년 이후부터 서서히 상업성이 파고 들면서 할로윈 전통 의식중 영의 세계에 대한 부분이 부각되기 시작했고, 할로윈은 재밋거리로 즐기는 '스푸키 나잇(으스스한 밤)' 으로 자리잡게 됐다.

또 캔디나 과자 등 트릿 거리와 각종 유령 변장옷 등이 젊은층과 어린이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본래 켈트족의 전통 절기는 미국식 축제로 변형해버렸다.

기독교계 할로윈 해석 분분

한편 기독교계는 할로윈 의 해석에 분분한 편이다. 역사적으로 가톨릭 절기가 교차되어 있는데다, 할로윈에 담겨진 영의 세계 혹은 초자연적 믿음 등은 기독교와 무관치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본주의적 기독교계와 보수적 유대인 그리고 모슬림들은 할로윈이 토속 신앙에 근거를 두고 있고, 근대에 와서는 악마적 이미지를 즐기고 있다는 데 강한 거부감을 표시하고 있다.

일부 복음주의적 선교단체에서는 할로윈 날에 지옥 모형집을 만들어 일반에게 지옥에 대한 관념을 심거나, 악마와 사탄을 소개하는 전도 팜플렛을 제작해 배포하는 등 할로윈을 선교 목적으로 과감하게 사용하고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37 캐나다 대를 이은 정치 금수저들 최악-필리핀 수준으로 격하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9.
1336 캐나다 버나비RCMP가 찾는 총격 용의차량 기아 포르테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9.
1335 캐나다 BC주도 코로나19 증가세로 돌아서나?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9.
1334 미국 시카고 독립기념일 퍼레이드 총격, 7명 사망 30여명 부상 file 코리아위클리.. 22.07.10.
1333 미국 '자이언트 아프리카 달팽이' 탬파 지역서 발견 file 코리아위클리.. 22.07.10.
1332 캐나다 캐나다, 코로나백신 3, 4차 추진 고려하나 file 밴쿠버중앙일.. 22.07.12.
1331 캐나다 북한 문제 해결-강력 제재는 답이 아니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07.12.
1330 미국 플로리다 교통법규 위반 벌금, 분할 납부 허용 file 코리아위클리.. 22.07.12.
1329 미국 플로리다주 신규 낙태금지법에 제동 걸렸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7.12.
1328 미국 플로리다 유대교 단체, 낙태 금지법에 소송 건 이유는? file 코리아위클리.. 22.07.12.
1327 캐나다 밴쿠버 캐나다플레이스의 한여름밤을 달굴 VMO 공연 file 밴쿠버중앙일.. 22.07.13.
1326 캐나다 여름철 도로 보수 구간의 규정 속도는 시속 30킬로미터 file 밴쿠버중앙일.. 22.07.13.
1325 캐나다 캐나다 중앙은행 기준금리 1%P 인상해 2.5% 밴쿠버중앙일.. 22.07.15.
1324 캐나다 BC 원숭이두창 확산세 전국에서 가장 높아 file 밴쿠버중앙일.. 22.07.15.
1323 캐나다 한인신협, C3 캠프코리아 후원금 5000달러 전달 file 밴쿠버중앙일.. 22.07.15.
1322 캐나다 '외국인 살기 좋은 나라' 한국은 52개국 중 40위..캐나다는? file 밴쿠버중앙일.. 22.07.16.
1321 캐나다 써리 총격 사망자-에어 인디아 폭파 329명 사망 사건 관련자 file 밴쿠버중앙일.. 22.07.16.
1320 미국 플로리다 등 보수적 남부 주들, 낙태 제한법 발효 file 코리아위클리.. 22.07.17.
1319 미국 바이든 "새 총기 규제법 진정한 진전, 더 많은 조처 필요" file 코리아위클리.. 22.07.17.
1318 미국 올해 플로리다주 예산 사상 처음 1천억 달러 돌파 file 코리아위클리.. 22.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