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마약 전쟁 1).jpg

호주인들의 불법 마약사용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애보트(Tony Abbott) 수상이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할 방침이다. 수상은 연방정부 산하 기관으로 ‘국가 마약전담반’(National Ice Taskforce)을 신설하고 전 빅토리아 경찰청 켄 레이(Ken Lay) 청장을 책임자로 임명했다.


국가 마약전담반(Ice Taskforce) 신설... 각 주 정부와 공조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수상이 불법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애보트 수상은 금주 수요일(8일), 각 지역사회는 물론 개인의 삶을 파괴하는 불법 마약 유통이 늘고 있다면서 이 치명적 골칫거리를 근절하기 위한 ‘전쟁’을 벌이겠다고 발표했다.

 

애보트 수상은 전 빅토리아 경찰청 켄 레이(Ken Lay) 전 청장을 새로 신설된 ‘국가 마약전담반’(National Ice Taskforce) 책임자로 임명하고 수상은 물론 치안부 마이클 키넌(Michael Keenan) 장관, 보건부 피오나 나시(Fiona Nash) 장관 및 각 주, 테러토리 당국과 긴밀히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애보트 수상은 국가 마약전담반으로 하여금 연방 및 각 주, 테러토리 정부와 함께 ‘국가 마약근절 전략’을 수립하고 빠르면 올해 중반까지 중간 보고서를 발표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애보트 수상은 이에 대한 성명을 통해 “지난 2011년부터 최근까지 박토리아 청찰청장을 지낸 켄 레이 전 청장이 최고 위원장으로서 마약전담반을 이끌어나갈 것”이라며 “전반적인 목표는 ‘아이스’(ice)로 알려진 메스암페타민(methamphetamine) 근절을 위한 기존의 노력을 재검토하고 마약관련 교육, 보건, 법 집행을 위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이며 통합된 접근방식을 명확히 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수상은 이어 “정부는 최선을 다해 ‘아이스’ 퇴치를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타겟 설정이 필요하다”면서 “이러한 계획이 지방 및 주 정부, 테러토리 차원에서 수행되는 가운데 연방정부가 마약 퇴치에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통합된 지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페어팩스 미디어는 최근 ‘아이스’로 불리기도 하는 메스암페타민 문제를 보도하면서 “개인의 삶을 뒤틀리게 하고 인생을 망치게 하는 불법 마약은 일부 지역의 경우 사회적 구조를 약화시키고 있다”는 키넌 전 청장의 말을 인용, 전한 바 있다.

 

보건 및 법 집행 당국은 ‘아이스’에 대해 다량 사용자의 경우 불안정하고 폭력성을 갖게 되며 정신건강은 물론 다른 건강 문제를 유발하는 극히 위험한 약물로 간주하고 있다.

실업률이 높은 일부 지역에서는 불법 마약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며, 특히 삶의 기회가 제한된 젊은층은 마약의 유혹에 쉽게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문제로 지적된다.

 

경찰 및 보건 당국이 우려하는 것은, ‘아이스’는 물론 여러 종류의 혼합된 불법 마약 소비경향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달 발표된 호주 범죄위원회(Australian Crime Commission)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인 130만 명 이상이 결정체 또는 분말 형태의 메스암페타민을 사용한 적이 있으며, 이 같은 사용 인구는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꼽힌다.

보고서는 또한 호주에서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범죄자들의 60%가 메스암페타민 거래에 관여하고 있다.

 

호주에서 메스암페타민의 길거리 가격(street price)은 1그램당 미화 500달러 수준으로, 이는 중국의 80달러와 크게 비교되는 수치이다. 이 때문에 전 세계 마약공급 조직이 호주 시장에 눈독을 들이는 실정이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43 호주 재호한인상공인연합회 제19대 회장단 출범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842 호주 “한인 커뮤니티 위해 보다 큰 일 할 수도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841 호주 ‘호주한인공익재단’, 커뮤니티 단체에 7천 달러 지원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840 호주 호주 광복회, 한인 청소년 대상 ‘독립선언서 낭독대회’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839 호주 한인동포 정치 후원 모임 ‘LFK’, 출범 선포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838 호주 중견작가 토저씨의 ‘Mangroves’, 올해 KAAF 우승작 ‘영예’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837 호주 제 6회 한호예술재단 미술 공모전 개최 톱뉴스 18.12.09.
836 호주 재호한인상공인연합회 이•취임식 개최 톱뉴스 18.12.09.
835 호주 은퇴 앞둔 한국인 60%, “해외에서 살고 싶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2.13.
834 호주 총영사관, 내년도 순회영사 활동 횟수 늘려 file 호주한국신문 18.12.13.
833 호주 ‘굿네이버스 호주’, 연말 문화행사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12.13.
832 호주 ‘부모 임시 거주 스폰서 비자’ 길 열렸다 톱뉴스 18.12.13.
831 호주 한국언론진흥재단 대표단 호주 방문  ​ 톱뉴스 18.12.13.
830 뉴질랜드 와이카토한인회, 송년의 밤과 크리스마스 퍼레이드 참가 NZ코리아포.. 18.12.17.
829 뉴질랜드 더니든 한인회, 차경일 신임회장 선출 NZ코리아포.. 18.12.18.
828 뉴질랜드 노래, 댄스로 치러진 ‘가족과 함께, 한마음 운동회’ NZ코리아포.. 18.12.19.
827 호주 총영사관, 신년 첫 브리즈번 순회영사 계획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12.19.
826 호주 "한국인이 은퇴 후 가장 살고 싶은 나라 1위는 호주 톱뉴스 18.12.22.
825 호주 호주한인사회에도 분 한반도 평화의 바람 톱뉴스 18.12.22.
824 호주 [송년 특집-심층진단] 한반도를 바라보는 호주의 시각 톱뉴스 18.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