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4달러 늘어나, 낮은 가솔린값이 영향
 

ss.jpg
▲ 내년 사회보장연금이 사실상 동결됐다. <사진 출처: 소셜시큐리티국 웹사이트>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내년에 사회보장연금(소셜시큐리티)과 저소득층 생계보조비(SSI) 등 정부 연금이 사실상 동결될 것으로 보인다.

17일 미국의 주요 매스컴 보도에 따르면 연방사회보장국은(SSA) 2017년도 사회보장연금과 SSI 지급액 결정을 위한 '생계비 조정치(annual cost-of-living adjustment, COLA)' 인상률을 0.3%로 잡았다.

은퇴자·장애인 등에 지급되는 사회보장연금 인상률은 해마다 3분기 연방 노동부 집계 소비자물가지수(CPI-W)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COLA에 따라 결정된다. 이 지수는 식품, 주거, 의복, 교통, 에너지, 보건, 여가, 교육 등 봉급 근로자의 생계비를 측정한 것이다.

이번 인상폭을 반영하면 사회보장연금 월 수령액 인상분은 월 평균 4달러로 사실상 동결 수준이다. 올해 사회보장연금 월 수령액도 전년 대비 동결된 바 있다. 최근 유가 하락으로 인해 생활비 변동이 거의 없다는 게 주요 이유이다.

정부 연금은 미국 인구의 5분의 1이 수령하고 있다. 올해 사회보장연금의 월 평균 수령액은 개인 1238달러이다.

연방의회는 인플레이션이 심했던 1975년에 소셜 시큐리티 혜택이 물가에 따라 자동 인상되는 법을 규정했고, 이후 연 평균 4% 상승률을 보여왔다. 그러나 미국이 극심한 경기 침체에 빠졌던 2010년과 2011년, 2016년에는 연금이 동결됐다.

생계비 조정치(COLA)가 7월, 8월, 9월 등 3개월 동안의 소비자가격지수를 연간 비교하는 방식으로 나온다는 것은 1년 중에서도 특히 여름철 물가가 연금 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다. 은퇴자 6천만명, 장애 퇴역군인 4백만명, 저소득층 8백만명 등 7천만명 이상 주민의 내년 생계비가 올 여름철 물가에 영향을 받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근래 눈에 띄게 낮아진 가솔린값이 생계비 조정치를 억누르는 데 주 역할을 했다고 평가한다. 가솔린은 9월 기준으로 전년 대비 6%가 낮아졌다.

연금 수령자들은 식품, 전화비, 케이블 등 다른 물가가 오르고 있는 데도 연금이 동결된 것에 대해 불만을 표하고 있다. 특히 운전량이 많지 않은 은퇴자들은 생계비가 가솔린값에 영향을 받는 사실을 지적한다. 은퇴인들에게 영향을 끼치는 의료 비용은 전년보다 5% 이상 올랐다.

일부 은퇴자들은 연금으로는 살아가기 힘들어 일터를 떠나지 못하고 있고, 이같은 상황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며 볼멘 소리를 내고 있다.

시니어 이익 단체들도 정부의 물가 측정 지수가 현실 생활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생계비 조정치의 산출 방식을 고쳐야 한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시니어 시티즌즈 리그(The Senior Citizens League)는 생계비 조정치가 근로자 계층의 소비 파워 보다는 62세 이상 연령대 주민들이 실제 경험하는 인플레이션을 반영하는 물가지수(experimental price index)를 참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연방 사회보장국은 이 지수를 적용한다 해도 생계비 조정치는 연금 변동에 특기할 만한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결국 오늘의 가솔린값으로 남은 돈이 있다면 내년 생계비를 위해 절약할 수 밖에 없을 듯하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57 미국 플로리다 민주당, 올해 의회 선거서 뒤집을 수 있을까? file 코리아위클리.. 22.07.05.
1356 미국 '드래그 쇼' 반대하는 플로리다 주지사, 그 이유가 마뜩잖네! file 코리아위클리.. 22.07.05.
1355 캐나다 BC주민 2030년 동계올림픽 재유치 호의적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6.
1354 캐나다 코로나19 오미크론 하위 변이 증가세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6.
1353 캐나다 써리 학교서 16세 청소년 칼에 찔리는 사고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6.
1352 캐나다 BC주 7일 현재 원숭이두창 확진자 18명-전 주에 비해 3배 이상 밴쿠버중앙일.. 22.07.08.
1351 캐나다 4월 누계 새 한인 영주권자 2370명 밴쿠버중앙일.. 22.07.08.
1350 캐나다 한국 5개 감 상품 기업 캐나다 시장 개척차 방문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8.
1349 캐나다 퀘벡주 예방접종위운회, 가을부터 4차/5차 COVID-19 백신 접종 캠페인 권고 file Hancatimes 22.07.08.
1348 캐나다 퀘벡주, 연방정부에 여권 지연 상황에 대한 해결책 요구 file Hancatimes 22.07.08.
1347 캐나다 노년층에게 은행 직원 사칭 ‘전화금융사기’ 주의보 file Hancatimes 22.07.08.
1346 캐나다 연방정부, ‘여권 대란’ 해결을 위해 더 많은 일처리 지시 file Hancatimes 22.07.08.
1345 캐나다 연방정부, 퀘벡주 장기 요양 시설 개선을 위해 약 2,210억원 투자 발표 file Hancatimes 22.07.08.
1344 캐나다 몬트리올 경찰청, 무기 및 마약 밀매 일당 5명 체포 file Hancatimes 22.07.08.
1343 캐나다 캐나다 데이 기념행사 COVID-19 및 재정적 어려움 속 일부 도시에서 취소 file Hancatimes 22.07.08.
1342 캐나다 캐나다, 해외 입국자에 대한 COVID-19 방침 9월까지 유지 file Hancatimes 22.07.08.
1341 캐나다 몬트리올 공항, 인력 부족으로 인한 ‘항공 대란’ 초래 file Hancatimes 22.07.08.
1340 캐나다 보건 당국, COVID-19 재확산 우려에 추가 백신 접종 촉구 file Hancatimes 22.07.08.
1339 캐나다 캐나다 실업률 하락에도 일부 기업은 여전히 고용 문제로 고군분투 file Hancatimes 22.07.08.
1338 캐나다 보건복지부 장관, 퀘벡주 ‘COVID-19 7차 확산’ 주의 촉구 file Hancatimes 22.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