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연방하원 27석, 주 상·하원 물갈이 투표
 

vote2.jpg
▲ 올랜도 에지워터 선상의 공공 도서관에 마련된 조기투표소 안내 사인.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김명곤 기자 = 4년마다 치르는 대통령선거(올해는 11월 8일)는 미국에서 흔히 일반선거 혹은 대선으로 불리운다. 일반선거는 대통령 뿐만 아니라 6년 임기의 상원의원 3분의 1과 2년 임기의 연방 하원의원 전원, 주 상·하의원에 대한 물갈이 투표를 한다.

올해 투표지에 오른 대통령 후보는 총 12명이다. 이 중 대표 정당 후보는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과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이다.

올해는 2석(임기 6년)의 연방상원(US Senate) 중 1석에 대한 투표가 있다. 후보로는 재선을 노리는 마르코 루비오(공화), 패트릭 머피(민주)를 비롯해 총 20명이 상원자리를 놓고 다툰다.

주 인구수에 비례해 배정되는 2년 임기의 연방하원(US Representive ) 지역구 의석은 총 27개이다. 현재 공화당이 17석, 민주당이 10석을 차지하고 있다.

주 상원의원(State Senate)의 경우 40석을 재선출하며, 18명의 기존 의원들이 재출마를 하지 않아 상당수의 새 후보자들이 투표지에 올랐다.

주 하원의원(State Representive) 역시 120석 전체에 대한 선거가 있으나 단독후보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현재 주 상원은 공화당이 26석, 민주당이 14석을 차지하고 있다. 주 하원의 경우 공화당 81석, 민주당 38석, 공석 1석이다. 공화당이 주 의회를 장악하고 있는 셈이다.

지방 공직자 선출과 주헌법 개정 주민발의안도 올라

이 외에도 올해 선거에서는 순회법원 판사, 지방법원 판사, 주 인선 변호사, 카운티 위원, 시 위원, 교육위원, 경찰국장, 주택감정소장 등 다양한 공직자 선출이 있다.

뿐만 아니라 투표지에는 플로리다 전 지역 투표지에 오르는 4가지 주헌법 개정을 향한 주민발의안과 각 선거구별 규정안 들이 올라 유권자의 찬반 의사를 묻는다.

이번 선거에서 주 발의안 중 가장 주요 이슈는 태양광 에너지안(1번)과 의료용 마리화나 합법안(2번)이다.

이중 전자는 개인 태양광 발전 패널을 갖춘 고객을 태양광 소비자 비용 통합(subdsidize to cost)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내용으로 전기회사들이 적극 밀고 있다. 정부의 대체 에너지 장려 정책 일환으로 장차 나올 수 있는 인센티브를 일반 고객이 함께 책임져서는 안된다는 뜻이다. 발의안 반대측은 전기회사들의 모노폴리(독점 의도)가 들어간 사안이라 반박하고 있다.

두번째 발의안인 의료용 마리화나 합법화는 이미 주의회에서 통과되어 실행화 단계에 있는 정책을 강화한다는 게 골자이다. 사안 지지측은 지극히 제한적인 현행법 대신 의료용 마리화나 사용 질환을 더욱 넓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밖에 다른 2가지 주 발의안은 장애 경관과 시니어를 위한 세금 공제에 대한 것이다. 이들 주민발의안이 통과하려면 각각 찬성 60% 이상을 획득해야 한다.

주지사, 상원, 하원 등 공직자 무슨 일 하나

연방국가인 미국은 연방법에 위촉되지 않는 상황에서 한 개의 주가 일국 체제를 가지고 있다. 주지사는 일개국의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행정수반 및 국가 수반으로서 주 군대의 통수권도 가지고 있다. 또한 주 상·하 양원에서 이송된 각종 법안을 서명하거나 비토해 되돌려 보낸다.

또한 주지사실에는 자신의 각종 정책입안을 위해 사안별로 특별조사연구팀을 두고 있다.

주 상원과 주 하원은 주민생활을 다루며 입법 활동을 한다.

예를 들어 상원은 주 행정법안, 공해문제, 교통시스템, 교육시스템 등 거시적인 이슈들을 다루고, 하원은 보다 세세한 주민생활 이슈인 보험, 사회범죄, 공기 순수도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입법한다. 만약 위의 두 범주에 걸쳐 있는 안건이라면 상하 양원에서 동시 상정안이 될 수 있다.

상하 양원에는 각종 소위원회, 특별위원회가 있어 개별 안건들을 심사하여 법안을 상정하는 데 주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밖에 주정부 산하에는 100여개가 넘는 위원회(커미티)가 있다. 위원회는 교통, 대중교통 등 굵직굵직한 사안들을 다루는 위원회가 있는 반면, 미용위원회, 장례위원회 등 민생문제를 다루는 소위원회도 활동하고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57 미국 플로리다 민주당, 올해 의회 선거서 뒤집을 수 있을까? file 코리아위클리.. 22.07.05.
1356 미국 '드래그 쇼' 반대하는 플로리다 주지사, 그 이유가 마뜩잖네! file 코리아위클리.. 22.07.05.
1355 캐나다 BC주민 2030년 동계올림픽 재유치 호의적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6.
1354 캐나다 코로나19 오미크론 하위 변이 증가세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6.
1353 캐나다 써리 학교서 16세 청소년 칼에 찔리는 사고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6.
1352 캐나다 BC주 7일 현재 원숭이두창 확진자 18명-전 주에 비해 3배 이상 밴쿠버중앙일.. 22.07.08.
1351 캐나다 4월 누계 새 한인 영주권자 2370명 밴쿠버중앙일.. 22.07.08.
1350 캐나다 한국 5개 감 상품 기업 캐나다 시장 개척차 방문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8.
1349 캐나다 퀘벡주 예방접종위운회, 가을부터 4차/5차 COVID-19 백신 접종 캠페인 권고 file Hancatimes 22.07.08.
1348 캐나다 퀘벡주, 연방정부에 여권 지연 상황에 대한 해결책 요구 file Hancatimes 22.07.08.
1347 캐나다 노년층에게 은행 직원 사칭 ‘전화금융사기’ 주의보 file Hancatimes 22.07.08.
1346 캐나다 연방정부, ‘여권 대란’ 해결을 위해 더 많은 일처리 지시 file Hancatimes 22.07.08.
1345 캐나다 연방정부, 퀘벡주 장기 요양 시설 개선을 위해 약 2,210억원 투자 발표 file Hancatimes 22.07.08.
1344 캐나다 몬트리올 경찰청, 무기 및 마약 밀매 일당 5명 체포 file Hancatimes 22.07.08.
1343 캐나다 캐나다 데이 기념행사 COVID-19 및 재정적 어려움 속 일부 도시에서 취소 file Hancatimes 22.07.08.
1342 캐나다 캐나다, 해외 입국자에 대한 COVID-19 방침 9월까지 유지 file Hancatimes 22.07.08.
1341 캐나다 몬트리올 공항, 인력 부족으로 인한 ‘항공 대란’ 초래 file Hancatimes 22.07.08.
1340 캐나다 보건 당국, COVID-19 재확산 우려에 추가 백신 접종 촉구 file Hancatimes 22.07.08.
1339 캐나다 캐나다 실업률 하락에도 일부 기업은 여전히 고용 문제로 고군분투 file Hancatimes 22.07.08.
1338 캐나다 보건복지부 장관, 퀘벡주 ‘COVID-19 7차 확산’ 주의 촉구 file Hancatimes 22.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