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간판 1).jpg

‘글리브 아일랜드’(Glebe Island)의 사일로(silo. 큰 탑 모양의 곡식 저장소)에 만들어진 대형 광고판. 시티 카운슬은 호주 전역에서 가장 크고 임대료가 비싼 것으로 알려진 이 광고판을 철거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월 임대료 25만 달러... 월 평균 200만 명에 노출

시티 카운슬, ‘글리브 아일랜드’ 재개발 제안서 제출

 


피어몬트(Pyrmont)에서 글리브(Glebe) 방향으로 안작브릿지(ANZAC Bridge)를 건너오다 보면 마주치게 되는 야외 광고판은, 호주는 물론 남반구(southern hemisphere)에서 가장 큰 야외 광고판으로 알려져 있다.

 

월 임대료만 25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안작브릿지를 이용하는 자동차 이용객들의 눈에 띌 수밖에 없는(?) 이 광고판이 조만간 철거될 것이라고 시티 카운슬(City of Sydney)이 밝혔다.

 

이 광고판은 문화유산(heritage-listed)에 등록된 ‘글리브 아일랜드’(Glebe Island)의 사일로(silo. 큰 탑 모양의 곡식 저장소)에 만들어져 있으며 지난 1990년대, 시드니 올림픽을 널리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처음 설치했다.

 

워낙 교통량이 많은 곳에 위치해 있어 매월 평균 200만 명의 운전자들이 안작브릿지를 건너며 이 광고판을 보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주 금요일(10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현재 이 공간을 임대하고 있는 광고회사가 주 정부의 NSW 항만당국으로부터 향후 7년간 이 광고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기를 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2013년 말, ‘애드뉴스’(AdNews) 보고서에 따르면 이 광고판의 임대로는 호주 전역에서 가장 높으며, 28일간의 임대료만 25만 달러에 이른다.

그 동안 이 광고판을 장식한 회사는 NRMA, 폭스바겐(Volkswagen) 자동차, 삼성(Samsung) 등 세계적 브랜드였으며 보통 6개월 이상 예약이 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시드니 시티 카운슬은 이 광고판이 이제 미운 오리(outstayed its welcome)로 전락했다고 말한다. NSW 주 기획부에 제출된 제안서에서 시티 카운슬의 도시기획부 그라함 얀(Graham Jahn) 국장은 이 광고판의 본래 목적은 소멸되었고 이제 주 정부의 중요한 문화유산과 함께 영구 파손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 제안서 목적에 대해 “공공에 충분한 이익을 제공하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얀 국장은 제안서에서 “유일한 이익은 소비자에게 브랜드 이름을 인지시킨다는 기본 기능을 가진 광고업 조직의 매출원과 협력한 상업적 이익일 뿐”이라고 언급하면서 “이 광고판이 시드니 스카이라인의 영구 붙박이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못박았다.

 

이른바 ‘항만구역’으로 불리는 발메인(Balmain), 로젤(Rozelle), 릴리필드(Lilyfield), 아난데일(Annandale), 글리브(Glebe) 및 피어몬트(Pyrmont)와 맞닿은 해안에 자리한 ‘글리브 아일랜드’는 현재 항구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이 광고판에 설치되어 있는 사일로는 시멘트 및 설탕 저장고로 활용되고 있다.

 

시티 카운슬의 이 같은 제안과 달리 NSW 주 정부는 글리브 아일랜드가 여전히 산업구역으로 남아 있기를 바라고 있다.

 

라이카트 카운슬(Leichhardt Council)은 “(글리브 아일랜드의) 재개발은 면밀한 계획 하에 진행해야 할 것”이라며 “이 광고판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은 역사유산으로서의 사일로를 무시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NSW 주 항만당국 대변인은 이 광고판의 임대비에 대해 언급을 피하며 “이에 대한 수치는 거래상의 비밀”이라고 덧붙였다.

 

시티 카운슬의 제안은 NSW 계획평가위원회에서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63 호주 한국선수들로 꾸려진 ‘질롱 코리아’ 창단 ... ‘호주프로야구리그’ 지형 흔드나 톱뉴스 18.11.19.
862 호주 시드니카운슬, ‘차이니즈 뉴 이어’ 대신 ‘음력설(루나)’로 톱뉴스 18.11.19.
861 뉴질랜드 환희정사 주최 제 1회 작은 산사음악회 및 바자회 성황리 개최 NZ코리아포.. 18.11.22.
860 호주 6.25 참전 회원들, 윤 총영사에 감사패 전달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859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QLD ‘워홀러’ 지원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858 호주 “조국 위해 헌신한 선열들의 열정과 희생 기억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857 호주 호주 공직 분야에 진출하려면? 주시드니총영사관, 강연회 열어 톱뉴스 18.11.25.
856 호주 “내 주량은?” 올바른 음주 문화 정착 필요해 톱뉴스 18.11.25.
855 뉴질랜드 영원한 젊은 오빠 한일수박사, 출판 기념행사 가져.. NZ코리아포.. 18.11.28.
854 호주 청소년들이 무대에서 전하는 ‘그들의 이야기’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853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호주 한국전 참전자들에 ‘감사와 위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852 호주 한국예금보험공사, 금융부실자의 은닉재산 신고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851 호주 리드컴 한인 사업자 중심, 동포 정치후원 모임 ‘출범’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850 뉴질랜드 문재인 대통령 방뉴 관련 여승배 대사 기고문 - 문대통령 방문, 양국관계에 좋은 기회... NZ코리아포.. 18.11.30.
849 호주 발리나인, “한국인 제때 추방됐다면 발생하지 않았다(?)” 톱뉴스 18.12.03.
848 호주 “호, 호, 호” 산타 만나러 오세요! 톱뉴스 18.12.03.
847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한국전 참전용사 위로 감사 행사 열어   톱뉴스 18.12.03.
846 뉴질랜드 무지개 시니어 합창단과 어린이 남십자성 예술단 합동 공연 가져. NZ코리아포.. 18.12.04.
845 뉴질랜드 문대통령, 뉴질랜드 동포간담회...재외 동포들이 자랑스러워 하는 당당나라 만들겠다 NZ코리아포.. 18.12.04.
844 뉴질랜드 2018 산타퍼레이드에서 한국 전통문화 알려... NZ코리아포.. 18.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