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가난).jpg

20년 이상 지속된 경제 성장에도 불구, 호주의 극빈층이 100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호주 경제개발위원회(CEDA) 스티븐 마틴(Stephen Martin) 위원장(사진)은 계속되는 정부정책 실패를 지적하며 100만 명 이상의 자국 빈곤층을 해결하기 위한 방향으로 경제∙사회적 차원의 복지 지원책을 제시했다.


교육∙고용 및 경제∙사회적 차원 접근 방안 모색해야

 


호주가 지난 20년간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했음에도 불구, 높은 빈곤율로 시름하고 있다.

금주 화요일(21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이 같은 국가적 차원의 불명예 근절을 위한 대대적인 정책 개편을 요구하는 최근 연구를 인용, 가난의 수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자국민이 10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산출됐다고 전했다.

 

내년도(2015-16년) 연방 예산안 발표를 불과 몇 주 앞두고 호주경제개발위원회(Committee for Economic Development of Australia. CEDA)는 호주의 총 인구 가운데 4~6%를 차지하는 100~150만명에 대해 ‘가난한 상황을 벗어날 조금의 희망조차 없는 상태’(With little to no hope of getting out of that situation)라고 정의, 빈곤 계층으로 분류했다.

 

이 같은 내용이 언론을 통해 발표되기 하루 전인 월요일(20일)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복지부 장관은 캔버라에서 자유당 의원을 소집한 회의에서 정부의 복지정책 관련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자유-국민 연립은 복지에 투입되는 예산에 대한 감액을 주장한 반면 현재보다 더 많은 인력을 노동 현장에 투입하는 생산적 복지의 필요성을 두둔했다. 반면 빅토리아 주 마틴 폴리(Martin Foley) 주택 장관은 21일(화) 발표된 CEDA 보고서에서 정부가 호주 내 뿌리 깊게 자리 잡은 빈곤에 대처하기 위해 기존 규정을 과감히 탈피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CEDA 스테판 마틴(Stephen Martin) 위원장은 “호주가 24년째 지속적 경제성장을 이룩하고 있다는 것은 현재 무의미하다”면서 “이러한 경제의 호지표에도 불구, 아직도 국가 빈곤을 타계하지 못한 호주는 국가적 불명예를 벗지 못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현 정부의 모든 주장은 고용률을 늘리기 위한 과시용이자 의존형 접근일 뿐”이라며 “만일 안정적으로 거주할 집이 없고 고용시장에서 경쟁하기 위한 자질 결함 및 역량 부재를 안고 낮은 급료를 수령하는 직업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현 상황이 지속된다면 그러한 강권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마틴 위원장은 이어 “빈곤은 정책 차원 또는 동정심을 유발하거나 좌파적 성향을 띠는 사안이 아니다”면서 “오히려 경제적, 나아가 사회적 차원의 현안”이라고 주장했다.

 

CEDA는 ‘Addressing Entrenched Disadvantage in Australia’라는 이름으로 내놓은 보고서에서 가난을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한다. 첫째는 가정에서 최소한의 필요로 간주되는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 가능 여부에 대해 명시하고 있다. 이는 ‘최소 하루에 한 번 취식할 수 있는 많은 양의 식사가 제공되는가’와 ‘필요시 적절한 의료 시술을 받을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을 담고 있다.

 

또 다른 관점은 고용, 물적 자원, 건강을 포함한 7개 주요 영역으로부터의 사회적 외면이라는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다. 이 보고서는 빈곤 상태로부터 해방된 이들 중 4분의 1이 다시 빈곤으로 추락하는 데 2년이 채 걸리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CEDA는 이 보고서에서 핵심 권고사항으로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부모와 아동을 대상으로 세대간 교육 불이익 대물림 현상을 막고 취업 전선에서 경쟁력 있는 호주인 사이의 차별을 개선토록 할 뿐 아니라 이들(정신질환자)을 대상으로 병원 입원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기 중재 프로그램과 같은 개선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보고서를 발간한 Smith Family 자선단체 소속 앤(Anne)과 햄프셔(Hampshire)씨는 빈곤으로 교육 과정에서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자녀를 둔 가족을 돕는데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Beyondblue’라는 단체의 조지 하르멘(Georgie Harmen) 대표는 “빈곤 상태의 사람들에게 양질의 고용기회를 제공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사람들을 도로로 내몰아 위기와 입원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형성하는 정신건강 제도의 문제점을 인식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호주정신건강학회(Mental Health Australia. MHA) 프랭크 퀸란(Frank Quinlan) 회장은 “가난에서 벗어난다는 것은 빈곤층에게 직업을 가지라고 말하는 것과 같은 단순한 것이 아니다”면서 “고용이 빈곤을 해결할 수 있는 최고의 방안이 될 수는 있지만 취업시장의 수많은 장벽을 뚫지 못한 개인까지 포용하지는 않기 때문에 최적의 방안이 되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유경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63 호주 한국선수들로 꾸려진 ‘질롱 코리아’ 창단 ... ‘호주프로야구리그’ 지형 흔드나 톱뉴스 18.11.19.
862 호주 시드니카운슬, ‘차이니즈 뉴 이어’ 대신 ‘음력설(루나)’로 톱뉴스 18.11.19.
861 뉴질랜드 환희정사 주최 제 1회 작은 산사음악회 및 바자회 성황리 개최 NZ코리아포.. 18.11.22.
860 호주 6.25 참전 회원들, 윤 총영사에 감사패 전달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859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QLD ‘워홀러’ 지원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858 호주 “조국 위해 헌신한 선열들의 열정과 희생 기억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857 호주 호주 공직 분야에 진출하려면? 주시드니총영사관, 강연회 열어 톱뉴스 18.11.25.
856 호주 “내 주량은?” 올바른 음주 문화 정착 필요해 톱뉴스 18.11.25.
855 뉴질랜드 영원한 젊은 오빠 한일수박사, 출판 기념행사 가져.. NZ코리아포.. 18.11.28.
854 호주 청소년들이 무대에서 전하는 ‘그들의 이야기’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853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호주 한국전 참전자들에 ‘감사와 위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852 호주 한국예금보험공사, 금융부실자의 은닉재산 신고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851 호주 리드컴 한인 사업자 중심, 동포 정치후원 모임 ‘출범’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850 뉴질랜드 문재인 대통령 방뉴 관련 여승배 대사 기고문 - 문대통령 방문, 양국관계에 좋은 기회... NZ코리아포.. 18.11.30.
849 호주 발리나인, “한국인 제때 추방됐다면 발생하지 않았다(?)” 톱뉴스 18.12.03.
848 호주 “호, 호, 호” 산타 만나러 오세요! 톱뉴스 18.12.03.
847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한국전 참전용사 위로 감사 행사 열어   톱뉴스 18.12.03.
846 뉴질랜드 무지개 시니어 합창단과 어린이 남십자성 예술단 합동 공연 가져. NZ코리아포.. 18.12.04.
845 뉴질랜드 문대통령, 뉴질랜드 동포간담회...재외 동포들이 자랑스러워 하는 당당나라 만들겠다 NZ코리아포.. 18.12.04.
844 뉴질랜드 2018 산타퍼레이드에서 한국 전통문화 알려... NZ코리아포.. 18.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