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본부 선거 193개국중 136개국 지지

 

뉴스로=노창현특파원 newsroh@gmail.com

 

우리나라가 유엔 국제법위원회(ILC,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위원 임기를 이어나가게 됐다.

 

유엔한국대표부(오준 대사)는 3일 열린 유엔본부에서 실시된 유엔 국제법위원회 위원(임기2017-21년) 선거에서 현 위원인 박기갑 교수(고려대)가 재선(再選)되었다고 밝혔다.

 

 

박기갑교수 ILC.jpg

박기갑교수

 

 

이날 선거에서 7석이 배정된 아시아 지역은 총 10명이 입후보, 치열한 경합(競合)을 했으며, 박기갑 교수는 193개국 중 136개국의 지지표를 확보해 당선됐다. 전체 선거엔 총 46개국이 입후보하여 34명의 위원을 선출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고 지정일 교수(한양대)가 첫 ILC 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으며, 박 교수는 우리나라의 두번째 ILC 위원으로 2011년 처음 당선되어 지난 5년간 활동해왔다.

 

ILC는 국제법의 점진적 발전과 법전화를 목표로 1947년 유엔 총회 결의에 의해 설립, 그간 주요 국제협약의 초안을 마련하는 등 국제법 분야에서 중요 임무를 수행해 왔다.

 

유엔대표부(오준 대사)는 그간 박기갑 교수의 당선을 위해 본부 및 전 재외 공관과 함께 적극적인 지지(止持) 교섭을 전개해 왔다.

 

유엔대표부는 “이번 ILC 위원 재선을 계기로 국제법 발전에 대한 기여를 확대하는 동시에 국제법 분야에서 우리나라 위상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박기갑(59) 교수는 고려대 법대와 대학원을 거쳐 파리제Ⅱ대학 국제법, 유럽공동체법, 국제사법 과정을 수료하고 네덜란드 헤이그 국제법 아카데미 Diploma를 한국학자로는 유일하게 불어로 취득했다. 89년 프랑스파리제Ⅱ대학 법학박사 논문(영공주권의 보호)은 프랑스 학술원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다.

 

90년부터 98년까지 한림대 교수를 역임(歷任)했고 2016년 1월부터 아시아국제법학회(AsianSIL) 부회장을 맡고 있다.

 

* 글로벌웹진 뉴스로 www.newsroh.com

 

 

115.jpg

 

 

<꼬리뉴스>

 

국제법 위원회 1949년 첫 연례회의 개최

 

국제법위원회(International Law Commission, ILC)는 국제법의 점진적 발전 및 법전화(progressiv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 and its codification)를 위해 설립된 UN총회 보조기관(UN헌장 제13조 1항)으로 1948년 동 위원회의 첫 번째 선거 실시 후 1949년 최초 연례회의를 개최하였으며 본부는 스위스에 소재하고 있다.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협약’, ‘국가책임법’, ‘국제형사재판소 규정’ 초안 작성 등 국제법의 발전 및 성문화 과정에 기여했다.

 

정부대표가 아닌 독립성을 지닌 각국의 국제법 전문가로 구성되며, 매 5년마다 총회에서 지역별 배분에 따라 총 34인의 위원을 선출한다

 

국제법위원회는 임원(Officer), 계획그룹(Planning group), 사무단(Bureau), 확대사무단(Enlarged Bureau), 전체회의(Plenary), 특별보고자(Special Rappoteur), 작업반(Working groups) 및 초안위원회(Drafting Committee)로 구성되며 위원직은 5년 비상근이다.

 

위원회 선거에서 각 회원국은 국제법에 정통한 것으로 인정된 후보를 최대 4명까지 지명할 수 있으며, 이 중 자국국민은 2명으로 제한하고 회원국은 지역 그룹별 공석(空席)의 수만큼 각 지역그룹별로 투표한다.

 

2016년 선거는 아시아 7석(10명 입후보), 아프리카 8석(11명 입후보), 중남미 7석(10명 입후보), 서구 8석(10명 입후보), 동구 4석(5명 입후보)으로 총 34개 공석에 46개국이 입후보했다.

 

위원은 비밀투표를 통해 각 지역 그룹별로 다수 득표자 순으로 선출되며, 출석하여 투표하는 회원국의 과반수 득표를 해야 함. 첫 투표에서 선출된 인원이 지역 그룹별 공석 수에 못 미치는 경우, 이에 미칠 때까지 후속 투표를 실시한다.

 

 

  • |
  1. 박기갑교수 ILC.jpg (File Size:3.0KB/Download:34)
  2. 115.jpg (File Size:154.4KB/Download:3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57 미국 플로리다 민주당, 올해 의회 선거서 뒤집을 수 있을까? file 코리아위클리.. 22.07.05.
1356 미국 '드래그 쇼' 반대하는 플로리다 주지사, 그 이유가 마뜩잖네! file 코리아위클리.. 22.07.05.
1355 캐나다 BC주민 2030년 동계올림픽 재유치 호의적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6.
1354 캐나다 코로나19 오미크론 하위 변이 증가세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6.
1353 캐나다 써리 학교서 16세 청소년 칼에 찔리는 사고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6.
1352 캐나다 BC주 7일 현재 원숭이두창 확진자 18명-전 주에 비해 3배 이상 밴쿠버중앙일.. 22.07.08.
1351 캐나다 4월 누계 새 한인 영주권자 2370명 밴쿠버중앙일.. 22.07.08.
1350 캐나다 한국 5개 감 상품 기업 캐나다 시장 개척차 방문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8.
1349 캐나다 퀘벡주 예방접종위운회, 가을부터 4차/5차 COVID-19 백신 접종 캠페인 권고 file Hancatimes 22.07.08.
1348 캐나다 퀘벡주, 연방정부에 여권 지연 상황에 대한 해결책 요구 file Hancatimes 22.07.08.
1347 캐나다 노년층에게 은행 직원 사칭 ‘전화금융사기’ 주의보 file Hancatimes 22.07.08.
1346 캐나다 연방정부, ‘여권 대란’ 해결을 위해 더 많은 일처리 지시 file Hancatimes 22.07.08.
1345 캐나다 연방정부, 퀘벡주 장기 요양 시설 개선을 위해 약 2,210억원 투자 발표 file Hancatimes 22.07.08.
1344 캐나다 몬트리올 경찰청, 무기 및 마약 밀매 일당 5명 체포 file Hancatimes 22.07.08.
1343 캐나다 캐나다 데이 기념행사 COVID-19 및 재정적 어려움 속 일부 도시에서 취소 file Hancatimes 22.07.08.
1342 캐나다 캐나다, 해외 입국자에 대한 COVID-19 방침 9월까지 유지 file Hancatimes 22.07.08.
1341 캐나다 몬트리올 공항, 인력 부족으로 인한 ‘항공 대란’ 초래 file Hancatimes 22.07.08.
1340 캐나다 보건 당국, COVID-19 재확산 우려에 추가 백신 접종 촉구 file Hancatimes 22.07.08.
1339 캐나다 캐나다 실업률 하락에도 일부 기업은 여전히 고용 문제로 고군분투 file Hancatimes 22.07.08.
1338 캐나다 보건복지부 장관, 퀘벡주 ‘COVID-19 7차 확산’ 주의 촉구 file Hancatimes 22.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