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베어드 1).jpg


주 의회 예산심의처 질문에 곤혹스런 표정을 짓고 있는 베어드(Mike Baird) NSW 주 수상. 이는 민영화 계획에 대해 정부의 자문회사 중 하나인 투자은행 UBS가 작성한 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투자은행 UBS의 민영화 보고서에 대한 주 의회 질문 관련


베어드(Mike Baird) 주 정부가 추진하는 전력망 민영화에 대한 상원 논의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정부는 정부 자문회사가 제시한 관련 보고서를 무시, 민영화 계획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NSW 주 정부가 추진하는 전력망 민영화 계획에 대해 투자은행인 UBS가 정부에 불리한 보고서를 발표한 후 마이크 베어드(Mike Baird) 수상실의 고위 관계자가 UBS의 매튜 그라운즈(Matthew Grounds) 최고경영자에게 연락을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주 월요일(11) 정부의 전력망 민영화 계획에 대한 주 의회의 질문에 답변하면서 베어드 수상은 수상실의 고위 관계자인 워버튼(Bay Warburton)씨나 크로커(Matthew Crocker)씨가 전화로 UBS의 그라운즈 최고경영자 또는 다른 경영자인 가이 포울러(Guy Fowler)와 접촉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베어드 수상은 이들은 UBS의 보고서 변경을 요청하지 않았다며 자신 또한 보고서 내용을 수정해 달라고 요구하지도 않았다고 덧붙였다.


당초 정부의 전력망 민영화 계획은 송전회사인 트랜스그리드’(Transgrid)에 전력망을 99년간 장기 임대하고 오스그리드’(Ausgrid)엔데버 에너지’(Endeavour Energy)사에 지분 50.4%를 매각한다는 것이다.


투자은행인 UBS는 주 정부가 추진하는 민영화 계획에 대한 두 곳의 자문회사 중 하나로 임대 부분의 범위 설정을 위한 조사 준비 및 이를 통해 수백만 달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 왔다.


사실 UBS의 경제분석가 데이빗 레이치(David Leitch)씨가 ‘Bad for the budget, good for the state’라는 보고서를 작성한 것이 드러난 이후, 민영화에 대한 문의는 주 선거운동 기간부터 촉발됐다.


베어드 수상 사무실에서 연락이 있은 후 UBS 은행은 ‘bad for the budget’이라는 문구를 삭제했고 민영화로 인해 예상되는 유리한 부분을 추가로 덧붙였다.


베어드 수상은 수상실의 정책 책임자들은 UBS 분석가에게 민영화로 이루어지는 기반시설 확충을 통해 향후 3천억 달러의 경제성장을 기대하는 부분을 언급해줄 것을 요청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수상은 이어 수상실의 정책 책임자들이 보고서를 작성한 데이빗 레이치씨보다는 UBS의 그라운즈 및 포울러 최고 경영자와 직접 접촉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베어드 수상은 NSW 주 선거운동 기간, 의회 예산사무처가 민영화 범위 연구에 대한 복사본을 요구했으나 이를 거부한 데 대해 사업상이 기밀을 담고 있기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이전 베어드 수상은 전력망 민영화를 통해 예상되는 200억 달러의 재원을 통해 주 정부의 예산 적자를 해소하고 기반시설 투자를 통해 시드니 지역의 교통혼잡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는 내용의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공개한 바 있다.


그는 전력망 사업으로 인한 배당금과 정부의 기타 지급금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향후 4년 동안 관리비용이 확대될 수 있는 전력망 사업을 대폭 줄이려는 연방 호주 에너지 규제기관(Australian Energy Regulator)의 최근 결정을 반영한 모형을 제시했다.


이 모형은 2017-18년까지 배당금과 세금 균형 차이를 4700만 달러에서 15200만 달러로 떨어뜨리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주 의회에서의 전력망 민영화에 대한 질의는 상원에서 민영화 승인을 좌지우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독민주당 프레드 나일(Fred Nile) 의원에 의해 제기됐다.


나일 의원은 이 법안(전력망 민영화 관련)을 지지하지만 민영화를 통해 일반 대중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 알고 싶었다고 질의 배경을 설명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23 호주 대한체육회, 오남호 NHTTA탁구총감독 공로패 수여 톱뉴스 18.09.22.
922 호주 세계한인언론인협회, 국제심포지엄 열어 톱뉴스 18.09.22.
921 뉴질랜드 제6회 뉴질랜드 한국어 말하기 대회 200명 참석한 가운데 마쳐.. NZ코리아포.. 18.09.26.
920 호주 영화 '암수살인' 개봉 전 위기…호주에 무사 상륙할까 톱뉴스 18.09.27.
919 호주 전통가락부터 케이팝리듬까지! ‘2018한국어문화공연’ 25일 열려 톱뉴스 18.09.27.
918 호주 한국교육원, ‘한국어’ 교육과정 학생 대상의 ‘문화경연’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917 호주 광복회 호주지회, “9.19 평화공동선언 내용 지지”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916 뉴질랜드 프랭클린풍물패, 한가위 맞아 두루리에서 한마당 정기 공연 펼쳐 일요시사 18.09.29.
915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피어나는 나랏말씀 - 오클랜드 한국학교 이야기 일요시사 18.09.29.
914 뉴질랜드 2018년 뉴질랜드 한국어 겨루기 한마당 - 제6회 뉴질랜드 한국어 말하기 대회 성료 - 일요시사 18.10.02.
913 뉴질랜드 재뉴대한체육회, 제99회 전국체전 참가 선수단 발대식 거행 일요시사 18.10.02.
912 뉴질랜드 ACG 고등학생 ‘우리말 사랑하기’, KCR라디오 자원봉사 및 연수 NZ코리아포.. 18.10.03.
911 호주 전 세계 한인사회 리더들, ‘한반도 평화’ 위한 역할 논의 file 호주한국신문 18.10.04.
910 호주 캠시 소재 ‘남&남 부동산’, ‘스트라타 관리업무’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8.10.04.
909 호주 한국영화 ‘폴라로이드’, ‘SmartFone Flick Fest’에 초청 file 호주한국신문 18.10.04.
908 호주 ‘더 커진 하나, 한반도의 빛이 되다’••• 2018 세계한인회장대회 톱뉴스 18.10.05.
907 호주 스마트폰으로 찍은 ‘폴라로이드’, 시드니오페라하우스서 상영 톱뉴스 18.10.05.
906 호주 서부호주주, 유학생 대상 주정부 비자 마련 톱뉴스 18.10.05.
905 호주 한국의 60대 건설업자, 임대 주택 604채 소유   톱뉴스 18.10.11.
904 호주 한국의 임대주택 692만채…614만명이 보유 톱뉴스 18.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