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복혈당 수치 100∼125, 당뇨병 전환 막을 수 있어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고혈압도 마찬가지이지만 당뇨와 같은 경우, 환자로 분류하기에는 질병 수치가 낮지만 그렇다고 정상이라고 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당뇨병 정도는 아니지만 정상도 아닌 약간 높은 당뇨치를 지니고 있는 상태를 들 수 있다.

의학계에서는 이같은 상태를 '당뇨 전단계(Pre-Diebites)' 로 분류하고 있다. 상태가 지속되면 결국 질병 상태로 넘어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뇨 전단계 상태인 사람들도 환자와 비슷하게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해 미 당뇨협회는 '당뇨 전단계' 에 대한 홍보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선천적 인슐린 장애자가 아닌 제2형 당뇨병 가능자들은 이 시기에 주의하면 정상으로 되돌아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당뇨병 전단계는 ‘공복 혈당 장애’수치로 분류된다. 8시간을 금식한 후에 체크한 공복 혈당이 126(㎎/㎗)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분류된다. 정상 공복 혈당은 110 이하이다. 그 사이 110~125가 당뇨 전단계 로 아직 당뇨병은 아니지만 혈당 분해 기능에 이상이 온 것으로 간주된다. 최근 의료계에는 그 기준을 더 낮춰 정상 공복 혈당을 100으로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공복 혈당 장애인 경우 매년 2~3%가 당뇨병으로 넘어가고 있다.

당뇨 전단계 혈당 검사치는 바로 '내 몸이 몇 년을 버틸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척도다. 합병증은 발생 전까지 아무런 증상이 없다가 동시 다발로 생긴다. 눈의 망막.발.뇌.심장과 같이 작은 혈관들이 많이 모인 부위가 취약하다. 혈당검사가 기준치를 넘는다면 조절될 때까지 매일 검사를 해야 한다.

경계선 환자들, 어떻게 해야 하나

당뇨 전단계 환자들은 우선 생활습관 교정에 힘써야 한다. 고혈압·당뇨·고지혈증 등은 비만·운동부족·과식·소금 과다 섭취·과음 등으로 발생하거나 악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활습관 교정을 하면 체중·혈압·혈당·콜레스테롤치 대부분이 동시에 떨어져 건강 상승 효과를 한꺼번에 누릴 수 있다. 고혈압과 당뇨병은 '형제처럼 찾아온다' 는 말도 있을 만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공복 혈당 장애의 경우 생활습관 교정을 했을 때 약 60%에서 당뇨병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고 믿는다. 또 생활습관 교정 없이 약물 치료만 하면 10명에서 3명만이 당뇨병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생활습관을 먼저 교정하고 일정기간 후에도 여전히 당뇨 전단계를 유지한다면 약물치료를 기대어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미 성인병을 앓고 있거나 위험 인자 여러 개가 동시 다발로 있는 경우에는 생활습관 교정과 함께 바로 약물 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권장된다.

혈당조절의 절반은 식사에서
 

health.jpg
▲ 당뇨환자들은 쇼핑 리스트를 꼼꼼히 작성하는 등 식생활 개선에 힘써야 한다.
 

당뇨 환자들이 가장 잘못 알고 있는 것이 식사 내용이다. 무조건 보리밥과 같은 거친 음식은 좋고, 육류는 나쁘다는 식이다. 비만한 사람이 아니라면 단백질 섭취도 반드시 필요하다. 적당한 육류섭취와 함께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채소. 해조류를 충분히 섭취한다. 섬유질이 많은 곡류는 혈당관리에 좋다. 섬유질이 소화기관에서 당의 빠른 흡수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하루 세 번 규칙적인 식사도 중요하다. 결식 또는 폭식은 혈당의 급격한 상승과 하강을 유도해 췌장을 과로하게 한다.

운동은 신진대사를 도와 종합적인 혈당관리에 도움

운동은 약만큼 혈당을 조절하는 훌륭한 치료법이다. 운동은 에너지원인 포도당이 소모될 수 있도록 세포에 있는 인슐린 수용체의 양을 늘려준다. 결국 혈액내 당이 넘치는 좋지 않은 상태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또 운동은 지방조직을 소모시켜 체중을 줄여주고 근육량이 많아지면 포도당 소비가 촉진되는 종합적인 효과가 있다.

미 당뇨협회는 하루 30분 운동으로 당뇨위험 58%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사람은 몸에 이상이 생기면 자연 귀가 얇아진다. '뭐가 좋다더라' 라는 식의 남의 말에 쉽게 넘어간다. 민간요법의 효과는 불투명하며 도리어 환자의 치료를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남의 말이나 광고에 현혹되기 보다는 식사와 운동 등 생활습관 교정과 정기적 검진을 받는 방법을 찾아 보는 것이 최선이다. / 중앙일보 및 국내외 건강자료 참조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77 캐나다 주캐나다대사관, 19일 오타와서 한국전 기념 헌화 밴쿠버중앙일.. 22.06.23.
1376 캐나다 메트로밴쿠버 주말부터 폭염주의보 file 밴쿠버중앙일.. 22.06.24.
1375 캐나다 한반도 이슈 정책 간담회-KPP-캐나다 연방의회 한국방문 대표단 시각 file 밴쿠버중앙일.. 22.06.24.
1374 캐나다 주택가격 안정 위해 2030년까지 350만 채 저가 주택 필요 file 밴쿠버중앙일.. 22.06.24.
1373 캐나다 서부캐나다에 미래 BTS와 블랙핑크를 키운다-마마키쉬 제3회 정기 공연 file 밴쿠버중앙일.. 22.06.25.
1372 캐나다 밴쿠버경찰서의 범죄 피해 예방 안전팁 file 밴쿠버중앙일.. 22.06.25.
1371 미국 코너에 몰린 트럼프, 워싱턴 정치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file 코리아위클리.. 22.06.27.
1370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 감염자 일일평균 1만6천명... 양성률 20%대 지속 file 코리아위클리.. 22.06.27.
1369 미국 마이애미 한식 스테이크 하우스 '꽃', 플로리다 최초 '미슐랭 가이드' 별점 획득 file 코리아위클리.. 22.06.27.
1368 캐나다 밴쿠버에서 거행된 6.25기념식-참전용사와 한인 청소년이 함께 밴쿠버중앙일.. 22.06.28.
1367 캐나다 올 여름 911 신고 전화 폭주 예상 file 밴쿠버중앙일.. 22.06.29.
1366 캐나다 밴쿠버 총영사관 "한국, 캐나다 참전용사 초청 감사 오찬" file 밴쿠버중앙일.. 22.06.29.
1365 캐나다 생계비지수 순위서 밴쿠버 108위, 서울은 14위 file 밴쿠버중앙일.. 22.06.30.
1364 캐나다 27일부터 번진 레이크 주차 온라인 예약 필수 file 밴쿠버중앙일.. 22.06.30.
1363 캐나다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자 입국 조건 9월 말까지 연장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1.
1362 캐나다 한국 여자 소프트볼 국가 대표 캐나다컵 대회 참가 위해 밴쿠버 방문 밴쿠버중앙일.. 22.07.01.
1361 캐나다 캐나다데이 메트로밴쿠버 행사에서 함께 하는 한인 문화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1.
1360 캐나다 캐나다 공항 결항•지연 대란...국내선 연결 시간 여유가 필요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5.
1359 캐나다 7월 BC고속도로 순찰대 여름 공격적 단속 경고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5.
1358 미국 탬파베이 주택시장 열기 식나?... 모기지율 5.65%로 올라 file 코리아위클리.. 22.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