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문화원).jpg

 

주시드니 한국문화원이 오는 6월10일부터 17일까지를 ‘Korean Language Week’로 지정, 다양한 한국어 관련 행사를 개최한다. 올해 처음 마련된 이 행사는 호주 내에서 한국어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취지이다. 사진은 지난 달 영문 표기가 공식 변경된 한국문화원 로고.


호주 내 한국어 교육 활성화 취지, 관련 행사 마련

 


주시드니한국문화원(원장 안신영, 이하 ‘한국문화원’)이 호주 내에서 한국어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취지로 오는 6월10일부터 17일까지를 ‘Korean Language Week’로 지정, 다양한 한국어 관련 행사를 개최한다.

 

한국문화원은 6월10일(수) NSW 대학에서 공립학교 중 정규 교과목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Korean Immersion Day’를 진행한다. NSW 주 교육부와 공동으로 개최하는 이번 행사에는 호주 내 한국어를 개설한 학교 중 9개교 학생 225명이 참여하며, NSW 대학에 재학 중인 한국 학생들이 인턴 겸 고등학생들의 멘토로 함께 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참여 학생들의 미래 진로 선택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이휘진 총영사와 제임스 리(James Lee) NSW 대학 교육학부 부학부장 등이 ‘커리어 스피치’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K-POP 댄스 강습 등 한국문화 체험과 공연으로 진행한다.

 

다음날인 6월11일(목)에는 공·사립학교 한국어 교사 대상 워크숍이 한국문화원에서 열린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워크숍은 한국에 있는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전문가 해외파견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며, 구지민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와 김보경 고려대 전임강사가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소개한다.

 

이날 오후 4시30분부터 오후 8시30분까지 진행되는 워크숍에는 초·중등학교 한국어 교사 및 한글학교 협의회장 및 관계자도 참석하여 전문가의 강연뿐만 아니라 교사들 간의 현장 경험을 공유하고 사례 발표를 하는 자리가 마련될 예정이다.

 

또한 6월12일(금)에는 한국어 교육 증진을 위한 ‘교장단 및 정책담당자 초청 한국어교육 컨퍼런스’가 한국문화원에서 진행된다. 이 행사는 호한재단(AKF)의 지원으로 NSW 대학 한국학연구원(KRI)과 한국교육원(KEC), 한국문화원(KCC)이 공동 주최하며, NSW 주를 포함한 여러 주의 교장단, 교육부 및 교육청 관계자 등을 초청하여 호주 내 한국어 교육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실질적인 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한국정부 측에서는 현지 한국어 교육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할 예정이며, 이날 회의는 한국어 교육 강화를 위한 실질적 방안을 도출해내는 동시에 한-호 정부간, 교육계간 네트워크 형성의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마지막 날인 6월17일(수)에는 한국문화원 및 맥쿼리대학 세종학당 수강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말하기 대회 ‘Let's talk about Korea!’가 개최된다. ‘외국인의 눈으로 바라본 한국문화’라는 주제를 통해 현지에서 한국어를 접하고 학습하는 학생들의 시선으로 바라본 한국문화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talk)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본 대회의 목적이다.

 

또한 말하기 실력이 부족한 학생들도 참여하여 한국어 노래, 춤 등 다양한 재능을 뽐낼 수 있는 기회도 준비된다. 이 대회 1등 수상자는 하반기에 한국에서 개최되는 ‘세계 세종학당 말하기대회’ 지원 자격이 주어진다.

 

이날 행사는 타인의 시선으로 본 한국문화의 다양한 측면을 공유하고 한식, 문화공연 등을 경험하면서 한국문화에 보다 친숙해지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한국문화원은 ‘Korean Language Week’ 기간 중 세종학당 수강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전문가들의 특강을 진행하고 남부 호주 지역내 한국어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관계자 간담회도 가질 예정이다.

 

최근 한국 교육부가 발표한 ‘해외 초·중등학교 한국어반 개설 현황’에 따르면, 호주는 2013년 6천992명(57개교)에서 지난해 8천468명(61개교)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수가 21%가 증가하여 한국어 학습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올해 처음으로 한국문화원에서 진행되는 ‘Korean Language Week’는 호주 내 한국어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한국어 교육을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 문의는 다음과 같다.

-Korean Immersion Day & 한국어 전문가 워크숍 : 02 8267 3488(정민지 주무관)

-교장단 및 정책담당자 초청 한국어교육 컨퍼런스 & 세종학당 말하기 대회 : 02 8267 3400(김소영 주무관)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63 호주 한인 여대생 반은지 살해범 “나는 무죄, (우발적) 살인은 저질렀지만...” 톱뉴스 18.08.09.
962 호주 <인터뷰> 장재곤 변호사 “쫓기면 안돼, 적성에 맞아야 미래 그릴 수 있어” 톱뉴스 18.08.09.
961 뉴질랜드 6000명이 참석한 웰링톤 2018 K-Culture Festival 이모저모 NZ코리아포.. 18.08.11.
960 호주 “독립을 위한 선열들의 처절한 갈망과 희생이 광복 이끌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959 호주 ‘Australia-Korean Art Exhibition’ 개막, 8월23일까지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958 호주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소녀상 건립 2주년 기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957 호주 장항준-전고운... 유명 영화인들, 시드니 관객과 만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16.
956 호주 세계웅변대회, 호주 대표단 큰 성과 거둬 톱뉴스 18.08.18.
955 호주 테너 이용훈의 오페라 ‘아이다’ 톱뉴스 18.08.18.
954 호주 반은지씨 참혹한 살인사건... 가해자 '조현병으로 심신미약' 주장 톱뉴스 18.08.18.
953 호주 ‘한호정경포럼’, 오는 10월 포럼 예정... 주제는 ‘북핵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952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골번 지역 ‘워홀러’ 방문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951 호주 마약원료 밀수혐의 한국 워홀러, 기소 중지로 석방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950 호주 호주한국영화제, 시드니-브리즈번 행사 폐막 file 호주한국신문 18.08.23.
949 뉴질랜드 결국 정부 등 외부로 넘어가는 한인회 분쟁 file 선데이타임즈 18.08.23.
948 호주 민주평통 호주협의회 …통일 여론조사 실시 톱뉴스 18.08.23.
947 호주 마약원료 밀수 시도 혐의 한국 여성 ‘무혐의’...수감 212일 만에 석방 톱뉴스 18.08.23.
946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한국인 등산객 구조유공자 감사패 전달 톱뉴스 18.08.23.
945 호주 한인 여대생 반은지 살해범 ‘종신형’ 선고 받아 톱뉴스 18.08.23.
944 호주 NZ교민자녀조슈아김,호주Dance Boss결승전진출 일요시사 18.08.28.